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홀로 기차 여행 중 소울메이트를 만나면? <6번 칸>

반응형


[신작 영화 리뷰] <6번 칸>

 

영화 <6번 칸> 포스터. ⓒ사이더스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유학 중인 핀란드인 라우라, 그녀는 러시아 현지인 여교수 이리나와 사귀고 있다. 몸을 섞는 사이이기도 하니 꽤 깊은 관계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고대 암각화를 보기 위해 무르만스크까지 머나먼 여정을 떠나는 건 라우라 혼자다. 원래 이리나와 함께 가기로 했는데 이리나에게 일이 생겨 같이 가지 못하게 된 것이다. 흔들리는 관계의 라우라와 이리나다.

 

라우라는 무르만스크행 기차 6번 칸을 배정받았다. 2명이서 한 칸을 같이 써야 하니, 원래 이리나가 있어야 할 자리에 웬 민머리의 남자가 있다. 그런데 그가 다짜고짜 무례하게 말을 시키고 함부로 행동하는 게 아닌가. 참다 참다 못 참게 된 라우라는 대놓고 칸을 바꾸려고 하지만 여의치 않다. 괜히 남자에게 밑 보인 것 같다. 이왕 같이 지내게 된 거 남자의 무례를 받아줘야 하나?

 

로하라는 이름의 남자, 그가 막무가내 예의 없이 들이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마음이 열린다. 이내 급격히 친해지는 라우라와 로하. 그때 핀란드인 남자 한 명이 헤매고 있길래 라우라가 6번 칸으로 초청해 같이 있게 한다. 로하의 반응이 의외다. 반기기는커녕 한시도 같이 있기 싫은지 나가 버리지 않나, 셋이서 같이 정차 시간을 이용해 산책을 나가자고 하면 욕으로 답을 하지 않나.

 

로하는 라우라가 다른 남자와 친하게 지내는 모습을 봐줄 수가 없는 걸까? 그렇다면 로하는 원래 그런 성격이 아닌데 라우라에게만 틱틱거린 걸까? 라우라와 로하, 로하와 라우라의 여행이 기대된다.

 

<비포 선라이즈>의 현실판

 

기차를 자주 타야 했을 때가 있었다. 영화 <비포 선라이즈> 등의 영향, 인터넷과 TV에서 떠들어 대는 사연의 영향으로 항상 나도 모르게 기대했더랬다. 옆자리에 앉는 누군가와 풋풋한 로맨스를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현실은 쳐다보지도 못하고 말 한마디 못 붙이는 숙맥이었기에 로맨스는커녕 그 어떤 관계도 형성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꿈꾸는 건 자유, 기대하고 상상했던 그때 그 시절이 생생하다.

 

핀란드의 유호 크로스마넨 감독이 두 번째 장편 <6번 칸>으로 화려하게 돌아왔다. '<비포 선라이즈>의 현실판'이라는 해외 언론의 평이 있는 만큼 일명 '기차 영화'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유럽 영화 특유의 내러티브가 자못 지루함을 자아내지만 주인공들 간의 섬세한 사랑 이야기가 아기자기하다. 비록 그들은 100% 우연으로 만나 첫인상도 최악이었지만, 누구라도 기분 좋아지게 하는 알콩달콩 사랑싸움(?)을 이어간다.

 

이 작품은 2021년 제74회 칸 영화제에서 아스가르 파르하디의 <어떤 영웅>과 공동으로 2등상이랄 수 있는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평범한 로맨스 영화로 그저 재밌게 즐기는 대상은 아니라는 방증이다. 유호 크로스마넨 감독은 장편 데뷔작 <올리 마키의 가장 행복한 날>로 이미 2019년 제69회 칸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 대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에 이름을 알린 바 있는데, 이번 수상으로 가장 주목받는 차세대 감독 반열에 올라섰다.

 

끌리지 않을 수 없는 소울메이트?

 

<6번 칸>은 재밌다고 하긴 힘드나 흥미롭다. 기차의 같은 칸에서 우연히 만난 두 남녀가 첫눈에 반해 긴장감 어린 대화와 몸짓을 이어가며 서로 그야말로 쫄깃한 감정을 주고받는 류의 이야기는 아니다. 무례하기 짝이 없는 러시아 남자의 첫인상에 질겁해 자리를 피하는 건 물론 칸을 바꾸려고 하기까지 하는 핀란드 여자, 뭐 하나 맞는 게 없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이란 게 참으로 미묘하다. 설명하기 힘든 지점이 있다. 라우라는 알면서 모른 채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리나와의 관계가 제대로 된 것 같지도 않고 오래갈 것 같지도 않다. 머나먼 타국에서 외로워 찾은 아름다운 사람인 것이다. ‘이리나’라는 사람 자체를 진실로 사랑한 건지 잘 모르겠다. 물론 라우라와 같이 오지 않은 건 이리나이지만 말이다. 그런 와중에 이리나와는 정반대 되는 사람이 눈앞에 나타나 알짱거리는 게 아닌가.

 

처음에는 '로하'라고 하는 사람 자체를 보지 못했다. 당연히 그럴 수 있는데, 무례한 러시아인 남자만 보였다. 그런데 아주 조금씩 그리고 천천히 그를 들여다보니 순수하고 소심하지만 당차고 재밌는 친구였다. 라우라 자신의 본연과 가까운 모습이었다. 한없이 고급지고 아름답기만 한 이리나와 함께 있을 땐 도저히 보여줄 수 없었던 본연의 모습 말이다. 그러니 끌리지 않을 수 있나? 혹하지 않을 수 있나?

 

'소울메이트', 말 그대로 영혼이 끌리는 혹은 영혼이 맞닿은 친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모르긴 몰라도 누구나 살면서 한 명쯤 소울메이트를(소울메이트라고 생각될 정도로 끌리고 또 잘 맞는 친구를) 만나거나 사귀기까지 해 봤을 테다. 또 다른 나, 나도 미처 몰랐던 또 다른 나를 만난 것 같은 격한 끌림과 신기한 설렘으로 어쩔 줄을 모른다. 앞뒤 없이 그저 좋아할 수밖에 없다.

 

인간의 감성이라는 방면

 

라우라와 로하, 로하와 라우라의 관계를 소울메이트로 풀 수도 있지만 '인간은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라는 명제로 풀 수도 있겠다. 그들이 향하는 무르만스크는 세계 최북단 도시이자 북극권 최대 도시로 모스크바에서 2천 km 정도 떨어졌다. 모스크바에서 무르만스크로 가는 길은 한없이 멀고 또 시간이 지날수록 추워지며 자연스레 움츠러들고 고독해진다.

 

지루하고 춥고 외로워지면 스스로에게 천착하며 안으로 침착할 테지만 옆에 누군가가 있다면 그 또는 그녀에게 몸과 마음이 갈 수밖에 없다. 그러니 내 마음에 솔직해질 때 상대가 보이고 상대에게 진심 어리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인간관계라는 것이, 사랑이라는 것이 욕망의 치열한 부딪힘이라는 걸 알 수 있는 것이다. 추운 내 몸을 녹여 줄 사람, 지루한 내 상황을 타개해 줄 사람, 외로운 내 마음을 다독여 줄 사람을 원하는 것이다. 지극히 원초적 욕망에 가깝다. 

 

그런 면에서 <6번 칸>은 사랑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한 방면을 통째로 옮겨놓으려는 듯하다. 이성과 감성 중 감성, 감각, 감정, 욕망 쪽을 말이다. 라우라와 로하가 서로에게 조심스럽게 다가가 사랑을 확인하는 지극히 평범한 모습이 아니라, 마치 오래된 친구처럼 이리저리 뒹굴며 노는 모습인 게 굉장히 원초적으로 다가온다. 

 

사람과 사람 사이는 입체적이어야 한다. 라우라와 이리나의 이성적인 관계, 라우라와 로하의 감성적인 관계 모두 일차원적이다. 이성과 감성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려고 노력할 때 좋은 관계가 계속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말로는 쉽지, 실현시키는 건 너무나도 어려운 일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