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외로운 이들의 '진짜 어른' 되기 <어른도감>

반응형



[리뷰] <어른도감>


영화 <어른도감> 포스터. ⓒ㈜영화사 진진



열네 살 경언(이재인 분)은 아빠를 잃고 혼자가 된다. 장례식 때 어디선가 나타나 자신을 삼촌이라는 하는 재민(엄태구 분), 장례 이후 절차를 하나하나 도와준다. 그러면서 조의금이니 보험금이니 하는 것들을 넌지니 물어본다. 경언은 똑부러지게 대처한다. 경언은 그가 어딘지 못마땅하고 못미덥다. 


미성년의 나이로 혼자가 된 경언, 재민은 후견인이 되어준다는 명목 하에 경언의 집에 들어앉는다. 그러다가 아빠의 죽음으로 남겨진 보험금 8000만원 행방이 재미을 향했다는 걸 알게 되고 끈질긴 추적 끝에 재민을 추궁하지만 이미 어딘가에 몽땅 다 써버린 상태이다. 이에 재민은 우연히 알게 된 경언의 연기력(?)으로 함께 제비 작업을 할 것을 제안하고 경언은 받아들인다. 


작업 대상은 4층 짜리 건물주 싱글 약사 점희(서정연 분), 일명 철벽녀다. 재민은 조심스레 접근해보지만 번번히 막히고 만다. 그런 그녀가 왜인지 '딸' 경언에게는 반응을 보인다. 아빠와 딸로 위장한 재민과 경언은 본격적으로 점희를 공략하기 위해 작업을 시작한다. 이 아이 같은 어른 재민과 어른 같은 아이 경언의 앞날은 어떨까. 


안정과 편안함을 앞세운 독립영화


영화 <어른도감>의 한 장면. ⓒ㈜영화사 진진



오랜만에 폭력 없이 코믹하고 예쁜 독립영화, 신파 없이 감동 어린 영화를 보았다. 탄탄한 기본기에 막무가내로 밀어넣는 사회적 개인적 메시지 없이 자연스레 느끼고 잔잔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의미들의 향연이 신선하고 이채롭다. 


<어른도감>은 영화적 해석을 위해 또는 감탄 어린 영화적 연출이나 각본 감상을 위해 몇 번이고 돌려보고 싶은 영화라기보다 특유의 안정과 편안함을 즐기기 위해 몇 번이고 돌려보고 싶은 영화이다. 


특별할 것 없는 무난함과 별다를 것 없는 익숙함을 앞세운 듯, 뻔함 속에 단백함과 잔잠함 속에 초롱함이 빛을 잃지 않는다. 즐길 만한 게 없을 것 같은 와중에 '잘 봤다'라고 저도 모르게 나온다면 어느 면에서도 빠지지 않는 만듦새가 한몫 하는 것이리라. 


여러 단편을 통해 연출과 각본에서 경쟁력을 입증한 김인선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라는 사실이 새삼 특이할 것 없는 당연함으로 다가온다. 더불어 극을 이끄는 세 주인공을 맡은 엄태구, 이재인, 서정연 배우의 안정감과 탄탄함은 완벽에 가깝다. 


외로운 이들


영화 <어른도감>의 한 장면. ⓒ㈜영화사 진진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외롭다. 어린 나이에 아빠를 잃은 경언은 말할 것도 없고, 어디서 굴러왔는지 알 수 없는 경언의 삼촌(이라고 하는) 재민 또한 마찬가지인 듯하다. 그리고 그들이 서로의 이해로 힘을 합쳐 작업을 하려는 점희도 싱글이다. 


영화는 겉으로 드러난 외로움에서 한 발짝 더 들어가 이들을 사연 있는 외톨이로 그려낸다. 이들 셋에겐 공통점인듯 아닌듯 아이와 어른을 오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평범하다고 하는 아이와 어른의 모습이 아닌 것이다. 


경언은 어른 같은 아이다. 아빠를 일찍 여의어서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아빠가 살아 있을 때부터 이미 어른 같았을 것이다. 모르긴 몰라도 아빠가 철이 없지 않았을까. 그 아빠에 그 동생이라고, 재민은 아이 같은 어른이다. 형의 장례식 때 십수 년만에 경언 앞에 나타난 모양새부터 어딘가 꺼림직하다. 아직 정신을 못 차린 것 같다. 


이 영화에서 경언과 재민은 극명하게 갈리는 캐릭터다. 그래서 입체적이진 않다. 반면 점희는 입체적인 인물이다.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올 것 같은 첫인상, 재민과 경언의 작업으로 보여지는 허당끼 어린 모습, 경언과 이어지는 아픈 과거까지. 아이 같은 모습과 어른 같은 모습이 공존하는 그녀가 진짜 어른이 아닐까. 


쌓는 작업


영화 <어른도감>의 한 장면. ⓒ㈜영화사 진진



'진짜 어른'은 노력만으로 되는 건 아닌 것 같다. 그렇다고 그저 시간이 흐르도록 놔둔다고 해서 되는 것도 아닌 것 같다. 시간을, 순간을 허투루 쓰지 않고 자기 것으로 만드려고 노력해야만 그나마 어른 비슷한 거라도 되지 않을까 싶다. 


그걸 '경험'이라고 부르면 맞을까. 베이컨에 따르면 인간 인식의 원천은 경험에 있다고 하는데, 경험이 쌓이듯 시간이 쌓이듯 무엇이든 쌓는 작업을 계속 해나가다 보면 무언가가 되어 있는 나를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경언과 재민은 이제 같은 시간, 같은 경험을 하고 있다. 그들은 점점 다가갈 것이다. 부득이하게 있게 된 그 자리 말고, 그들이 있어야 할 본래의 자리. 그 자리가 비단 '아이 같은 아이' '어른 같은 어른'인 것만은 아니다. 하지만 사람이면 누구나 어른이 되어야 한다면, 이왕이면 '어른 같은 아이'보다는 '아이 같은 아이'가, '아이 같은 어른'보다는 '어른 같은 어른'이 낫지 않을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