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이 영화가 불편한 이유, 실화에 접근하는 방법 <클랜>

반응형



[리뷰] <클랜>


영화 <클랜> 포스터 ⓒ더블앤조이픽쳐스

 


전직 고위 공무원인 아버지, 퇴직 후에도 여러 전현직 공무원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가족들에게는 다정다감하고 책임감 있는 아버지다. 매일 아침 집 앞을 청소하며 오가는 사람들과 다정하게 인사도 한다. 어딜 가든 환영 받는 그런 사람이다. 


그의 큰아들은 전도유망한 럭비 선수다. 아버지를 닮아서인지 동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인기도 단연 많다. 집에서도 훌륭한 아들로 가족의 자랑이다. 큰아들을 포함한 셋째 아들, 넷째와 다섯째 여동생도 모두 아주 잘 지낸다. 그야말로 남부러울 게 전혀 없을 듯한 가족의 전형이다. 다만 둘째 아들이 해외로 가서 연락이 없다. 


그런데 그런 가족이 작당모의해 하는 짓이 납치, 감금, 고문, 협박, 살인 행각이다. 보고 듣고도 믿을 수 없는 이 가족은 실제했다. 그들 이야기는 다양한 콘텐츠로 소개되었고, 드디어 영화로도 소개되었다. 영화 <클랜>이다. 


평번한 가족이 작당모의해 하는 짓이 납치, 감금, 고문, 협박, 살인 행각이다. 영화 <클랜>의 한 장면. ⓒ더블앤조이픽쳐스



영화는 1982년부터 1985년 사이에 아르헨티나에서 있었던 '푸치오 가족'에 의한 납치 사건을 바탕으로 재구성했다. 믿을 수 없는 이 사건, 이 가족의 속사정은 당시 아르헨티나의 속사정과 괘를 같이 한다.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아르헨티나는 군사정권의 통치 하에 있었다. 군사정권은 독재에 반대하는 사람은 물론 일반인들 3만여 명에 대해 테러, 고문, 조작, 납치, 살인을 일삼았다. 푸치오 가족의 가장 아르키메데스는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의 고위 공무원으로서 군사정권이 자행한 학살을 주도한 이 중 한 명인 것이다. 


이 영화가 실화에 접근하는 방법


영화는 이 실화에 어떤 식으로 접근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다분히 영화적으로 접근했다고 할 수 있겠다. 실화를 최대한 있는 그대로 보여주되, 그 사이 사이의 심리를 재구성한 것 같다. 대표적으로 아버지 아르키메데스와 큰아들 알렉스의 심리다. 반면 당시의 시대와 이어지는 면면은 잘 보이지 않고 보다 개인에 천착했다. 이런 접근 방식은 보는 이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것이다. 개인적으로 보는 내내 불편했다. 


아르키메데스는 전현직 공무원들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수하인들과 일견 조직적으로 납치 행각을 벌인다. 처음에는 큰아들 알렉스의 친구를 납치해 고문하고 가족들에게 협박해 돈을 뜯어 내고 결국 죽여버린다. 알렉스를 의심했다는 명목으로 죽인 것이었다. 그는 그 무엇보다 '가족'이 최우선이라는 신조가 있었다. 설령 그것이 살인이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한편 알렉스는 납치까지 협조했을 뿐 살인까지 했을 줄은 몰랐다. 그 사실을 인지하고는 괴로워한다. 괴로워하지만 아버지가 하는 '일'이기 때문에, 그것이 다름 아닌 가족을 위함임을 알고 있기에, 또 만져보지도 못한 엄청난 돈이 나온다는 걸 알게 되었기에 계속 협조한다. 


집단 최면에 빠진 듯한 푸치오 가족.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 그 어떤 이유를 대더라도 이해하거나 옹호할 수 없다. 영화 <클랜>의 한 장면. ⓒ더블앤조이픽쳐스



다른 가족들도 다르지 않다. 협조해 행동에 옮기지는 않지만 집안에 감금한 피해자들의 신음 소리를 들으면서도 가만히 있는다. '가족을 위해 아버지가 하시는 일이니까 이해해야 한다'는 게 그들의 생각이다. 균열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겉보기에는 아주 평범하고 완벽하리만치 단란한 가족이다. 집단 최면에 빠진 듯한 모습이다. 


이 영화가 불편한 이유


영화는 이들 가족이 범죄를 저지를 때 의도적으로 감각적인 연출과 음악을 선보인다. 이를 테면 일련의 납치, 감금, 고문, 협박, 살인 행각을 알렉스의 일상(여자친구와의 데이트와 섹스, 럭비 경기)과 대비시키는 교차편집을 선보인다던가, 경쾌하고 코믹적이기까지 한 음악을 넣곤 하는 것이다. 


이 모습만 보면 전혀 시대를 엿볼 수 없다. 한나 아렌트가 주창한 '악의 평범성'을 말하고자 하는 건가 싶기도 하다. 역사 속 악행은 국가에 순응하며 자신들의 행동을 보통이라고 여기게 되는 평범한 사람들에 행해진다는 주장 말이다. 당시의 시대상과 결부시키는 것보다, '가족'이나 '악의 평범성'과 같은 주제와 결부시키는 게 영화적 기법을 실현시키기에 더 알맞을 것이다. 


'악의 평범성'을 말하고자 하는 것일까. 당시 시대상과 결부하지 않은 것이 불편하게 다가온다. 영화 <클랜>의 한 장면. ⓒ더블앤조이픽쳐스



바로 그 점에서 이 영화는 불편하다. 시대를 설명하고 있지 않은 건 아니지만, 정작 중요한 사건을 보여줄 땐 시대가 보이지 않는다. 도망가고 있는 것 같다. 탁월한 연출력을 가지고 흥미로운 사례에서 사례 그 자체만 쏙 빼온 것 같은 느낌인 것이다. 이 영화를 보고선 자연스레 아버지, 아들, 가족에게 시선이 갈 수밖에 없다. 백 번 양보해 시대가 보이진 않더라도, 이런 희대의 악마들에게 가족을 들이밀면 안 되지 않은가. 


영화 자체로는 더할 나위 없었다. 연출도 빼어났고 연기도 좋았으며 음악과 의상과 배경도 흠잡을 데 없었다. '영화는 영화다'라고 말하면 그만일지 모른다. 문제는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점이고, 하필 그 실화가 그 어떤 이유를 대더라도 용서받지 못할 짓이라는 것이다. 그들의 행각에 실제로도 '가족'이 큰 역할을 했다손 치더라도 전면으로 내세울 만한 건 아니었다. 훨씬 더 무겁고 덜 감각적으로 그들의 행각에 치를 떨게 만드는 옇화가 되었어야지 않은가, 싶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