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하다

임진왜란 직전: 황윤길과 김성일은 왜 반대되는 말을 했을까?

반응형





류성룡의 <징비록> ⓒ역사의 아침

1592년, 조선을 대혼란으로 빠뜨리는 대 사건이 일어난다. '임진왜란' 이후 7년 동안 계속된 이 전쟁으로 한반도는 수탈당하고 수많은 백성들이 고통받는다. 조선 개국 200년만에 들이닥친 최대의 위기였다. 그들은 과연 어떻게 이 수난을 이겨냈을까. 우리는 이 임진 국난의 자세한 내막을 유성룡의 징비록에서 찾을 수 있다. 


<징비록>이란 이름은 <시경>의 "내 지난 일을 징계하여 뒷날에 근심이 있을까 삼가한다"라는 문구에서 따온 것이다. 조선 선조 때 명재상 유성룡이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 쓴 것으로, 임진왜란을 회고하고 반성하여 뒷날에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서애 유성룡은 이순신의 어릴적 친구로, 임진왜란 당시 사내정치의 희생양이 된 이순신을 물심양면 도왔다. 하지만 그도 정치를 하는 입장에서 또 자신의 정치 신념의 핵심인 정당의 당수로써 이순신만을 바로보고 있을 수는 없었다. <징비록>에는 그런 솔직한 얘기와 함께 당시 임진왜란을 둘러싼 모든 이야기를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임진왜란의 발발 직전의 상황으로 가보도록 한다. 그 유명한 황윤길과 김성일의 보고 장면까지. 


당초에 일본과 우리나라는 인교를 수호한 지 200여 년이 되었는데, 처음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사신을 보내 경조의 예절을 치렀으나, 훗날 어떤 일로 인해 다신 사신을 보내지 않게 되었다. 


이즈음 평수길(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국왕이 되었다. 그는 무력으로 여러 섬을 평정하여 일본 국내의 66주를 통일한 뒤 마침내 외국을 침략할 뜻을 품었다. 그래서 "우리 사신은 자주 조선에 가는데, 조선 사신은 오지 않으니 이것은 우리를 업신여기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귤강광(다치바나 야스히로)을 우리나라로 보내 통신사를 보내달라고 요구했는데, 그 서신의 언사가 대단히 거만해서 "이제 천하가 짐의 한 줌안에 들어올 것이다"라는 말까지 있었다. 


귤강광이 돌아갈 때 우리 조정에서는 다만 그 서장에만 답하고 수로를 모른다는 핑계로 사신을 보내지 않았는데, 귤강광이 돌아가서 사실대로 보고하니, 평수길이 크게 노하여 귤강광과 그 일족을 다 죽여버렸다. 그리고 대마도주 평의지를 보내어 다시 통신사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이 무렵 조선에서는 수로에 익숙지 못하다는 핑계로 통신하기를 거절했고, 계속해서 통신에 대한 의론이 결정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유성룡을 비롯한 신하들이 "마땅히 사신을 보내어 보답하도록 하고 또 그들의 동정도 살펴보고 오는 것이 잘못된 계책은 아닐 것입니다"라고 아뢰어서 그제야 비로소 조정의 의론이 결정되었다. 이때 황윤길과 김성일이 각각 상사와 부사가 되어 평의지와 함께 일본으로 떠나게 되었다. 이때 평의지가 공작 두 마리와 조총 등을 바치니, 우리나라에서 조총을 가진 것이 이때가 처음이라 한다. 


1591년 봄 통신사는 일본에서 돌아왔다. 황윤길이 부산으로 돌아오자 일본의 정세를 시급히 보고하며 "반드시 병화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했다. 이윽고 복명할 때, 임금께서 불러 보시고 물으시니 황윤길은 그전의 말대로 대답했고, 김성일은 "신은 그러한 정세가 있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라고 하고는, 이어 "황윤길이 인심을 동요시키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라고 했다. 


유성룡이 김성일에게 "그대의 말은 황윤길의 말과 같지 않은데 만일에 병화가 있게 되면 장차 어떻게 할 것인가?"하고 묻자, "나 역시 어찌 왜적이 끝내 동병치 않을 것이라고 단언하겠는가마는, 다만 황윤길의 말이 너무 지나쳐 중앙과 지방의 인심이 놀라 당황할 것이므로 이를 해명했을 뿐입니다"라고 했다. 


이때 가져온 왜의 국서에 "군사를 거느리고 명나라에 뛰어들어 가겠다"라는 말이 있었다. 이에 유성룡은 "마땅히 사유를 갖추어서 곧바로 명나라 조정에 보고해야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고, 결국 그 사실을 명나라에 보고해 명나라의 의심(조선과 왜가 내통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을 풀 수 있었다. 


-'역사의 아침' <국역정본 징비록> 발췌 및 참조-


김성일은 왜 알면서도 황윤길과는 반대의 말을 했을까? 단지 인심이 놀라 당황할 것을 염려했던 것 뿐일까? 서인인 황윤길의 말에 동조하게 되면 동인인 자신의 입지가 작아질 것을 염려했던 것은 아닐까? 참고로 유성룡은 동인의 분파격인 남인이었다. 역사는 이처럼 한 사람에 의해서도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것이리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