본문 바로가기

성공

천재가 아닌 천재의 환경을 조명한 영화, 그 빛나는 성취 <빌리 엘리어트> [오래된 리뷰]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아이가 온갖 역경을 딛고 성공에 안착하는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자주 되풀이 되는 이야기 구조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보통 사람이라면 꿈도 꾸기 힘들기에, 일종의 대리만족이라 하겠다. 굳이 보지 않고도 대략을 알 수 있다. 그(또는 그녀)는 천재적인 재능을 지녔지만 정작 자신은 모른다. 우연히 눈을 뜨고 그를 이끄는 선생님이 나타난다. 아무것도 모르고 단지 끌려서 시작하고, 점점 더 끌리는 자신을 발견한다. 오래지 않아 역경이 닥친다. 태생적으로 불우한 환경, 주위 사람들의 반대, 스스로에 대한 믿음 철회. 어느새 다시 끌리고 결국엔 모든 역경을 이겨낸다. 결정적으로 그를 가장 이해하지 못하고 가장 반대했던 주위 사람들이 가장 믿음직한 서포터가 된다. 모두의 기대.. 더보기
우디 앨런이 말하는, 용서 받지 못할 이의 행운이란 <매치 포인트> [오래된 리뷰] 우디 앨런 감독의 테니스 선수를 때려 치우고 부유층의 테니스 강사가 된 크리스. 그는 상류층으로의 진입을 꿈꾼다. 와중에 그가 가르치는 부유층 집안의 자제 톰과 친해진다. 톰의 가족과 오페라를 함께 보게 된 크리스는 톰의 여동생 클로에의 눈에 든다. 그렇게 크리스는 톰과 클로에와 급격히 가까워진다. 클로에와는 잘 될 눈치다. 어느 날 눈부시게 아름다운 섹시한 여인을 보고 한눈에 반하는 크리스, 하지만 그녀는 다름 아닌 톰의 약혼자 노라였다. 그녀를 가슴 한구석에 고히 모셔둔 채, 크리스는 클로에와의 결혼과 장인 회사 취칙에 연이어 골인하며 꿈에 그리던 상류사회에 진입한다. 자타공인 상류층이 된 것이다. 그렇지만 톰의 약혼자 노라가 자꾸만 생각난다. 예술영화의 상업화에 성공한 세계적 거장 .. 더보기
자기 과잉의 시대, 도덕적 실재론 전통을 되살려야 한다 <인간의 품격> [서평] 이 시대를 한 마디로 무어라 규정할 수 있을까. '과잉 시대'라고 하면 맞을까. 정보 과잉, 자극 과잉, 기록 과잉, 유혹 과잉, 피로 과잉, 공급 과잉, 서비스 과잉, 학력 과잉, 음식 과잉, 긍정 과잉... '과잉' 앞에 거의 모든 것을 붙일 수 있을 시대이다. 어마어마한 과잉 앞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쩔 줄 몰라한다. 이를 수용하고 선도하는 소수의 사람들 꽁무니를 따라가기 바쁠 뿐이다. 거기에서 능력이 갈리고 계급이 갈린다. 또 하나의 과잉이 여기 있다. '자기 과잉'. 세상의 중심에 자신이 있고 그 어떤 것보다 자신이 중요하며 자신을 사랑한다. 자신을 드러내는 데 거리낌이 없고 자신에 대해서는 겸손이라는 걸 찾아보기 힘들다. 그것이 곧 이 시대를 살아가는 데 최우선의 능력이며 잘 해내지 .. 더보기
책이 삶이 된다면... 삶은 이미 성공한거죠 [지나간 책 다시읽기] 하루에 책을 얼마나 읽을까. 생각해 보았다. 출퇴근 시간은 어림잡아 3시간, 그중에 책을 읽을 수 있는 상황과 시간을 보니 2시간 남짓. 회사 점심 시간과 퇴근 후 갖는 자유 시간도 2시간 남짓. 합해서 대략 4시간 정도가 되겠다. 이 정도면 책에 투자하는 시간으로 적절할까? 독서혁명가 김병완은 (미다스북스)을 통해, 하루 96분(48분x2)으로 3년 동안 책 1000권을 읽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중국 최고의 시인 시성(詩聖) 두보의 '만 권의 책을 읽으면 글 쓰는 것도 신의 경지에 이른다'(讀書 破萬卷 下筆 如有神)라는 말을 빌려 그렇게 1만 권을 읽으면 누구나 책을 쓰는 작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10년 동안 대기업 삼성전자를 다니다가, 어느 가을날 길가에 뒹구..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