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계약의 신성함조차 넘어선 인류애적인 행동의 결과는

반응형

 
[영화 리뷰] <더 커버넌트>

 

영화 <더 커버넌트> 포스터. ⓒ제이앤씨미디어그룹

 

2018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한창인 아프가니스탄, 미 육군 상사 존 킨리는 탈레반의 사제 폭탄 공장을 찾아 파괴하라는 임무를 맡고 있다. 검문 수색을 하고 있던 어느 날, 부하와 통역사를 잃고 만다. 하여 빠르게 새로운 통역사를 뽑는다. 추천을 받아 매우 위험한 일이라는 사실을 인지시키곤 그저 먹고살고자 일을 할 뿐이라는 말에 함께하기로 한다.

그렇게 존과 아메드는 어디든 함께 다닌다. 아메드는 탈레반에 적개심을 품고 있었는데 아들을 잃었다고 한다. 이제 미군에 소속되었기에 배신자 내지 반역자로 낙인찍혔을 터였다. 하여 그는 미군에 훌륭하게 협조한 후 미국 비자를 받고자 했다. 처음에는 선을 넘을 듯 말 듯 자신의 명령을 잘 지키지 않는 것 같아 마음에 들지 않았으나 차츰 이해하기 시작한 존이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수색 중인 존의 부대, 이번엔 폐광산이다. 드디어 사제 폭탄 공장을 찾은 듯하다. 그런데 곧 탈레반 지원군이 몰려든다. 모든 부대원을 잃고 간신히 빠져나온 존과 아메드, 하지만 목숨이 경각에 달린 건 매한가지다. 부지불식간에 총상을 당하고 쓰러지는 존, 끌려갈 찰나 아메드가 그를 구한다. 그러곤 부상당한 존을 끌고 미군 기지까지 장장 100km 넘는 험난한 길을 가는 아메드, 과연 그들은 무사할까?

 

계약의 신성함, 인류애적인 행동

 

자그마치 1998년에 데뷔 후 쉬지 않고 영화를 찍어온 가이 리치 감독, 데뷔작 <록 스타 앤 투 스모킹 배럴즈>를 포함해 호평을 받은 영화들도 많고 <셜록 홈즈> <알라딘> 등으로 흥행 대박을 터뜨리기도 했다. 물론 많은 영화가 그저 그렇게 지나가 버렸다.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시작한 2020년대에도 여전히 쉬지 않고 영화를 내놨는데 <더 커버넌트>가 절대적인 호평을 받았다. 안타깝게도 흥행에선 참패했지만.

명배우 제이크 질렌할을 원톱으로 내세운 <더 커버넌트>는 '계약, 서약'이라는 뜻을 지닌 원제를 그대로 차용했다. 살아가 보면 인생의 대부분이 계약에 의해 돌아가는 것 같다. 계약서가 필요 없이 암묵적으로 또는 법적으로 지키는 것들부터 사소한 것부터 거대한 것까지 영수증 내지 계약서가 필요한 것들까지 셀 수 없이 많다는 정도가 아니라 사실상 모든 것일 테다.

그래서 때론 계약을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너무 힘들거나 심지어 목숨이 달린 일일 때는 애써 무시하기도 한다. 영화에서 아프가니스탄 현지 통역사 마메드의 행동, 즉 목숨이 경각에 달린 존 킨리를 구하고자 자신의 목숨까지 내놓다시피 한 건 계약의 신성함을 일깨운다. 탈레반을 아무렇지도 않게 죽이니 만큼 목숨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신념 때문은 아닐 것이다.

그는 미군과 체결한 공적 계약, 그리고 존 킨리와 맺은 사적 서약을 기반으로 행동했을 뿐이다. 누군가한테 배신자이자 반역자로 낙인 찍히면서도 미군 소속이 되는 순간 이미 예견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그가 특별해진 건 그가 존 킨리를 구하기 위해, 즉 공적 계약을 훌쩍 뛰어넘는 사적이고 또 인류애적인 행동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그들이 한 일이 수많은 이의 목숨을 앗아가는 사제 폭탄을 만드는 공장 파괴이기에 맥이 이어진다.

 

전쟁 장르지만 휴머니티 드라마

 

원제가 자못 눈에 띈다. 해석해 보면 '가이 리치의 약속'이라는 뜻인데 영화 외적으로 감독이 관객에게 말하고 있는 것도 같다. 마치 '내가 제대로 된 영화를 만들게'라고 말한 약속을 지키려는 듯 영화를 만들었다. 그래서 그런지 영화는 정말 좋다, 아니 정말 잘 만들어졌다.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부조리함, 전쟁이라는 것의 현실감 등을 잘 표현했고 후반부에선 보다 개인에 천착해 감정을 잘 들여다봤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점을 한껏 살린 듯, 전체적으로 리얼리티가 상당했다. 전쟁은 20세기까지의 전유물인 줄 알았건만, 21세기에는 더 이상 전쟁으로 죽는 사람들이 없을 줄 알았건만 수시로 다치고 터지고 죽는다. 그럼에도 영화는 최대 장점인 리얼리티를 딱 그 정도로만 사용한다.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영화지만 휴머니티 드라마를 지향하기 때문일 것이다.

내가 마메드라면, 피붙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몇 년 동안 함께 사선을 넘어온 전우도 아닌 이를 목숨 걸고 구할 수 있을까. 내가 존 킨리라면, 아무리 나를 구해줬지만 여전히 현지에서 배신자이자 반역자로 낙인찍혀 도망 다니고 있는 이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네가 나를 때렸다고 무조건 나도 너를 때리지 않는 것처럼, 네가 나를 구했다고 나도 너를 구해야 한다는 법은 없지 않은가. 어려운 일이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만큼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 어떤 식으로 끝날지 대략 감이 온다. 그걸 얼마나 흥미진진하게 긴장감 어리게 감동적이게 그려내는 것이 감독의 몫일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영화는 완벽하다. 작정하고 삼박자의 조화를 이뤘다. 개인적으로 지루한 면모도 전혀 보이지 않았다. 계속 뒤가 궁금할 뿐이었다. 극장 개봉의 면이 서길 바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