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그녀가 남의 쓰레기를 주워 파헤치는 이유 <너를 줍다>

반응형


[신작 영화 리뷰] <너를 줍다>

 

영화 <너를 줍다> 포스터. ⓒ영화로운형제

 

한지수는 오늘도 아파트 단지 내 쓰레기를 뒤진다. 쓰레기를 통째로 집에 가져와선 하나하나 분류하곤 컴퓨터에 정리하기까지 한다. 그렇게 단지 내 사람들을 하나하나 속속들이 파악한다. 그런데 정체불명의 남자가 한 명 보인다. 그녀는 그가 바로 옆집인 705호 사람이라는 걸 파악한 후 곧 쓰레기를 수집해 파악에 들어간다.

그녀가 파악한 그, 강우재는 품위 있는 사람이다. 물고기 하나 죽었을 뿐인데 마치 선물을 포장하듯 곱게 포장했으니 말이다. 이후 지수는 우재의 주위를 맴돌며 그가 관심을 가질 만한 행동을 정확히 한다. 우재로선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한편 지수는 밀키트 판매 회사에 다니는데 고객들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어 선임인데도 컴플레인을 도맡아 처리한다.

지수와 우재 모두 마음의 상처가 있다. 아니, 깊다. 지수는 출판사를 다닌 적이 있는데 작가와 사귀다가 누구한테 차마 말 못 할 정도로 황당하고 또 더럽게 차였다. 버림받았다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우재는 현재진행형인데, 당돌하고 예의 없고 소란스러운 전 여친 윤세라가 술만 마시면 찾아와 깽판을 벌인다. 애초에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이기도 했다. 어느덧 호감을 쌓아가는 지수와 우재, 어디까지 나아갈 수 있을까?

 

25년 전 명작을 영화로 소환하다

 

1999년 제3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은 하성란의 단편소설 <곰팡이꽃>이었다. 매일 새벽 쓰레기봉투를 가져와 안에 있는 쓰레기들을 수첩에 적은 남자가 이웃집 여자를 만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하성란이 집중적으로 다뤘던, 자본주의 도시문화에서 소외되고 단절되고 고립된 현대인의 고독과 무력감을 제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5년이 흐른 지금 봐도 전혀 촌스럽지 않은 건 지금도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일 테다.

2020년 장편 연출 데뷔작 <욕창>으로 고령화 시대의 이면을 예리하게 파고들어 호평을 받은 심혜정 감독이 3년 만에 두 번째 연출작 <너를 줍다>로 돌아왔다. 하성란의 <곰팡이꽃>을 원작으로 했다. 정평이 나 있는 원작의 힘을 오롯이 받아 탄탄하다. 예나 지금이나, 그리고 앞으로도 쓰레기로 쓰레기 주인을 파악한다는 생각은 쉬이 하기 힘들 것이다.

한편 남의 쓰레기를 주워 상세한 신상 파악으로 나아간 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엄연히 개인 정보를 취합하는 행위가 아닌가. 또한 그렇게 취합한 개인 정보로 당사자에게 다가가 관계를 형성하는 데 절대적인 도움까지 얻는 건 스토킹에 해당하는 범죄 행위일 것이다. 물론 감독이 이런 점을 충분히 숙지하고 영화를 만들었을 테니 우리도 충분히 인지한 채 영화를 감상해야겠다.

 

그녀가 남의 쓰레기를 줍는 이유

 

극 중에서 지수는 도대체 왜 남의 쓰레기를 주워 지극히 개인적인 정보까지 취합하려는 걸까. 아마도 오래전 연인에게서 받은 심각한 상처에서 비롯되었을 테다. 그녀는 그의 믿을 수 없는 배신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즉 그를 잘 알지 못했던 것이다. 그 때문에 지수는 더 이상 사람을 믿지 못하게 되었고 자신을 지키고자 사람들을 속속들이 알고 싶어 하게 되었다.

최소한 동네 사람들과 일에 관련된 사람들을 속속들이 알면 더 이상 상처받는 일이 없지 않을까?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잘 알면 모든 게 다 예측이 되니 말이다. 지수는 그 방법으로 쓰레기를 택했다. 쓰레기에는 자신도 모르게 버리는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지극히 일상적인 이야기들이 파편화되어 흩어져 있다. 끼어 맞추기만 하면 거의 모든 걸 알 수 있다.

대변을 생각해 본다. 쓰레기와 더불어 인간의 삶 속에서 '더러움'을 담당하고 있는데, 들여다보면 인간 몸의 거의 모든 게 담겨 있을 것이다. 정녕 속속들이 알 수 있지 않을까. 비록 더 이상 가지고 있을 필요도 이유도 없어 버려진 것들이지만. 지수는 과거 연인에게 너무나도 하찮게 버려진 자신을 쓰레기에 투영하는 걸까. 쓰레기야말로 한 인간을 파악하는 데 꼭 필요하다며 자신의 존재를 위로하는 걸까.

 

'진짜'를 내보이고 싶지도, 알고 싶지도 않다

 

영화 <너를 줍다>는 멜로 영화를 표방한다. 하지만 주지했듯 지수가 우재에게 다가가는 방식이 다분히 스토킹스럽기에 헉하는 장면들이 꽤 있다. 지수는 우재의 쓰레기를 뒤져 그가 뭘 좋아하고 언제 주로 뭘 하는지 등을 세세하게 파악한 후 철저하게 계산해 다가간다. 우재는 서서히 그리고 자신도 모르게 지수에게 호감이 생기며 스며든다. 어느새 그녀를 좋아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녀와 너무 잘 맞고 또 그녀가 자신을 너무 잘 알아주니 말이다.

그래서일까? 섬뜩하면서도 긴장감 어린 로맨스가 흥미진진하기까지 하다. 지수의 한마디, 행동 하나하나가 무심한 듯 우재를 향하고 우재는 그때그때 갸우뚱하는 듯 신기해한다. 그런데 지수나 우재 모두, 특히 지수가 매우 딱딱하고 조용하며 바스러질 것 같은 인상이기에 관계가 진전되는 게 맞나 싶다. 아니, 진전되는 걸 원하는 게 맞나 싶다. 그 자체로 요즘 MZ 세대의 사랑 또는 관계법 같다. 굳이 아는 체하지 않기, 적절한 거리 두기, 같이 있어도 혼자인 듯 등등.

로맨스라고 하니 MZ 세대의 사랑, 인간관계를 끄집어냈지만 각팍한 세상에서 점점 파편화되어 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그려낸 것이기도 하다. 지수는 누구든 속속들이 잘 알지만 정작 관계를 형성시키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저 주위를 맴돌며 겉으로 파악한 면모만 부각할 뿐이다. '진짜'를 알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진짜'를 내보이고 싶어 하지 않는다.

나의 진짜 모습을 내보였다가 배신당하거나 결국 관계가 끊어져 버리면 더 깊은 상처가 남는다. 애초에 진짜도 내보이지 않고 나아가 나라는 사람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는 편이 좋다. 아이러니하게 '진짜' 마음은 이렇지 않을 텐데, 이래야 나를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