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도서

<강철 폭풍 속에서> 전쟁의 속살 만을 지독하게 파헤치는 소설

반응형




[서평] <강철 폭풍 속에서>


<강철 폭풍 속에서> ⓒ뿌리와이파리

2차 세계 대전을 그린 최고의 역작 <밴드 오브 브라더스>는 10부작 드라마이다. 그 중에서 7번째 챕터는 미국군 공수부대가 숲 속에서 독일군의 대포격을 받는 장면이 주를 이룬다. 참호를 파고 무작정 버티고 지키는 미국군과 이를 뚫고자 무차별 포격을 가하는 독일군. 수많은 희생자를 낳는다.  


산전 수전 공중전까지 겪은 최고의 공수부대조차 이 무차별 포격 앞에서는 속수무책이다. 안 그래도 추위와의 싸움으로 녹초가 되어가는 그들이었다. 이 와중에 포격으로 인한 불빛과 쓰러지는 나무를 보고 어이 없는 웃음을 짓는 이가 있다. 그는 어떤 연유로 그런 웃음을 짓는 것일까. 


"파다 만 참호 안에서 생각나는 거라곤 꼬마 때 1월 4일 뿐이었다. 난 딱총이나 폭죽을 만드는 걸 즐겼다. 그걸로 흙더미나 병을 날려버리는 게 그렇게 신 날 수 없었다. 그날 포격처럼 무시무시한 광경은 내 생애 처음이었다. 조 토이 일을 알았다면 웃진 못했을 거다."


무시무시한 포격을 영상으로 보여주며 역설적으로 웃고 있는 그 모습을 잊을 수 없다. 마치 현장에 있는 듯 내 몸의 떨림이 아직도 생생하다.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이 드라마도 이 포격 장면을 위해서 이 소설을 참고했을 것이 분명하다. 1차 세계 대전을 독일군의 시각에서 그린 에른스트 윙거의 <강철 폭풍 속에서>(뿌리와이파리)이다. 


소총, 기관총, 수류탄, 박격포 등이 쉴 새 없이 오고 가는 전장에서의 '강철 폭풍' 중에서 단연 압권은 박격포의 포격이다. 이 소설에서 이에 관한 단어와 묘사가 족히 수백 번은 나오는 듯하다. 그만큼 이 전쟁에서 포격은 반복되는 일상과 다름 아니다. 


"밤에는 사납게 빗발치는 한여름 뇌우처럼 맹렬한 포격이 머리 위로 떨어졌다. 그러고 나면 나는 아무런 근거도 없이 이상하게도 안전하다는 느낌에 빠져서, 싱싱한 풀을 풀을 푹신하게 깔아둔 침대에 누워 사방에서 포탄이 터지고 벽에서 흙모래가 줄줄 흘러내리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곤 했다... 그런 순간에는 그때까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기분이 엄습했다. 짐작할 수 없을 만큼 오랜 기간 동안 낭떠러지 끝에서 격한 삶을 살아낸 뒤에 오는 엄청난 심경의 변화 같았다." (321쪽)


이 소설은 작가가 화자인 만큼 투철한 사실성을 담보하고 있다. 작가는 다름 아닌 1차 세계 대전 참전 장교이고 종전 후 훈장까지 받은 사람이다. 그가 직접 겪은 전쟁을 일기 형식으로 담아냈다. 수많은 전쟁 영화와 소설을 접한 필자의 시각으로 보자면, 이 소설의 미덕은 확실하다. 그건 정녕 전쟁 그 자체를 그렸다는 점이다. 어떤 영웅주의, 반전주의, 이데올로기, 철학 따위의 첨부 없이 전쟁 만을 있는 그대로 그려냈다. 


이런 작품을 그려내기 위해서는 일단 전쟁에 참여해 실제로 수많은 전투에 임했던 사람이어야 한다. 그리고 그 지옥에서 살아남아야 하며, 그 와중에서 철저히 객관적인 기록을 남길 수 있어야 하고, 글을 잘 써야 한다. 정치적으로 중립 또는 애매모호함을 지닌 사람이어야 한다. 이 소설의 작가는 이런 불가능할 것 같은 이력을 지닌 사람이다. 


소설은 시종일관 무심한 듯 끊임없이 반복되는 전장에서의 일상을 그린다. 포격이 오가고, 가스전이 시작되고, 소총과 기관총이 불을 뿜고, 기어코 백병전에 다다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죽는다. 작가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지경이다. 실제로 작가도 14번의 크고 작은 부상으로 죽을 고비를 몇 번이나 넘겼다고 한다. 


이 소설은 우리가 제대로 접해본 적이 없는 1차 세계 대전을 그리고 있다는 점을 차치하고라도 매우 낯설다. 미국식 영웅주의 또는 반전주의에 익숙한 지금 시대의 사람들에게는 이런 류의 글이 익숙하지 않을 것이다. 전쟁 콘텐츠에서 보여주는 사실적인 묘사는 비슷할 지 모르지만, 이렇게 전쟁 '외(外)'가 아닌 '내(內)'만 보여주는 건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충실하다 못해 지독하기까지 하다. 


"그는 전쟁의 정당성을 분석하거나 그 결과의 타당성에 의문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저 자신이 참가한 전투 그 자체를, 날마다 군인의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면서 그가 본 것과 그가 한 행동을 있는 그대로 묘사할 뿐이고, 그 점에서 이 작품을 따를 1차 대전 문학은 없다." (책의 뒤 표지)


이 소설에서 묘사하고 있는 무심하게 반복되는 일상은, 반복과 무심함으로 인해 너무나 당연하게 넘어가고 있지만 사실 끔찍한 '폭력'이다. 폭력으로 인해 다치고 죽고, 폭력을 사용해 상대를 다치게 하고 죽인다. 이것이 끊임없이 되풀이되다 보니 어느 순간 예전의 내가 아니게 된다. 폭력에 길들여지는 것이다. 작가가 이를 의도하고 쓴 것이라면 정녕 위대하다 할 수 있겠다. 


개인적으로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없다>를 이미 접하고 <강철 폭풍 속에서>를 읽었다. 취향은 후자의 전쟁 그 자체 만을 투철하게 그린 것을 좋아하지만, 전자의 스토리텔링이 훨씬 재미있고 잘 읽혔다. 문학적 위대함은 후자가 훨씬 높을 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스토리텔링이라는 미명 하에 재미있고 잘 읽히는 문학 만을 찾는 이 시대에 이런 문학의 출간은 뜻 깊은 일이다. 최소한 '전쟁의 시대'라는 불명예 만은 피하고 싶은 21세기 초에 이런 순수 전쟁 문학은 어떻게 읽힐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