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가족 간에도 선이 필요하다, 우린 남이니까" <라인>

반응형


[신작 영화 리뷰] <라인>

 

영화 <라인> 포스터. ⓒM&M


알프스 산맥이 훤히 보이는 한적한 마을의 어느 집, 가족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살기 어린 눈빛으로 기어코 엄마 크리스티나의 빰을 때려 버린 큰딸 마르가레트. 크리스티나는 쓰러지면서 피아노에 왼쪽 귀를 다쳐 청력을 거의 잃는다. 마르가레트는 집에서 쫓겨났고 3개월간 엄마로부터 100미터 접근 금지 명령을 받는다. 막장도 이런 막장이 있을까 싶다.

 

12살짜리 막내딸 마리옹이 중재에 나선다. 막무가내로 엄마를 만나고자 하는 마르가레트에게 엄마의 상태를 말해 주지 않으면서 더 이상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하고, 확실하게 하고자 파란 페인트로 100미터 선을 긋는다. 그러며 마르가레트에게 영성체 수업을 받는다. 주기적으로 마르가레트와 만나며 살피고 또 정보를 주고받으려 한 것이다.

 

하지만 엄마와 큰딸, 크리스티나와 마르가레트의 사이는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크리스티나는 한쪽 귀의 청력을 잃어 강습도 하기 힘든 한편 계속해서 새로운 남자를 만나고 다닌다. 같이 사는 막내딸 마리옹이 어떻게 생각하든 상관 없이 말이다. 마르가레트는 새로운 일을 시작했는데, 엄마의 말마따라 음악적 재능을 낭비하고 있는 것 같다. 여전히 분노 조절이 힘들어서일까? 뭐라 표현하기 힘든 이 가족, 과연 어떻게 될까?

 

현대 가족 심리를 꿰뚫다

 

영화 <라인>은 드러난 것들보다 숨겨진 것들이 많다. 그래서 생각대로 흘러가지 않는 듯한데, 패륜적이고 지극히 일차원적인 양상에서 시작해 굉장히 고차원적인 양상으로 끝맺는다. 큰딸 마르가레트가 도대체 왜 엄마 크리스티나를 물리적으로 가격했는지 직접적인 이유를 알기가 힘들다. 이를테면 크리스티나가 마르가레트를 물리적 정신적으로 학대했는지? 크리스티나가 마르가레트로선 도무지 받아들일 수 없는 파렴치한 짓을 저질렀는지?

위르실라 메이에 감독은 프랑스의 위대한 배우 이자벨 위페르와 함께 데뷔작 <홈>이 칸 영화제에 초청되는 등 전 세계 영화계에 작은 파문을 일으켰고, 현재 전 세계 영화계를 뒤흔들고 있는 레아 세두와 함께한 <시스터>가 베를린영화제에서 특별은곰상을 수상하며 다시 한 번 만방에 이름을 알렸다. 특출나게 활발히 활동하진 않지만 내놓는 작품마다 기대를 충족시킨다.

<라인>은 그녀가 10년 만에 내놓은 장편 영화로, 다시 한번 베를린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벨기에의 거장 다르덴 형제가 제작했다고 개봉 전부터 화제를 뿌렸는데, 외적인 논란과 함께 내적으로 인간 심리를 꿰뚫는 이야기를 누구보다 잘 보여주는 다르덴 형제가 선택한 영화라는 점에서 기대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영화도 비슷한 결일 거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

 

불행하고 비극적인 21세기 가족

 

한때 잘나갔던 솔리스트 크리스티나, 그녀의 말에 따르면 20살에 불과한 나이에 큰딸 마르가레트를 낳으며 망가져 버린 커리어. 그래도 큰딸은 엄마의 음악적 재능을 이어받아 음악 작업도 하고 직접 노래도 부르는 것 같다. 그러다 보니, 영화 전반에 음악이 짙게 깔린다. 알프스 산맥의 풍광이 아름답고 평온하게 펼쳐지고 그 아래 음악 역시 아름답게 펼쳐진다.

상처 입고 병든 가족의 모습과 아름답고 평온한 풍경, 음악이 극단적으로 대조된다. 찰리 채플린이 했다는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라는 말이 겹쳐 보인다. 레프 톨스토이 <안나 카레리나>의 유명한 첫문장 ‘행복한 가정은 모두 모습이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제각각의 불행을 안고 있다’도 떠오른다. <라인> 속 가족은 여느 가족과 비슷하지 않다는 점에서 불행해 보이고 멀리서 보는 것과 다르게 가까이서 보면 비극적이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20세기에 어떤 가족의 형태에서 자라(21세기에 태어난 이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지만) 어떤 가족의 형태를 꾸려 가고 있을까. 행복한가 불행한가, 평범할까 특이할까, 희극적일까 비극적일까. 삶의 형태가 급격히 크게 그리고 나도 모르게 바뀌어 가고 있는 지금, 가족의 형태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아지고 있다. 아니 고민을 심도 깊게 해야 할 때다.

 

가족 간에도 선이 필요하다

 

이 영화에서 막내딸 마리옹이 손수 파란 페인트로 그은 선은 의미심장하다. 외견상 접근 금지 명령을 지키고자 엄마로부터 100미터 떨어진 지점에 선을 그어 마르가레트로 하여금 넘어오지 못하게 하려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면에는 그녀가 엄마와 언니 모두를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언니가 이 선을 넘어 엄마를 만나면 돌이킬 수 없는 사태에 직면해 가족이 완전히 와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마리옹은 이 선을 지켜야 한다.

가족 간에도 선이란 게 필요할까? 무릇 가족이라 하면 ‘나’와 다름없는 존재이자 ‘나’보다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존재이자 ‘나’를 대하는 것처럼 대해도 무방한 존재 아니던가? 그런 사이에 선을 그어 최소한의 거리를 둬 지킬 건 지키고 존중할 건 존중해야 한다는 말인가? 이 영화는 그래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무식하지만 진짜로 선을 그어 보니, 함부로 넘어갈 수 없고 그래서 더 보고 싶기도 하고 애틋한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복잡다단한 마음이다.

무엇보다 이전처럼 편하게 그리고 막 대할 수 없을 것 같다. 다시 만나면 어색해서 눈도 제대로 맞출 수 없을 것 같다. 이게 과연 올바른 가족의 형태라고 할 수 있는가? 이렇게도 불편한 모습이? 이 영화는 그렇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 모습이 종착점은 아닐지라도 시작점이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최소한의 거리를 두며 어색하고 불편하더라도, ’가족‘이라면 그리고 계속 ‘가족’이고 싶으면 거기서 시작해야 한다고 말이다.

가슴으로 온전히 받아들이긴 힘들지만 머리로는 100퍼센트 동감한다. 가족의 형태가 선택되어진 천륜에서 선택하는 인륜으로 넘어가고 있는 지금, 가족 내에서도 최소한의 거리를 두고 선을 지키며 서로 존중해야 하는 건 당연한 수순으로도 보인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