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초자연적 미스터리 스릴러에의 델마 성장 이야기 <델마>

반응형



[리뷰] <델마>


영화 <델마> 포스터. ⓒ그린나래미디어



언 강을 장총 든 아빠와 딸이 함께 건넌다. 맞은편 숲에 도착한 그들, 아빠는 조심스레 사슴의 목숨을 노린다. 곧 죽을지 모를 사슴을 지켜보는 딸, 아빠는 사슴을 향한 총구를 돌려 딸에게 향한다. 하지만 차마 방아쇠를 당기진 못하고 사슴은 도망간다. 이들에겐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 그 사연의 총량이 결코 작아보이지 않는다. 


딸 델마는 어느덧 대학생이 되었다. 그날도 어김없이 도서관에서 공부를 시작한 그녀, 갑자기 새 한 마리가 도서관 창문으로 맹렬히 날아오더니 부딪혀 떨어지고 동시에 델마는 손이 떨리기 시작하더니 발작을 일으키며 쓰러진다. 당일 밤 뱀이 목을 조르는 꿈을 꾸고 다음 날 수영장에서 안부를 묻는 안자를 만나 페이스북 친구가 된다. 


곧 친해지는 그녀들, 하지만 델마는 부모님의 전화로 급히 빠져나온다. 그러곤 당일, 안자는 자기도 모르게 델마를 찾아가게 되고 그들은 한 침대에서 함께 잠을 잔다. 델마는 안자에게 연심을 품은 듯 보인다. 이후 그들은 함께 술, 담배를 하고 키스도 한다. 델마는 아버지께 최소한의 일탈을 고백하고 신앙심을 다시금 고취해보려 하지만, 안자를 향한 마음을 접을 길이 없다. 그리고 계속되는 발작... 


21세기판 <캐리>의 북유럽 버전


영화 <델마>의 한 장면. ⓒ그린나래미디어



재작년 <라우더 댄 밤즈>로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요아킴 트리에 감독은 최신작 <델마>로 찾아왔다. 영화는 초자연적 미스터리 스릴러 형식을 띤, 한 소녀의 성장 이야기이다. 감독은 전작에 이어 한 가족의 '폭탄보다 더 큰 소리'가 나는 사연과 비밀에 대해 이야기한다. 


단연 생각나는 건 스티븐 킹 원작,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1978년작 <캐리>, 독실한 신자인 엄마 밑에서 순결을 강요받으며 내성적이고 소심한 학교 생활을 하다가 끔찍한 따돌림을 당하고선 초능력으로 복수를 감행하는 캐리. 그리고 과거의 비밀과 딸의 배신에 뒤엉켜 목을 졸리게 된 엄마는 딸을 향한 광적인 분노를 표출한다. 


<델마>는 21세기판 <캐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초자연적 힘과 광적이고 화려하다고 할 만한 비쥬얼이 주가 되는 대신, 보다 신화적이고 은유적이고 관능적이다. 그리고 배경이 북유럽이다 보니 특유의 자제된 서늘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쯤에서 <렛 미 인>이 생각나는 건 비단 나뿐일까. 섹슈얼한 공포를 유발시키는 설(雪)의 향연이 <델마>에서는 배우들의 몸짓과 눈빛에 자연스레 스며들어 있다. 이런 면에서 <캐리>의 북유럽 버전이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델마의 발작과 초자연적 현상, 그리고 억압과 금기


영화 <델마>의 한 장면. ⓒ그린나래미디어



델마의 발작은 그녀로 하여금 일어나는 것 같은 초자연적 현상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단순히 그녀의 가족 중 누군가가 같은 병력을 가지고 있었을 거라는 추측과 확신에만 시선이 가지는 않는 이유다. 그러면서도 가족력의 비밀이 중요하게 다뤄지게 되는 건 감독의 탁월한 연출력 덕분이겠다. 


영화는 이야기들과 비유, 상징들이 겹겹이 쌓여 있다. 델마의 성장의 고됨과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면서도 그 자체로 훌륭한 기승전결이 있는 이야기로 기능한다. 투철한 기독교 집안의 꽉 막히고 고지식한 자제의 세상 알아 가기. 그 교육이 결코 '잘못'되었다고 할 순 없지만, 본능을 이길 소지는 없다. 


그런 면에서 델마의 발작은 그녀가 하나하나 풀어가는 억압과 금기의 실타래와도 연관이 있어 보인다. 그녀의 끔찍한 내적 갈등과 싸움이 표출되는 것이리라. 그녀는 전혀 싸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지만 그 갈등의 한복판으로 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발작과 함께 찾아오는 초자연적 현상은 그녀의 본능이 폭발하는 모습일 것이다. 


이 설명할 길 없는 초자연적 현상은 델마의 어린 시절도 돌아가 그녀 가족의 사연과 직결된다. 독실한 기독교 집안으로서가 아닌 그 현상 때문에 억압되어야만 했던 그녀의 사연, 첫 장면에서 아버지가 총구를 사슴 아닌 델마로 향했던 사연 등. 그렇지만 어느 순간이 되면 그 모든 것들이 실제인지 상상인지 공상인지 알 수 없게 된다. 마치 델마의 성장 이야기에 편입된 거대한 세계의 조각조각난 일부분인 것처럼. 


델마의 성장 이야기


영화 <델마>의 한 장면. ⓒ그린나래미디어



영화를 델마의 성장에 맞춰서 볼 필요도 있겠다. 그럼 모든 일들이 더 뚜렷하고 더 명확하고 더 다채롭게 다가온다. 그 자체로 더할 나위 없는 모양새를 띠지만 사실상 아무 의미가 없는 반면, 진짜를 얻기 위해 엄청난 껍질 손질을 해야 하는 밤송이처럼. 


<델마>의 완벽하리만치 직조된 이야기와 비유, 상징들의 타래는 그 자체로 훌륭하지만 영화가 던지는 의미를 찾기 위해선 그 모든 매력적인 것들을 헤치고 들어가 델마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녀는 누군가에 의해 평생 길들여지고 교육된 정중동의 삶의 입방체에서 스스로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 친다. 


영화 <송곳니>에서 완벽하게 '잘못' 교육받은 큰딸이 큰 결심과 행동 끝에 빙퉁그러진 세계에서 탈출하고, 소설 <데미안>에서의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는 구절처럼 말이다. 힘들고 가혹한 탈출의 투쟁이 <델마>에서는 곧 험학한 발작과 끔찍한 초자연적 현상이다. 


델마는 자신을 억압하는 모든 금기를 깨뜨리고 벗어나 새로운 세계에서 새로운 나로 다시 시작할 수 있을까. 인생 처음으로 맞이하는 통과의례를 남들보다 늦게 힘겹게 지날 수 있을까. 이 세상 모든 델마를 응원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