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이보다 더 '재미'있는 제인 오스틴 원작 영화는 없을 듯 <레이디 수잔>

반응형



[리뷰] <레이디 수잔>


다분히 '제인 오스틴' 사후 200주년(2017년)을 기해서 나온 듯한 영화 <레이디 수잔>. 더군다나 제인 오스틴의 미발표 첫 번째 소설을 처음으로 영화화했다. ⓒ㈜수키픽쳐스



2017년 사후 200주년을 맞는 영국의 소설가 '제인 오스틴'. 그녀의 작품들은 정전으로 추대되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읽히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거의 접해보지 않았다. 18~19세기 영국 귀족의 청춘 연애담을 위주로 하기에 성향 상으로 맞지 않기 때문일 테지만, 그게 하나의 편견으로 작용하고 있을 테다. 왠지 그렇고 그런 연애 이야기일 것 같은 느낌이랄까. 


당연히 그녀의 작품을 영화한 것들도 거의 접하지 않았다. 사실 그녀는 살아생전 많은 작품을 남기지 않았고 많은 인기를 끌었거나 좋은 평을 듣지도 않았다. 20세기 들어서야 대대적으로 재조명 되었다. 그래서인지 영화는 그녀의 작품뿐 아니라 <비커밍 제인>처럼 그녀의 인생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 정도임에도 거의 접하지 않았다는 건 어지간히도 관심이 없거나 편견에 사로잡혀 있는 게 아닐까 생각된다. 


그 와중에 최근 나왔다는 영화 <레이디 수잔>을 접했다. 제인 오스틴이 채 20살도 되지 않은 때에 지은 미완성·미발표 단편 습작 소설이 원작이라는 점, 제인 오스틴의 여타 소설들의 여주인공과는 다르게 당차고 속물적이고 이기적이고 도덕적이지 않기까지 하다는 점 등에 눈길이 갔다. 


레이디 수잔의 속물적이고 파렴치한 사랑 방식


기존의 제인 오스틴 작품과는 달리 여성의 속물적이고 파렴치한 사랑 방식을 중심으로 영국 귀족 사회의 연애담을 폭로한다. 거기엔 사랑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커녕 사랑 자체가 없다. ⓒ㈜수키픽쳐스



남편과 사별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레이디 수잔, 그녀는 맨워링 경과 연애를 시도한다. 하지만 맨워링 부인의 반대에 부딪혀 뜻대로 되지 않자 급히 선회, 레지널드와 연애를 시작한다. 그는 다름 아닌 사별한 남편의 남동생의 부인의 남동생, 즉 동서의 남동생이다. 사돈이라는 얘기. 


하지만 레이디 수잔이 워낙 바람둥이로 악명이 높은 바, 레이디 수잔의 동서인 캐서린은 남동생을 그녀에게 장가가는 걸 싫어한다. 대신 그녀의 딸인 프레데리카와 잘 이어지길 바란다. 그건 캐서린과 레지널드의 아버지도 마찬가지다. '가문의 수치'라며 레지널드를 나무란다. 그래봤자 레지널드에겐 소 귀에 경 읽기. 그는 레이디 수잔에게 푹 빠졌다. 예쁘고 지적이고 품격 높은 레이디 수잔이 아닌가. 


영화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의 영국 귀족 사회로 예상되는 배경에 걸맞지 않게(?) 경쾌하다. 그 중심엔 레이디 수잔의 속물적이고 파렴치한 인생 지침 하의 사랑 방식이 자리하고 있는데, 그런 모습이 비단 그녀뿐만이 아니라는 게 중요하다. 다들 그런 그녀를 비방하고 조롱하지만 정작 그들도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 더군다나 그녀는 다 잘 되자고 그러는 거지 다 못 되자고 그러는 게 아니다. 새드 엔딩이 아닌 해피 엔딩이 그녀가 바라는 바다. 그런 그녀를 악녀라 치부하며 미워할 수가 있을까? 없다. 


더불어 영화 자체가, 즉 감독이 추구하는 바가 굉장히 유머스럽다. 영화 초반부에 주요 인물들을 각각 몇 초간 보여주며 자막으로 이름과 함께 유머스럽고 풍자적으로 설명해주는 게 매우 알맞게 재밌다. 즐거움을 준다. 여기에  '제임스 경'이라는 멍청하기 짝이 없지만 성격 좋고 활달한 귀족의 원맨쇼가 영화의 품격을 높인다. 품격 높은 코미디라고 할까. 기억에 남는 장면이 몇몇 있는데, 왠지 감독이 일부러 그가 출현하는 코믹한 장면을 더 넣지 않았나 싶을 정도다. 극 전체와 크게 부합되지 않는 장면이자 인물임에도 많은 분량을 소화한다. 


제임스 경이 프레데리카가 있는 '처칠'에 와서 하는 말, "여기 교회(처치)와 언덕(힐)이 어디 있나요? 아, 이곳 이름이 처칠이었나요. 저는 처치힐인줄 알았지요. 하하하." "12계명이 아니라 10계명이라고요? 그럼 12개 중 2개를 버려야 하는데, 뭘로 하면 좋을까요? '살인을 하지 마라' '네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마라'는 없어도 되지 않을까요? 하느님이 말씀하지 않으셔도 어차피 하면 안 되는 거고 하지 않을 건데. 하하하." 실제로 보면 박장대소하지 않을 수 없는 장면들이다. 


여성에게 요리조리 휘둘리는 남성들


여타 제인 오스틴 작품과 같은 점은, 여성이 주가 되어 남성을 요리조리 휘두른다는 점이다. 이 작품이 다른 작품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영화는 이 점을 아주 잘 살려냈다. ⓒ㈜수키픽쳐스



한편, 레이디 수잔은 딸 프레데리카가 돈 많고 가문 좋고 성격 좋지만 나이가 좀 있고 멍청하기 짝이 없는 제임스 경에게 시집가길 원한다. 미망인인 자신이 딸을 언제까지 보살펴 줄 수도 없거니와, 딸이 잘 살길 바라는 생각에서다. 그래서 교사가 되고 싶다는 딸의 꿈을 무참히 꺾어버리면서, 바보에게 시집가길 중용하는 것이다. 


그렇게 원하면, 나이도 비슷하게 자신이 제임스 경에게 시집을 가고 딸과 레지널드가 이어지면 되지 않을까. 어쩌면 그녀는 이 모든 걸 머리에 넣고 판을 짜서 자신의 의중대로 되게끔 조종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여성의 지휘가 땅을 뚫고 들어가는 당시, 여성이 남성을 조종하며 변화시키기까지 하는 모습이 신선하지 않은가. 


영화는 어김없이 제인 오스틴의 작품(을 영화한 작품)답게 당대 귀족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풍자를 그려냈다. 사실 레이디 수잔을 비롯해 그녀를 둘러싼 지난한 연애담 자체가 그러할 텐데, 전 세계를 제 집 앞마당에 가듯 드나들면서 온갖 나쁜 짓을 다 했던 대영제국의 한복판이 당시이다. 또한 그 중심에 귀족들이 있을 텐데 그들은 고작 얼토당토하고 어이 없는 연애나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심엔 사랑이 없다. 


적어도 이 작품엔 없다는 것이다, 사랑이. 제인 오스틴의 다른 작품에는 사랑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는 이들이 주를 이룬다. 물론 그것도 귀족 사회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될 수 있지만, 이정도로 신랄하진 않을 거다. 


한편, 남성이 주가 되는 게 아니라 부가 되어 여성에게 요리조리 휘둘리는 모습들은 속이 시원할 뿐 불편하지 않다. 심지어 제임스 경으로 대표되는 천하의 멍청이도 남성이고, 레이디 수잔에게 이리저리 휘둘리며 나중에는 일방적으로 차이는 허당 레지널드도 남성이다. 같은 남자가 보아도 멍청이고 허당이다. 재밌게 느껴졌다. 


이보다 더 '재미'있는 제인 오스틴 원작 영화는 없을 듯


연기와 스토리는 말할 것도 없이, 음악, 의상도 최상위급이다. 분위기가 워낙 코믹스러워 소품 정도로 치부하기 쉽지만, 웬만큼 이상의 꼼꼼함이 묻어난다. 결정적으로 '재밌다' ⓒ㈜수키픽쳐스



영화에는 클래식 음악이 상당히 나오는데 잘은 모르지만, 바흐보다는 헨델과 비발디, 베토벤보다는 모차르트 풍의 음악이었던 것 같다. 진중하고 고뇌에 찬 느낌이 아닌 발랄하고 사교적인 느낌. 영화의 느낌을 잘 살리는 동시에 그 자체로 빛이 났는 바, 모든 걸 떠나서 영화를 아주 즐겁게 볼 수 있었다. 


모든 시대극에서 빛이 나는 건 뭐니뭐니 해도 당시를 재현한 스타일일 것이다. 당시 스타일의 풍광이나 풍미도 그렇지만, 의상이 가장 빛난다. 그건 동서양이 모두 그렇다. 이 작품도 그것에 굉장히 공을 들인 듯, 기존의 제인 오스틴 영화들에게 보여주었던 스타일과는 사뭇 다른 스타일을 선보인다. 초기작을 바탕으로 하는 만큼 실제 시간의 격차가 있었던 것이다. 그저 그때쯤 입었을 만한 의상 스타일을 차용한 게 아닌, 꼼꼼한 조사가 뒷받침되었다는 걸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거의 처음으로 제인 오스틴 원작 영화를, 참으로 오랜만에 서양 시대극을, 그것도 진중하지 않은 코믹한 느낌으로 보게 되어 색다른 경험을 재미있게 했다. 솔직히 이 작품을 계기로 제인 오스틴 원작의 다른 영화를 볼 것 같진 않다. 이 영화보다 '좋은' 영화겠지만 적어도 '재미'있진 않을 것이기에. 재미를 찾는 게 조금 황당할지 모르지만 어쩌랴. 그녀의 작품으로 정녕 재미있는 영화를 만든 이가 여기 있고, 나는 그 작품을 입문작으로 봐 버린 것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