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된 리뷰

<집으로 가는 길> 통속적이지만 아름다운 사랑이야기

반응형




[리뷰] 장이머우 감독의 <집으로 가는 길>


영화 <집으로 가는 길> ⓒsony classics



대학생 때 ‘중국 현대 문학과 영화’라는 수업을 들었다. 기억나는 몇몇 영화들. <붉은 수수밭>, <인생>, <홍등>... 기억나는 영화들이 하나같이 ‘장이머우’(장예모) 감독의 작품이다. 이들 영화는 감독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작품임과 동시에, 원작자들의 활동에서도 정점을 찍게 해준 작품들이다. 각각 현대 중국 문학계의 거목인 모옌, 위화, 수퉁의 작품들이다.


장이머우는 위의 작품들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의 영화들은 감상주의에 빠져있다는 비판을 얻기도 했다. 훌륭한 문학 작품을 스크린으로 훌륭하게 옮겨놓았지만, 자신의 색깔을 온전히 드러내지 못했던 것 같다. 그러다가 스스로의 한계를 뛰어넘어 감상주의가 섬세한 표현과 터치로 바뀌어갔다.


시점은 현재인데, 흑백인 이유는?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그 정점에 이른 작품들이 1999년에 나온 <책상 서랍 속의 동화>와 <집으로 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후에는 화려함에만 천착해 예전의 감상주의보다 못한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집으로 가는 길>은 장쯔이의 주연 데뷔작으로 훗날 더욱 더 유명해졌다. 또한 장이머우의 작품 세계에서 한 시기를 마무리하는 영화라고 할 수도 있어 중요하게 여겨진다.


영화는 도시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루오 유셩(순홍레이 분)이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르기 위해 시골로 돌아오는 길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시점은 현재인데, 특이하게도 흑백이다. 시골의 겨울이 배경이기 때문에, 흑백까지 더하니 1950~60년대 같이 보인다. 하지만 벽에 <타이타닉>의 포스터가 떡 하니 붙여져 있는 걸 보니 최소한 1997년 이후가 분명하다. 이에는 분명 어떤 의도 및 장치가 숨겨져 있다.


유셩의 어머니 쟈오 디는 한사코 남편의 장례를 전통적으로 치르려고 한다. 아버지의 시신을 직접 들고 걸어서 오기 위해서였다. 그 길은 그들 부부에게 아주 특별한 추억이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필요했다. 마을에는 젊은 사람이 없고 옆 마을에서 돈을 주고 사람을 사야 했다. 처음에 유셩은 그런 어머니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그 길에 얽힌 옛 이야기를 알게 된 후 많은 돈을 지불하고 전통 장례를 치르게 한다. 40년 전의 옛 이야기는 현재의 흑백을 벗고 화사한 색깔의 옷을 입는다.


통속적이지만 아름다운, 담백한 이들의 사랑이야기


때는 1958년, 오지 마을에 사건 아닌 사건이 터진다. 도시에서 선생님 한 분이 오셔서 마을 유일의 선생님으로 부임한 것이다. 창위라는 이름의 젊은 선생님으로, 마을로 오자마자 수많은 사람들이 에워싸며 관심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쟈오 디의 관심은 특별했다. 이성적인 끌림에 의한 관심이랄까. 눈을 마주치려고 노력하고, 정성들여 만든 음식을 먹이려고 노력하고, 일부러 그가 참여해서 만들고 있는 학교 주변으로 물을 길러가 한 번이라도 더 보려고 하고, 학교 수업을 마치고 아이들과 같이 가는 길에서 기다렸다가 그를 보려고 한다. 노력과 기다림과 설렘과 기쁨의 연속이다. 때 묻지 않은 순수함에 미소가 절로 피어난다.



영화 <집으로 가는 길>의 한 장면. ⓒsony classics



하지만 어김없이 그들에게 위기가 찾아온다. 급한 일이 생겨서 창위가 도시로 잠시 가 있어야만 했다. 창위는 쟈오 디에게 예쁜 머리핀을 선물하며, 겨울 방학 전에 온다고 말한다. 쟈오 디는 그를 보고 싶은 마음에 매일같이 도시에서 마을로 들어오는 길에서 기다린다. 그렇지만 창위는 한겨울이 도래했는데도 오지 않는다. 쟈오 디는 참을 수 없는 그리움에 눈보라가 치는 한 겨울에 몸소 만두를 들고 도시로 떠난다. 연약한 몸으로 가당치도 않은 발걸음은 얼마 못가 멈추고 만다.


다행히도 지나가는 사람 덕분에 집으로 무사히 돌아온 쟈오 디. 하지만 창위가 돌아오지 않는 이상, 그녀는 또 다시 그를 찾으러 갈 것이 분명했다. 그 순간, 창위가 돌아왔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쟈오 디의 소식을 듣고, 쟈오 디만을 위해서, 몰래 도망쳐 왔다는 것이었다. 그녀는 아픈 몸을 이끌고 넘어져가며, 그러나 깃털같이 가벼운 발걸음을 학교로 옮긴다.


창위는 다시 도시로 돌아갔고 쟈오 디는 마냥 기다렸다. 이후 2년여 동안 창위는 쟈오 디의 얼굴을 잠깐 보러 마을로 오고 도시로 가길 반복했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한 뒤 이들은 절대 헤어지지 않았다. 통속적이지만 아름다운, 감상주의에 빠질 법하지만 담백한 이들의 사랑 이야기는 이렇게 끝난다.


다시 현실의 칙칙한 흑백으로 돌아온 영화는 쟈오 디, 그리고 아들 유셩의 바람대로 전통 장례를 치르는 것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과거 창위의 제자였던 수많은 젊은이들이 앞 다투어 와주었던 것이다. 더구나 이들 중 단 한 사람도 돈을 받지 않고 장례 집행에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닌가. 심지어는 창위의 제자가 아닌 일용 노무자까지도 말이다. 전부 그를 진심으로 존경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화 <집으로 가는 길>의 한 장면. ⓒsony classics



영화의 다양한 상징성들


극 중의 창위는 과거 만인의 존경을 받던 ‘중국’이라는 나라 또는 중국대륙을 상징한다. 중국은 1800년대 들어 외세에 의해 만신창이가 되었다.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예전의 위상을 뒤찾지 못하였다가 2000년대 들어서 다시금 세계 강대국의 위상을 찾게 된다. 감독은 이를 만인의 존경을 받던 창위를 통해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감독은 ‘자본주의’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1978년 중국은 전격적으로 개혁과 개방의 기치를 들고 자본주의를 거침없이 받아들인다. 그 결과 경제적으로 완벽한 시장경제체제를 이룩하였다. 중국 경제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세계 경제의 중심이 되었고, 여기저기서 세계적인 부자들이 생겨났다. 하지만 그 역효과 또한 만만치 않았다. 그 중에서도 빈부격차 문제가 가장 심할 것이다. 그리고 빈부격차의 핵심에는 도시와 농촌이 있다.


주지했듯이 이 영화는 현재를 흑백으로, 과거를 화려한 색깔로 처리한다. 이는 자본주의 현재의 농촌 마을을 흑백으로 처리함으로써, 자본주의의 역효과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40년 전의 같은 농촌 마을을 화려한 색깔로 처리함으로써, 자본주의가 들어오기 전의 마을 공동체를 이상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온 마을 남자들이 같이 학교를 만들고, 온 마을 여자들이 음식을 만들어 남자들을 챙기는 모습. 누구 한 명이 다치거나 아프면 마을 사람들이 와 안부를 묻고 챙겨주는 모습. 존경하는 선생님을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돌아가며 점심을 챙겨주는 모습. 그리고 현재로 넘어와 존경하는 선생님의 장례를 위해 아무도 돈을 받지 않고 손수 운구 행렬에 참여하는 모습까지. 감독은 중국이 진정한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가 아닌 과거의 방식이어야만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1958년 당시 중국은 노동력 산업의 추진을 위한 경제성장운동인 대약진운동이 한창이었지만, 영화에서는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선생님에게 관심을 보이고 존경하는 모습을 비춤으로써, 교육의 중요성을 표출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선생님이 와서 가르치는 것은 교과서가 아니라 손수 제작한 책으로, 그 안에는 중국 전통 교육의 핵심이 들어 있다.


이 영화의 진정한 가치 '감성'


하지만 이 영화의 가치가 이런 삭막한 ‘해석’에 기인한 것 만이라면 실망을 금치 못할 것이다. 이 영화의 또 다른 가치는 화면과 연기에서 보이는 ‘감성’에 있다. 산골 마을의 대지(大地)는 광활함보다는 오밀조밀하고 아기자기한 맛이 있고, 배우들의 연기는 세련되고 정형화되어 있다기보다는 어딘지 어색하지만 사람냄새를 느끼게 한다. 또한 그런 어색함은 연기라고 생각했을 때 느껴지는 것이지, 사실 연기라고 느껴지지 않을 만큼 사실적인 연기이다. 스토리는 사실 굉장히 진부하지만, 오히려 화면과 연기에 정확히 들어맞는다. 고도의 연출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옛날로 돌아가자고 외치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없는 짓이다. 자칫 현실을 부정하고 과거로 도피하는 몰지각한 행동이 될 수 있다. 설사 현실이 너무 힘들다고 해도 말이다. 그러나 안에서는 곪고 있지만 겉으로는 아무렇지 않은 듯, 현실이 힘듦에도 막을 치고 힘들지 않다고 강제하고 있을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과거를 돌아보고 현실에서 훌륭히 제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내야 한다. 그것은 꼭 유형의 무엇인 것만은 아니다. 그때 그 시절의 풋풋함, 때 묻지 않은 순수함, 사람냄새 나는 순박함 등의 무형 감성도 포함되는 것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