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영화 리뷰] <혜옥이>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이라엘은 신림동 고시촌의 더럽기 이를 데 없는 가파른 언덕의 방 하나를 얻어 행정고시 준비를 시작한다. IMF 때 남편과 이혼한 후 딸 하나만을 바라보고 힘들게 살아온 엄마의 바람이 절대적으로 반영된 것이었다. 엄마는 딸에게 “넌 최고니까, 일류니까, 다 할 수 있어“라고 응원하며 힘을 북돋아 준다. 라엘은 뭐라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당연한 듯 첫 번째 시험에선 1차에서 떨어지고 만다. 엄마는 딸에게 변함없이 똑같은 응원의 말을 전한다. 라엘은 힘을 얻어 두 번째, 세 번째 시험을 이어간다. 1차 정도는 합격할 만한 실력과 요령을 갖췄다. 엄마는 여전하다. 라엘은 서서히 지쳐 간다. 그러던 어느 날 엄마는 라엘에게 ‘혜옥’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준다. 지혜 ‘혜’, 보배 ‘옥’으로 말이다.
라엘, 아니 혜옥은 몇 년째 좁디좁은 방과 도서관 그리고 학원을 오가며 공부하고 만나는 사람이라곤 고시 스터디하는 사람들뿐이다. 어느 날 몸에 이상 증세가 나타났는데, 긴장을 하면 참을 수 없는 재채기가 쉴 새 없이 계속 나오는 것이었다. 도서관에서도 학원에서도 시험장에서도 말이다. 도무지 뭘 할 수가 없는 지경이 되어 버렸다. 그런 혜옥이에게 엄마는 몇 년째 변함없는 응원의 말을 보내는데… 혜옥이는 과연 행정고시를 패스할 수 있을까?
행정고시 패스에 청춘을 걸다
몇 년이 걸리든 행정고시만 패스하면 단번에 평생직장 공무원이 되는 건 물론 9급 공무원이 평생 성실히 근무해서 될까 말까한 5급에서 시작하니 인생이 폈다고 할 만하다. 그러니 수많은 젊은이가 청춘을 걸고 행정고시 패스에 매달리는 것이다. 그들을 탓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그들이 선택한 길이니 말이다. 그런데 여기 다른 형태의 모습이 보인다.
영화 <혜옥이>는 행정고시 패스에 청춘을 걸고 앞만 보며 달려가는 어느 고시생의 이야기를 담았다.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 이름이 '혜옥'일 텐데 본래 이름은 '라엘'이었다. 그녀가 몇 년째 고시를 패스하지 못하고 있으니 엄마가 고시 패스에 용하다는 이름으로 개명해 버린 것이었다. 그렇다, '엄마'의 존재가 이 영화의 핵심 중 하나다. '욕망이라는 이름의 엄마'라고 하면 맞을까.
영화는 연출을 맡은 박정환 감독의 사연과 박 감독과 함께 공동 각본을 맡은 정지인 작가의 사연을 버무려 만들었다고 한다. 박 감독은 일찍이 단편들로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이제야 비로소 장편을 만들 수 있었는데 오랫동안 고군분투를 했다. 그런가 하면, 정 작가는 6년 동안 행정고시를 준비했지만 실패한 경험이 있다. 두 각본가의 사연이 충실히 실려 있다 보니 영화가 탄탄할 수 있었나 보다.
욕망이라는 이름의 엄마
엄마와 함께 고시촌을 둘러보며 방을 얻을 때부터 라엘은 전혀 적극적이지 않았다. 적극적이기는커녕 관여하지 않겠다는 듯 또는 싫다는 듯 뒤에 빠져 숨어 있었다. 행정고시 패스를 위한 그녀의 의지 또는 욕망은 애초에 결여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곳을 엄마의 집요하고 순수한 욕망이 대신 채웠다. 결과론적으로 보건대 라엘, 아니 혜옥이 행정고시 패스에 실패하고 마는 게 차라리 나은 것일 수도 있겠다.
말이 ‘어’ 다르고 ‘아’ 다른데, 혜옥 엄마의 격려와 응원은 어느덧 가스라이팅에 다다른다. 최고니까 일류니까, 무조건 할 수 있다고 말하니 처음엔 힘을 얻고 자부심을 느낄지 모르겠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느끼는 바가 다르다. 세상에 나오니, 최고도 아니고 언제까지 일류라고 할 수도 없어서 모든 걸 다 무조건 잘할 수 없으니 말이다. 그럼에도 엄마의 말은 똑같으니 혜옥으로선 미칠 노릇이다.
당사자로선 기한을 정확히 정하고 되든 안 되든 스스로의 의지로 끝맺음을 해야 한다. 설령 한 번만 더 해 본다고 해도 자기 의지에 따르는 게 중요할 테다. 그렇다면 옆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당사자의 실력과 선택에 절대적인 신뢰를 보내야 한다. 당사자를 규정하는 말이나 당사자의 의지에 손상을 입히는 말을 건네서는 안 된다. 그저 듣고 공감하면 될 것이다.
심리 스릴러 청춘 잔혹물
영화는 범상치 않다. 혜옥이 행정고시를 준비하는 피나는 과정을 오롯이 보여 주는 와중에, 혜옥이 고깃집에서 알바를 하는 데 어느 진상 손님의 진상을 오롯이 받고 있는 장면이 계속 나온다. 그 진상 짓이란 혜옥이 가져다주는 고기마다 '프리미엄'이 아니라는 이유로 눈앞에서 버리고 다시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마치 혜옥이에게 "넌 최고가 아니야, 일류가 아니야"라고 말하는 것 같다. 혜옥 엄마가 혜옥에게 계속해서 하는 말과 진상 손님이 혜옥에게 계속해서 하는 말이 정반대인 듯 묘하게 겹친다. 쌍방향 가스라이팅이라고 할까.
흔하디 흔한 청춘물, 고단하기 이를 데 없는 청춘의 날것을 그린 청춘물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이 영화는 심리 스릴러의 모습을 띤 청춘 잔혹물이다. 거기엔 청춘이라면 마땅히 함께해야 할 '성장'이 없다. 청춘의 성장을 방해하는 이들이 쌍방향의 방식으로 옥죄고 앞으로도 세상은 바뀔 요량이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늦게라도 스스로의 의지로 좁은 세상을 박차고 나간 게 성장이라면 성장일까?
내가 혜옥이라면 어땠을까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부모님 이혼, 많이 기운 가세, 엄마의 바람이 베이스를 형성하고 있는 와중에 굴지의 명문대를 나왔는데 집안의 명운을 두 어깨에 짊어지고 있다면 말이다. 오랫동안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자리에서 시작하는 직업을 가져야 하니, 고시 패스밖에 답이 없지 않나 싶기도 하다. 머릿속에 다른 방도가 떠오르지 않는다. 오직 그 방법밖에 없는 것 같다. 있으면 제발 좀 가르쳐 달라고 하고 싶다.
이 영화는 나쁘다, 정직하기도 하다. 끝까지 한 줌의 희망도 건네지 않으니 말이다. 영화의 기능 또는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한다. 영화는 현실을 조금이나마 미화해서 보는 이로 하여금 "그래도 세상은 살 만해"라는 생각을 들게 해야 할까, 현실을 있는 그대로 건네 보는 이로 하여금 "역시 세상살이는 쉽지 않네"라는 생각을 들게 해야 할까. 개인적으로 후자 쪽이다.
'신작 열전 > 신작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춘 그리고 돈과 계급에 관한 처연한 자화상 <그 겨울, 나는> (0) | 2023.01.19 |
---|---|
파인 다이닝 셰프의 완벽하고 섬뜩한 계획이란? <더 메뉴> (0) | 2023.01.11 |
송태섭의 이야기로 다시 시작하는 '슬램덩크' <더 퍼스트 슬램덩크> (0) | 2023.01.02 |
혼란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여성의 삶에 활력을 불어 넣을 때 <나나>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