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수학에 미친 그녀가 수학 밖으로 나갔을 때 얻은 것들

반응형


[신작 영화 리뷰] <마거리트의 정리>

 

영화 <마거리트의 정리> 포스터. ⓒ영화사 진진

 

파리사범학교의 '수학 천재' 대학원생 마거리트, 그녀는 후줄근한 차림에 슬리퍼를 신고 다니며 항상 뭔가 골똘히 생각하고 있다. 오직 수학, 수학, 수학뿐이다. 얼마나 대단하면 교지에서 인터뷰 취재가 나올 정도다. 그녀가 요즘, 아니 평생 연구하고 있는 건 '골드바흐의 추측(1을 소수로 간주했을 때 2보다 큰 모든 정수는 세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로 20세기 수학계 최대 난제로 손꼽힌다.

마거리트의 지도교수 베르네르 또한 평생을 골드바흐 추측 연구에 바쳤다. 그들은 드디어 골드바흐 추측 증명의 중간단계에 접어들었다. 유서 깊은 로잔 세미나에서 마거리트가 발표하기로 했다. 순조롭게 이어가는 세미나, 하지만 막바지에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온 베르네르의 또 다른 제자 루카의 정곡을 찌르는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한다.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 마거리트는 이내 세미나를 박차고 나서고 학교로 돌아오지 않는다고, 더 이상 수학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엄마한테는 제대로 말하지 못했고 베르네르 교수는 그녀에게 실망했다며 지도교수직을 내려놓겠다고 한다. 마거리트는 우연히 만난 댄서 노아와 룸메이트로 지내며 스포츠용품점에서 일해 4년 장학금을 갚아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런데 노아가 자신의 꿈을 위해 돈을 빼돌렸고 마거리트는 불법 도박장에서 마작으로 돈을 벌어 충당한다. 그럼에도 그녀의 머릿속에 느닷없이 수학 공식이 찾아오는데… 곧 루카를 찾아가는 마거리트, 그녀의 앞날은?

 

이성에 감정이 덧씌우고 안에서 밖으로 나아간다

 

영화 <마거리트의 정리>는 굉장히 정직하고 그래서 쉽다. 비록 수많은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자)에겐 전혀 맞지 않을 것 같은 소재가 영화의 중심축을 형성하니 쉽기는커녕 굉장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으나, 영화에서 수학은 수단이자 도구로 작용할 뿐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영화가 보여주려 한 건 수학이 어려움이나 위대함이 아닌 마거리트의 진정한 성장이다.

10대 초반에 처음 접하고 이내 빠져든 세기의 수학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이후 인생의 절반을 넘게 오직 수학만 생각하며 살아온 마거리트, 프랑스 최고의 수학 학교에서도 최고의 수학 천재로 정평이 나 있는 상황, 모든 게 순조로웠을 때 느닷없이 나락으로 떨어진다. 강력한 '자기확신'이 한순간에 철저한 '자기부정'으로 뒤바뀌는 순간. 누구라도 자신을 완전히 놔버릴 것이다.

이후 그녀는 평생 해 보지 못한, 앞으로도 해 보지 못할 수도 있었을 경험을 뒤늦게 시작한다. 알바, 친구, 섹스, 도박 그리고 사랑까지. 삶의 모든 걸 '이성'적으로만 생각하고 판단했던 지난날과 달리 이제 '감정'이 담기기 시작했다. 그러니 다시 보이기 시작한다, 아니 갑자기 보였다. 골드바흐의 추측을 해결할 핵심이 말이다. '안'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것이 '밖'으로 나오니 비로소 보인 것이리라.

그러니 자연스레 추측할 수 있다. 마거리트가 다시 수학계로 돌아갈 거라는 걸, 아니 그녀는 다시 수학계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걸. '자의'도 그렇다고 '타의'도 아닌 '그것'이, 바로 수학이 그녀를 부른 것이다. 비슷한 경험의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글이 써지고 그림이 그려지고 노래가 불러지고 공식이 풀어지고. 그건 내가 하는 것도 누군가에 의해서 하는 것도 아니다. 평생을 깊고 깊게 매진한 그것이 내 머릿속에 이미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공자의 말씀, 불광불급, 그리고 정반합까지

 

특별한 소재와 특별할 것 없는 주제를 버무리는 솜씨가 탁월하다. 특별하지 않은 소재에서 특별한 주제를 끄집어내는 것을 탁월한 솜씨라고 칭찬해야 마땅할 텐데 이 작품은 반대임에도 불구하고 이질감이 없다. 소재든 주제든 뭐 하나라도 특별할 때 어떻게 이용하느냐가 중요할 테다. 그리고 그것들을 마거리트로 분한 엘라 룸프가 한 데로 모았다. 그녀는 영화 속, 오직 수학밖에 몰랐지만 서서히 세상을 알아가는 마거리트 그 자체다.

마거리트를 두고 가장 먼저 따오른 건 '불광불급', 즉 미쳐야 미친다라는 말이었다. 공자가 말씀하신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를 뛰어넘는 '즐기는 사람은 미친 사람만 못하다'라는 뜻으로 수학에 미친 마거리트가 여기에 해당하지 않을까 싶다. 그녀는 분명 큰일을 해낼 것이고 세상을 바꿀 것이다. 하지만 또 다른 면, 한발 더 나아간 면이 보인다.

마거리트의 성장은 '정반합', 즉 헤겔의 변증법을 도식화한 논리 전개 방식으로 풀이해 볼 수 있겠다. 기존 유지 상태인 '정'은 수학밖에 모르던 상태, 부정하며 새로운 상태를 제시한 '반'은 나락으로 떨어져 수학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태, 취할 건 취하고 버릴 건 버리는 '합'은 세상을 알아가며 수학이 다시 찾아온 상태. 그리고 '합'은 다시 '정'으로 돌아가 정반합은 반복된다.

성장이라는 게 그런 모습이 아닐까 싶다. 물이 고여 있지 않고 계속 흐르는 상태, 유지하다가 부정하고 배제한 후 다시 유지하길 반복, 이것저것 고정관념 없이 다 해 보는 것. 그리고 나락으로 떨어져 밑바닥을 경험하고 다시 올라와 본 것. 그런 면에서 '미친 사람은 성장하는 사람만 못하다'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겠다. 원 없이 뭔가에 미친다는 건 반드시 자기희생의 조력자가 있어야 할 것이니까. 반면 성장한다는 건 그런 이면도 생각한다는 것이니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