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심장을 다시 뛰게 하기 위해, 어머니의 그곳을 봐야 한다? <세상의 기원>

반응형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세상의 기원>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세상의 기원> 포스터.

 

아내 발레리와 섹스 후 불 끄고 하는 것도 지겹다느니 왜 오르가즘을 연기하냐느니 불만을 표출하는 남편 장루이, 침대를 박차고 일어나선 나가 피아노를 치더니 밖으로 나가 버린다. 오밤중에 산책을 하다가 낯선 이와 섹스를 하는데, 아무런 느낌을 받지 못한다. 다음 날 친한 친구 미셸과 점심을 먹고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는데 뭔가 이상하다. 심장이 뛰질 않는다. 사무실로 돌아와 팔굽혀펴기를 해 봐도 심장은 뛰지 않는다. 수의사로 일하는 미셸에게 전화해 와 줄 것을 부탁한다. 미셸의 진단도 똑같다. 

 

심장이 뛰질 않으니 병원에 가야겠지만, 심장이 뛰지 않는데도 버젓이 살아 있으니 병원에 가면 우선 제세동기로 심장에 충격을 주곤 삽관을 하고 산소 호흡기를 달아 줄 것이었다. 그는 의학적 개념으로 죽은 것이기에 그를 소생시키고자 의학적 혼수상태에 빠뜨릴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티격태격 우왕좌왕하고 있을 때 나타난 발레리, 그녀는 장루이를 데리고 영적 스승이자 인생 코치 마고를 찾아간다.

 

마고는 이내 장루이의 문제점과 어린시절의 내밀한 이야기들을 꿰뚫어 보며 놀라움을 선사한 뒤 충격적인 숙제를 내 준다. 그녀는 장루이의 문제를 풀기 위해선 어머니의 근원이자 장루이가 태어난 '그곳'을 봐야 한다며, 어머니를 데리고 와서 그곳을 보여 주던가 어머니의 그곳 사진을 찍어 오라고 말한다. 황당하기 그지없지만, 믿을 수밖에 없는 마고의 말을 따르지 않을 수 없다. 장루이는 지난 몇 년간 얼굴을 본 적도 없고 전화 통화조차 한 적이 없는 어머니를 찾아가 어머니의 그곳 사진을 찍어 와야 한다...

 

명화 <세상의 기원>, 영화 <세상의 기원>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엔 <세상의 기원>이라는 제목의 그림이 한 편 있다. 프랑스의 사실주의 화가로 유명한 귀스타브 쿠르베의 작품으로, 후원자이기도 한 터키의 전직 외교관 카릴 베이의 의뢰로 그렸다고 한다. 지금은 물론 19세기 중반인 당시엔 파격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머리는 시트로 가린 채 가슴과 유두, 복부와 벌린 다리, 생식기, 음모까지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세상의 기원>은 제목과 소재까지 모두 쿠르베의 명화에서 따온 게 분명해 보인다. 제목은 'L'origine du monde'로 똑같고, 소재도 '여성의 생식기'로 동일하다. 다만, 다른(다를 것으로 생각되는) 게 있다면 의도가 아닌가 싶다. 쿠르베가 이처럼 누드화를 사실적으로 그린 건 아카데믹한 누드화를 그리는 제도권 미술에 대한 반감이었다. 

 

반면, 영화 <세상의 기원>의 경우 중년의 위기에 직면한 장루이가 심장이 멈추는데 다시 뛰는 심장으로 살아가기 위해선 기원이자 태초를 들여다봐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하필 어린시절의 나쁜 기억으로 엄마와 연락을 끊다시피 하며 살아가고 있었으니 풀어야 할 문제가 산더미고 넘어야 할 산이 높고 많다. 

 

중년의 위기, 문제적 심리

 

40대에 접어든 장루이가 몸에 믿기 힘든 이상이 생기니만큼 '중년의 위기'로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장루이의 불우한 어린시절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어머니도 그렇고 영화 중후반 미셸이 '난 실패하지 않았다'며 과격하면서도 특이한 행동을 하는 것도 그렇고 일생의 심리 문제 또는 문제적 심리를 다루고 있다는 느낌도 받았다. 변호사로 중상류층의 삶을 영위하며 더 이상 이룰 것도 없고 이루고 싶은 것도 없어진 이(장루이)의 유턴 심리가 작용한 것 같기도 하다. 

 

바로 이 점이 이 작품을 보고 대할 때 난처한 점인데, 물론 중년의 위기라는 게 그때까지 살아오면서 쌓인 문제들이 한꺼번에 폭발해서 일어나는 일이라지만 영화에서 보고 싶은 건 중년의 위기 이후의 보다 실질적이고 실제적인 이야기들일 것이다. 프랑스 영화인 만큼 은유와 상징이 좀 더 풍부할 테지만 말이다. 그런데 이 영화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았다. 

 

중년의 위기를 다룬 영화, 그것도 블랙 코미디로 표현한 영화가 무수히 많이 나와 있어서일까. 이 영화가 지향하는 게 중년의 위기가 아닌 다른 것이어서일까. 개인적으로 이대로도 충분히 재밌었고 또 프랑스식 블랙 코미디의 정수를 접한 것 같아서 나름 의미도 있었다. 그러나 짧은 러닝타임에 살을 더 붙여 보다 풍부하게 장식했어도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프랑스식 블랙 코미디의 호불호

 

누가 봐도 전형적인 프랑스식 블랙 코미디라고 할 수 있는 이 작품, 하지만 프랑스 아닌 우리에겐 프랑스식 블랙 코미디뿐만 아니라 프랑스 영화도 낯설기에 '전형적인 프랑스식 블랙 코미디'라고 하면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낯선 장르가 아닐까 싶다. 아무리 청소년 관람 불가 작품이라고 하지만, 성인도 감히 가늠하기 힘든 난감한 성 유머와 인종·성별을 넘나드는 풍자 그리고 문화적 차이가 드러나는 태도와 자세 등이 자못 불편하기까지 했다. 

 

무엇보다 너무 아무렇지도 않은 듯 꽤 오랜 시간 펼쳐 보이는 성기 노출+헤어 누드가 두 눈을 의심케 할 정도였다. 이 부분이 쿠르베의 작품과 맞닿아 있었는데, 너무 과감히 드러내 보이니까 역설적으로 오히려 외설적이지 않아 보였던 것이다. 호불호가 여실히 갈릴 수 있는 부분인데, 의도도 좋았고 또 잘 살렸으나 작품 보는 이들을 온전히 품진 못했다고 평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영화는 2020년 칸 영화제 공식 초청작 중 하나로 뽑혀 일찌감치 선보인 바 있다. 또한 프랑스의 대표 영상 작품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알로시네'에서 5점 만점에 3점을 획득해, 적어도 프랑스 자국에선 왠만큼 먹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 프랑스식 코미디와 코드가 맞는다면 한 번쯤 보고 지나갈 만하겠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