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아빠 장례날 남의 잔칫집에 가야 했던 한 남자 <잔칫날>

반응형



[신작 영화 리뷰] <잔칫날>


영화 <잔칫날> 포스터. ⓒ트리플픽처스



무명 MC 경만은 온갖 행사를 뛰며 대학교에 다니는 여동생 경미와 함께 뇌졸중으로 2년 동안 병원에 입원해 있는 아빠를 간호 중이다. 엄마는 집을 나가고 없다. 여의치 않지만 한 가족이 서로를 보다듬고 보살피는 나날을 보내던 어느 날, 경만이 일을 하던 도중 경미가 간호 중에 있을 때 아빠가 돌아가신다. 딸의 도움을 받지 않으려다가 다친 걸로 보인다. 


졸지에 아빠의 장례식을 치르게 된 경만과 경미, 그런데 슬퍼할 겨를도 없이 서슬 퍼런 현실과 맞딱뜨린다. 장례식을 치르는 비용이 뭐 이렇게 많이 들어가는지... 바로 결제를 해야 하는 시스템인데, 경만은 돈이 없다. 그런 와중에, 친한 형이 아내의 출산으로 뛰지 못할 지방의 큰 건을 경만에게 부탁한다. 경만은 당연히 거절하지만, 큰 액수를 듣고 결심한다. 경미에겐 집에 갔다가 병원에 들러 온다고 거짓말을 해 놓고, 팔순 축하연 행사 MC를 맡으러 삼천포로 향한 것이다. 


현장에 가니, 동네 잔치급의 행사에다가 남편을 잃은 후 웃음이 사라진 팔순의 어머니에게 웃음을 되찾아 주면 좋겠다는 아들 일식의 특별 주문도 받게 된다. 아빠의 장례날에 생판 모르는 남의 생신 축하연에서 재롱을 피워야 하는 아이러니란... 팔순의 어머니께 웃음을 찾아 주는 덴 성공하지만, 갑자기 쓰러지시니 잔칫날의 분위기가 이상해진다. 한편, 아빠의 장례식장을 홀로 지키고 있지만 경만의 부재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경미에겐 온갖 사람들한테서 압박과 잔소리가 들이닥치는데... 애잔한 남매의 짠한 하루의 끝은 어떨까?


김록경 배우의 관록 있는 장편 연출 데뷔작


영화 <잔칫날>은 2004년 데뷔 후 메이저급 영화의 단역과 단편의 주연을 넘나들며 수십 편의 작품에서 얼굴을 비춰 온 김록경 배우의 장편 연출 데뷔작이다. 올해 7월 치러진 제24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자그마치 4관왕(작품상, 배우상, 관객상, 배급지원상)을 차지하며 이름을 알리다 못해 날렸다. 몇 년 전부터 단편 연출로 단단하게 연마해 온 실력을 유감없이 뽐낸 것이리라. 


장례식장과 잔칫집을 오가는 상반된 분위기를 어떻게 표현해 내는지가 관건이었을 텐데, 톤 앤 매너가 굉장히 적절했다. 웃음과 울음, 코믹과 메마름의 경계에서 절묘한 줄타기를 해 내는 데 성공했다. 특히 애잔한 남매의 끝없이 꼬여만 가는 상황 설정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자리에서 똑같은 심정을 느끼는 것처럼 만들었다. 


연출뿐만 아니라 각본까지 도맡아 한 김록경 '감독'의 실력이 드러나는 대목이라 하겠다. 아무도 겪고 싶지 않지만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인생의 단면을 세밀하게 직조해 낸 바, 그의 다음 연기보다 각본과 연출이 더 기대된다. 비록 한 편뿐이지만, 이 정도면 믿고 볼 수 있는 '브랜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가 싶다. 그를 향한 찬사는, 자연스레 그의 작품으로 이어진다. 


하준과 소주연 배우 그리고 조연들의 열연


많은 독립영화가 각본과 연출뿐만 아니라 연기도 출중한 이유가 뭘까 생각해 본다. 기대와 함께 스포트라이트의 한 가운데에 서 있지 않은 데에서 오는 '힘 빼기'의 결과일까? 메이저로 가는 등용문 또는 관문으로서 출중한 실력자들의 '당연한' 모임이기 때문일까? 여하튼, <잔칫날>도 출중한 각본과 연출 못지 않은 연기가 눈길을 끈다. 


아무래도 가장 눈이 가는 건 두 주연 배우 하준과 소주연, 각각 경만과 경미로 분한 이들이다. 경만으로 분한 하준 배우의 얼굴에는 온갖 감정이 묻어난다. 세상에서 가장 애잔한 얼굴에서 한순간에 세상에서 가장 발랄한 얼굴이 된다. 그 사이 촘촘히 열 맞춰 서 있는 갖가지 감정의 얼굴들은 덤이다. 그 얼굴만 들여다보고 있어도 하나의 영화가 된다고 할까, '천의 얼굴'을 지닌 배우를 알게 되었다. 드라마 쪽에선 주연급의 배우로 우뚝 섰는데, 앞으로가 훨씬 기대된다. 


경미로 분한 소주연 배우는 왠지 익숙하다. 나이도 많지 않고 데뷔한 지도 오래 되지 않았는데도 말이다. 이 배우 역시 하준 배우와 마찬가지로, 얼굴 자체가 주는 매력이 확실한 듯하다. 많은 곳에서 얼굴을 비추지 않았지만, 나온 곳에서 그녀는 항상 빛났으니 말이다. 이 영화에서 그녀는, '성장'이라는 키워드를 얼굴로 보여 준다. 소극적이고 침울했다가, 적극적이고 단단해지는 변화를 말이다. 영화가 아무래도 경만 위주일 수밖에 없는데, 그 사이사이 상대적으로 얼마 되지 않는 장면을 꽉 채웠다. 


그런가 하면, 조연들의 열연이 그 어느 영화보다 빛난다고 할 수 있겠다. 가장 빛나는 조연들은 경만이 팔순 잔칫집을 하러 찾아간 마을의 청년회장과 부녀회장인데, 얄미워도 이렇게 얄미울 수 있을까 싶게 연기를 했다. 이 영화가 보기 힘들었다면 즉, 경만을 둘러싼 상황들 때문에 너무 애잔하고 답답해 보기 힘들었다면 모두 그 둘 덕분이다. 뿐만 아니라, 종종 얼굴을 비춰 몇 마디 나누지 않는 조연들 모두가 자기 몫을 톡톡히 해냈다. 모두가 신스틸러였는데, 그 누구도 영화 전체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고 영화 안에서 최대를 발휘했다. 


아이러니에서 끄집어 낸 페이소스


영화 <잔칫날>은 현실과 맞닿아 있는 아이러니에서 진한 페이소스를 끄집어 냈다. 관객으로 하여금 아빠의 장례날에 남의 잔칫집으로 향할 수밖에 없는 상주의 아이러니한 상황에 이끌리게 한 뒤, 어디까지 뒷걸음질 치고 또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지 시험하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의 애잔하고 지난한 과정들을 뒤로하고 잔잔하게 폭발하는 후반부에선 함께 울지 않을 수 없다. 그 호소력이 강력하다. 


특히 과정을 들여다보고 싶은데, 장례식장에 찾아오는 이들의 면면이 보여 주는 치졸하고 졸렬한 모습이 너무 현실밀착이어서 일면 역겹기까지 했고 잔칫날 한순간에 뒤바뀐 상황 후 마을 사람들의 면면 역시 치졸하고 졸렬하다 못해 역겹기까지 했다. 그 상황에 정면으로 대면한 경만과 경미는 갖가지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된 '어른아이'였다. 이는 두 남매의 '성장'을 보여 주기 위한 영화적 장치라고 할 수 있겠는데, 너무 잘 표현해 냈기에 일면 보고 있기가 힘들었던 것이다. 마음 졸이며 보고 있던 와중, 그 둘을 살린 건 다름 아닌 그 둘이었다. 


영화를 다 보고 나서 남는 건 두 남매, 두 남매를 진심으로 응원하고 있는 내 자신, 내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영화의 힘이었다. 영화 포스터에 있듯, 누구나 살며 그런 적이 한 번쯤 있을 것 같다. 영화에서는 '울고 싶은데 웃어야 하는' 상황으로 빗댔지만, 슬픈 아이러니 말이다. 이 영화에서는 '돈'이 아이러니를 만든 장본인인데, '돈'을 주체로 만들지 않아서 다행이거니와 참 좋았다고 생각한다. 돈 대신 '상황'의 아이러니를 주체로 둔 점을 칭찬하고 싶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