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어쩌다 대가족, 오늘만은 무사히>
<어쩌다 대가족, 오늘만은 무사히> 표지 ⓒ예담
결혼한 지 어언 3개월이 지나간다. 이렇게 지낼 줄은 나도 몰랐다. 결혼하면서 처갓댁에 들어가 살게 되었는데, 여차저차 이유를 댔지만 사실 집을 얻어 사는 게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대출 안 받고 신혼을 시작하는 이가 어디 있겠냐마는, 우리 딴에는 돈을 조금이라도 더 모아볼 요량이었던 것이다.
대가족이라 하기에는 뭣하지만, 엄연히 두 가정이 모여 사는 것이니 중가족 정도는 될 거다. 중가족 정도라도, 장인 장모 부부나 우리 부부나 방에 꼭 박혀 생활하는 걸 워낙 좋아한다고 해도, 은근히 부딪히는 것들이 많다. 속으로만 삭히고 있는 것들도 많을 거다. 그래도 이정도면 남들이 걱정하는 것보다는 훌륭한 편이다. 나름 괜찮다.
다만, 장인 장모의 진짜 마음을 알 길이 없다는 게 조금 걸린다. 우리와 같이 사는 게 불편하시진 않을지. 편할 리는 없을 테지만, 너무 불편하진 않았으면 좋겠다. 우리는 그럭저럭 괜찮다. 이제 나가서 살면 또 다른 신혼 생활이 시작될 거라 가슴 벅찬다. 다른 가족들은 어떨까? 대가족이 북적북적이면 불편하기도 재밌기도 할 것 같다. '오늘만은 무사히'를 외치는 <어쩌다 대가족, 오늘만은 무사히>(예담)의 류타로, 하루코 부부의 대가족을 들여다보자.
다시 대가족화, 사회에서 도태된 이들이 가족의 품으로
72세의 류타로, 66세의 하루코 부부는 알츠하이머병(치매)에 걸린 92세 장모님 다케를 모시며, 30세 히키코모리 장남 가쓰로와 함께 살고 있다. 치매에 걸린 노부모를 모시고 사는 건 흔하다면 흔하다지만, 히키코모리 아들은 좀 그렇다. 그래도 거기까지는 괜찮다. 어렸을 때부터 워낙 존재감이 없던 아이니까. 신경이 쓰이지만 속 썩을 정도는 아니다. 이 정도면 나름 괜찮은 노후가 아닌가, 싶다.
그런데 순식간에 집안의 인원이 두 배로 늘어났다. 첫째 딸 가족과 둘째 딸이 들어오게 된 거다. 자신이 운영하던 치과 의원을 물려줄 사위를 바랐던 류타로의 기대와 다르게 증권맨과 결혼한 첫째 딸 이쓰코. 사업을 시작해 잘 나간다 싶더니, 급기야 빌려간 돈까지 다 말아먹고 사업이 망하고는 사춘기에 접어든 아들까지 대동한 채 집에 들어와 살겠다는 게 아닌가.
둘째 딸 도모에는 더욱 가관이다. 잘 사는 줄 알았더니, 이혼한 것도 모자라 임신까지 해서 나타나 집에 들어오겠다고 한다. 똑 부러지는 성격이라 걱정 없었는데, 마른 하늘에 날벼락도 이런 날벼락이 없다. 거기에 아이 아빠가 전남편이 아니라 열네 살 연하의 미래가 불투명한 신인 개그맨이라니. 뒷목 잡고 쓰러지지 않은 게 다행이다.
막장 드라마의 시초 같은 이 스토리는, 그러나 이 시대에서 아주 아주 흔하다. 어쩌다 그렇게 되어버렸다. 드라마가 나왔으니 하는 말인데, <전원일기>나 <대추나무 사랑 걸렸네> 등의 30여 년 전 드라마에서도 알 수 있듯 예전에는 당연히 3대, 4대가 모여 살았다. 이후 급격히 햇가족화 되었고 사회 문제로까지 발전했었다. 그러던 것이 다시 대가족화 되어가고 있다. 전통으로의 회기? 전혀 아니다. 더 심각한 사회 문제다.
극심한 경쟁에서 도태되어서, 사회병리에 희생되어서, 경제심리사회 문제의 당사자가 되어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이들이 점점 늘고 있다. 사회가 이들을 지켜줄 수 없으니 비빌 언덕이 그나마 가족인 것이다. 자기 앞가름하기도 빠듯한 대부분의 가족들에게는 그조차도 불가능하다. 사회에서 도태되면 곧 나락이다.
가족을 그림으로써 맞는 소설적 재미, 그리고 문제점
류타로, 하루코 부부는 괜찮게 사는 편이다. 그래서 돌아온 탕아들을 포용할 수 있다. 그랬기 때문에 이 소설이 전체적으로 유머러스할 수 있었고, 눈물을 흘리면서도 감동을 자아낼 수 있었다. 가난에 찌든 가족이었다면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다.
이 소설의 아쉬운 부분도 바로 그것인데, 사회에서 도태되어 돌아오려는 이들의 상황은 보편적인 게 되어가고 있다고 해도 돌아오려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과연 보편적이냐, 하는 점이다. 절대 그렇지 않을 거다.
약간의 아쉬운 부분을 뒤로 하고, 소설은 재미와 감동을 거의 완벽하게 잡아냈다. 그 힘의 대부분은 작가 특유의 문체에서 비롯되었는데, 스토리나 그 안의 사건 사고들은 사실 크게 별 다를 게 없어 더욱 그러했다. 그러며 여러 생각 거리들을 던져 놓으니 대단하다고 아니 말할 수 없겠다.
편편이 가족들 각자의 시선에서 이루어졌는데, 확실한 결말을 내지 않고 마지막에서 대단원으로 정리한 것도 상당히 괜찮았다. 그럼으로써 가족의 의미를 더욱 고찰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봐야 할 일이다. 사회가 할 일을 가족에게 떠 맡기고 있는 이 웃지 못할 상황을, 가족의 의미를 드높이며 무마시키는 게 과연 옳은 건지. 더욱 사회를 비판하며 오히려 가족에겐 힘이 없다는 점을 부각시켜야 하는 게 맞지 않은지 말이다. 여하튼 씁쓸하다.
'신작 열전 > 신작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브르'도 좋지만 작품 자체를 보자 <처음 가는 루브르> (0) | 2016.08.08 |
---|---|
파괴된 초대형 생태계의 복원 과정의 기록 <생명의 기억> (0) | 2016.07.29 |
화가들 생의 마지막 그림, 그들의 삶과 죽음이 거기에 있다 <화가의 마지막 그림> (0) | 2016.07.04 |
힘들고 힘든 이야기, 그래도 알아야 한다 <물결의 비밀> (0) | 2016.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