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썸네일형 리스트형 따뜻한 감성 충만한 '응답하라 1960년대 미국' <아폴로 10 1/2>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리처드 링클레이터, 미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으로 1990년대 데뷔 후 미국 인디영화의 한 축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낯설지 않은 작품들이 다수 눈에 띄는데, 이를테면 가장 완벽한 로맨스 시리즈로 손꼽히는 시리즈(비포 선라이즈, 비포 선셋, 비포 미드나잇)를 비롯해 등이 있다. 다분히 '미국'스럽고 '시간'을 잘 다룰 줄 아는 것 같다. 그는 텍사스주 출신인 바 텍사스 배경의 영화를 꽤 만들었다. 휴스턴에서 태어나 20대 때 오스틴으로 이주 후 '오스틴 필름 소사이어티'라는 시네마테크를 결성했고 '디투어 필름프로덕션'이라는 영화제작집단을 설립해 텍사스 언저리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그런 그가 아폴로 11호의 인류 최초 달 착륙에 관련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건 하등 이상할 게 없을 것이.. 더보기 9.11 테러의 20년 전과 후까지 다룬 미국 현대사의 단면 <터닝 포인트>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2021년 9월 11일 미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히 철수하며 20년에 걸쳐 이어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끝났다. 21세기 최초의 전쟁이자 미국 역사상 가장 길었던 전쟁, 이른바 '테러와의 전쟁'의 시작점, 미국의 초강대국 지위가 흔들리게 된 원인 등 이 전쟁을 수식하는 말은 이밖에도 무수히 많다. 하지만, 모두가 알다시피 '9.11 테러'야말로 이 전쟁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일일 것이다. 2001년 9월 11일 화요일 아침, 미국의 중심이자 세계의 중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뉴욕 맨해튼 한복판의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빌딩 북쪽 타워에 보잉 767 아메리칸 항공 11편이 날아와 충돌한다. 일대는 아수라장이 되고 사람들은 대피하고 언론들은 득달같이 달려와 보도하고 있던.. 더보기 한 시대를 풍미한 패션 디자이너의 지독한 흥망성쇠 <홀스턴>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넷플릭스와 계약 후 쉴 새 없이 작품을 쏟아 내고 있는 할리우드 거물 제작자 라이언 머피, 작년에만 드라마 를 제작했고 영화 을 연출했다. 작년에도 5월에 로 포문을 열었듯, 올해도 5월에 신작 드라마로 포문을 열었다. 1970~80년대 미국을 화려하게 수놓은 패션 디자이너 '홀스턴'의 이야기를 다룬 이 그 작품이다. 홀스턴이라... 적어도 나는 이 이름을 전혀 알지 못한다. 들어본 적도 없고, 인물 사진이나 브랜드 로고나 제품조차 본 적이 없다. 한때나마 별처럼 반짝 빛났던 때문이지 않을까 싶은데,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그는 말년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브랜드를 팔았다고 한다. 아니, 팔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대신 크나큰 돈을 손에 넣었지만 말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미티드 .. 더보기 병맛 개그 충만한 미국의 독립 쟁취기 <아메리카>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바야흐로 7월은 '혁명'의 달이다. 인류 역사상 수많은 혁명이 있었지만, 1789년 7월 14일 프랑스 대혁명이 가장 유명할 것이다. 더불어, 1830년 7월 말의 프랑스 7월 혁명도 역사의 큰 분수령 가운데 하나다. 그런가 하면, 미국 독립 혁명(또는 미국 혁명, 미국 독립 전쟁) 과정의 핵심이라 할 만한 1776년 7월 4일 미국 독립 선언도 중요하다. 미국 혁명의 경우, 1775년 시작되어 1783년까지 지속되는데 대영제국(현재 영국)과 13개 식민지 간의 전쟁이었다. 즉, 1776년 미국이 대영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지만 독립을 인정받은 건 1783년에 이르러서였다는 것이다. 그 사이에 많은 일이 있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 가 '대체 역사' 장르를 차용.. 더보기 아쉬운 점과 미덕이 뒤섞인, '테일러 쉐리던'의 평작 <내가 죽기를 바라는 자들> [신작 영화 리뷰] 할리우드를 대표할 만한 각본가에서 연출자로 만족스럽게 진출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의 각본가 찰리 카우프만이 선례를 보였고, 의 각본가 아론 소킨이 뒤를 따랐다. 두 각본가는 각각 와 이라는 빅 타이틀로 감독으로서의 명성도 드높였다. 그들 사이에 테일러 쉐리던이 있다. 테일러 쉐리던, 20여 년 동안 단역 활동을 전전하다가 2015년 로 일약 주목받는 각본가 반열에 오른다. 이듬해 로 명성이 수직 상승했고, 다시 이듬해 로 연출(각본도 맡음) 데뷔까지 훌륭하게 해냈다. 그리고 또다시 이듬해 각본까지 마쳤다. 4년 사이에 각본가 데뷔, 명망 있는 각본가, 연출가 데뷔까지 이뤄 낸 것이다. 그리고 2021년 전격적으로 연출(각본도 맡음)작 한 편과 각본작 한 편을 선보였다. 과 , 두 편 .. 더보기 21세기에도 필요한 혁명 찬가의 목소리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신작 영화 리뷰] 1960년대는 격동의 시대였다. 미국과 소련의 냉전 시대가 절정으로 치달았다. 베트남 전쟁이 극으로 치달았다.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가 독립했다. 프랑스에서 68혁명이 일어났고, 중국에서 문화대혁명이 일어났다. 미국의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다. 큼지막한 일들에 미국이 연관되지 않은 경우를 찾기 힘든데, 미국 내부도 유례없는 격동이 휩쓸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권운동, 히피운동, 여성해방운동 등이 진행되었고 역사에 길이 남을 유명인사들이 잇따라 암살당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로버트 F. 케네디 상원의원, 마틴 루서 킹 목사, 맬컴 엑스 등이 비명횡사했다. 그리고 또 한 명 프레드 햄프턴은 FBI의 습격으로 침대에서 사살되었다. 그는 1966년 결성된 흑표당의 일리노이주 지부.. 더보기 타의로 시작했지만, 자의로 나아가며 대안적 삶을 성찰하다 <노매드랜드> [신작 영화 리뷰] 안젤리나 졸리, 마동석 등의 출연으로 일찌감치 화제를 모았던 영화 의 감독이 누군가 하면, 영화를 몇 편 만들지도 않은 중국 출신의 1982년생 여성 감독 '클로이 자오'다. 비록 어릴 때부터 미국에서 활동해 왔지만 말이다. 본래 지난해 2020년 후반부에 개봉 예정이었던 , 하지만 코로나 19로 여지없이 무기한 연기되었고 2021년을 맞았다. 그 사이 클로이 자오 감독의 또 다른 작품이자 다른 의미의 기대작이 나왔다. 듣기론 와 이 작품을 동시에 병행하면서 찍었다고 하는데, 대배우 프란시스 맥도맨드가 주연으로 출연한 다. 그녀가 직접 판권을 사서 제작에 나섰고 클로이 자오 감독을 내정했다는 후문이다. 이 작품은 클로이 자오의 인생을 바꿔놓았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작년 베니스 영화.. 더보기 '미나리는 원더풀 원더풀이란다!'의 진한 의미 <미나리> [신작 영화 리뷰] 지난 2월 28일 저멀리 미국 할리우드에서 낭보가 전해졌다. 로 윤여정 배우가 수십 개의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싹쓸어 버리다시피 하는 가운데, 영화가 제78회 골든 글로브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한 것이다. 불과 지난해에는 이 같은 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역사에 길이 남을 쾌거를 이룩한 바 있다. 도 그 전철을 따르지 않을까 기대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이상한 점 하나는 가 미국 입장에서 '외국 영화'인가 하는 것이다. 제작사는 물론, 감독과 출연 배우들(윤여정, 한예리 배우만 한국인) 모두가 미국인이거니와 미국에서 100% 촬영했는데 말이다. 다만, 영화 대사의 50% 이상이 한국어였을 뿐이다. 이 점이 골든 글로브의 규정에 걸렸는데, 지난해 골든 글로브 .. 더보기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