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
영화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 포스터. ⓒ (주)디스테이션
고립되고 오래된 저택이라는 한정된 장소에서의 사건을 다루는 '고딕 미스터리' 장르, 20세기 미국 소설가 셜리 잭슨이 선구자격으로 대표적이다. 그녀의 이름을 딴 셜리 잭슨상이 2007년에 재정되어 2017년 편혜영 작가가 한국인 최초로 수상하는 쾌거를 얻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대표작이라 할 만한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 <제비뽑기> <힐 하우스의 유령>이 번역출간된 바 있다.
1965년에 사망한 셜리 잭슨의 마지막 소설 작품은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로, 2018년 영화로 개봉하였고 2019년 7월 한국을 찾아왔다. 이 소설 작품 역시 고딕 미스터리의 대가다운 필치와 분위기로 유명한데, 영화에서 어떻게 살렸을지 혹은 죽였을지 궁금하다. 원작에 충실하면서도 영화만이 할 수 있는 걸 극대화시켰을지, 영화만이 할 수 있는 걸 극대화시키는 데 몰두했을지, 더할 건 더하고 집중할 건 집중하고 뺄 건 빼면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했을지 말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자 했다. 고딕 미스터리 특유의 음울하고 불안하고 처진 분위기를 시각적 미장센으로 표현해냈다. 화면을 보는 것만으로도 의도를 어느 정도 간파할 수 있다. 대신, 스토리나 캐릭터나 사건 등이 상대적으로 묻히는 경향이 있다. 가장 큰 허점은 간접적 아닌 직접적 '이해불가'에 있다. 본래는 극중에서 주인공들의 행동과 말이 이해할 수 없는 것이어야 하는데, 초중반까지는 '극중'이 아닌 '극 자체'를 이해할 수 없었다.
대저택과 마을, 불쑥 찾아온 찰스
영화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의 한 장면. ⓒ (주)디스테이션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대저택, 블랙우드 가족이 대대로 살아온 그곳엔 이젠 어린 두 자매와 삼촌만 살고 있다. 6년 전 자매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일명 '비소 살인 사건'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용의자로 큰 딸 콘스탄스가 지목되어 재판을 받았지만 무죄로 풀려난 바 있다. 그녀는 이후로 집밖에 나가지 못하게 되었는데, 대신 동생 메리캣이 한 주에 한 번 날을 잡아 마을로 나가 먹을 걸 사는 등 볼 일을 본다. 한편 삼촌 줄리안은 그날 그 사건에 매몰되어 헤어 나오지 못한 채, 그 사건을 소설로 옮기는 데만 몰두하며 살아가고 있다.
불안하고 불편하고 불쾌하지만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는 그들 앞에 낯선 젊은 남자 한 명이 찾아온다. 찰스라는 이름의 그는 자신을 먼 친척이라고 밝히고는 대저택에 발을 들여놓았는데, 하는 말과 행동을 보니 아무래도 돈이 목적인 듯싶다. 메리캣이 집과 가족을 지킨다는 일념으로 거금과 고가품을 가지고 벌이는 일련의 주술행위를 못마땅하게 여기며 금지 시키려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콘스탄스를 상대로 음흉한 말과 행동을 서슴지 않으니 친척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이기까지 한 게 아닌가.
하지만 한없이 착하고 무르기만 한 콘스탄스는 그를 멀리하기가 힘들다. 대신 줄리안은 정신이 없는 와중에도 찰스를 향해 소리치며 집을 나가줄 것을 요구하고, 메리캣도 마찬가지로 그의 추방을 위해 말과 행동을 병행한다. 마을 사람들은 블랙우드 가족의 악랄한 소문을 발판 삼아 찰스가 곧 죽을 거라고 협박 아닌 협박을 하기도 한다. 물론, 찰스는 꼼짝도 하지 않고 블랙우드 대저택의 중심으로 다가가려 한다.
마을 사람들
영화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의 한 장면. ⓒ (주)디스테이션
'딸이 부모님을 살해했다 하여 재판을 받았지만 무죄로 풀려났는데 마을 사람들은 믿지 않았다', 영화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의 기본 배경은 기시감이 있다. 올해 초 개봉했던 영화 <리지>의 모티브가 되는 '리지 보든 살인사건' 말이다. 1892년 미국 메사추세츠에서 보든 일가의 부부가 도끼로 무참히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졌는데, 용의자로 둘째 딸 리지 보든이 지목된 것이다. 그녀는 재판에 넘겨졌지만 무죄로 풀려났다. 하지만 워낙 유명해져서 동요로까지 만들어졌고 100년이 훌쩍 넘은 지금도 불리고 있다고 한다.
셜리 잭슨이 소설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를 지을 때 이 실화 사건을 참조했을 거라는 짐작이 간다. 사실 리지 보든 살인사건은 그동안 직간접적으로 수많은 콘텐츠에 영향을 미쳐 왔으니 이상할 건 전혀 없다. 이 영화를 리지 보든 살인사건 이후의 이야기로 생각하고 봐도 문제가 되기는커녕 또 다른 소구점을 줄 수도 있겠다. 본래의 소구점에는, 성에 사는 두 자매가 아닌 성 밖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주체가 되는 관점이 주가 된다. 또 다른 소구점에는, 성에 사는 두 자매 중 메리캣이 주체가 되어 여성서사에의 관점으로까지 나아간다.
원작자 셜리 잭슨이 의도한 바일 텐데, 평범하고 일상적인 악이 당연한 듯 마을을 잠식하고 있는 모습이 섬뜩하다. 메리캣의 말에 따르면 블랙우드 가족은 마을과 멀리 떨어져 살며 그 누구에게도 해를 끼친 적이 없다. 그럼에도 마을 사람들은 대저택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건을 빌미로 두 자매를 포함 블랙우드 가족 자체에 마녀사냥식 융단폭격의 폭언과 폭력을 퍼붓는 것이다. 그들에게 자매는 달라서 틀린 존재이고 두려운 만큼 적이자 악의 존재이다.
하지만, 들여다보면 마을 사람들이 훨씬 다수이고 고로 강자이다. 그들로 하여금 자매는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 만큼, 마을 사람들이 비록 대저택이라고 하지만 자매를 가두었다고 할 수도 있다. 자매도 그런 사정을 잘 인지하고 있는 모양새이고. 그럼에도 마을 사람들이 그들을 틀린 존재이자 적과 악의 존재로 보고 있는 이면에 이질적이고 두려운 존재로 생각하고 있다는 게 걸린다. 결국, 강자와 약자는 다수와 소수, 가둔 자와 갇힌 자, 행하는 자와 당하는 자에 따라 갈리는 게 아니란 말인가.
두 자매
영화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의 한 장면. ⓒ (주)디스테이션
두 자매, 그중에서도 메리캣의 관점에서 들여다보자. 메리캣은 18세의 소녀로 항상 불안에 차 있는 눈빛과 행동과 말로 다닌다. 마을 사람들은 그녀의 그런 모습이 불쾌하고 그 이면에 있을 블랙우드 가족의 참혹함이 불안하다. 나아가 결국 홀로 고고히 중세 시대 영주의 성처럼 있는 블랙우드 대저택이 불편하다. 메리캣은 알아차리지 못할 것 같으나, 메리캣 자매가 마을 사람들을 두렵고 무서워하는 것보다 마을 사람들이 그들을 더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차치하고서라도 메리캣이 행하는 일련의 주술행위나 특유의 말과 행동은 굉장히 방어적이다. 저택과 가족을 지키려는 의도로 '가진 게' 많은 이의 보수적 행동, 그 전형이다. 자매가 생각하지 못하는 게 바로 그 지점일 텐데, 사실 마을 사람들이 그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는 궁극적 지점이 그들 가족의 참혹한 이력이 아니라 그들 가족의 독보적인 막대한 부일 것이다. 아직 아무것도 모르다시피 한 어린 자매이기에 간파하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닐까.
얘기가 여기까지 흘러왔다면, 메리캣의 여성서사적 행동 관점을 들여다보는 게 무슨 의미랴 생각하기 쉬울 것이다. 하지만, 찰스에 대항하는 유일한 일원이라는 점과 대항 행동이 마을 사람들을 대할 때와는 사뭇 다르게 당당하다는 점이 와 닿는다. 사실상 블랙우드 가 대저택을 수호하는 '가장'으로서 절대 권력을 넘길 수 없다는 철칙의 일환일 수도 있지만, 그녀가 '권력'의 추악한 면모를 보인 일이 전혀 없다는 것에서 달리 생각해야 할 이유가 보인다.
자신들을 억압하지도 자신들에게 폭력을 행사하지도 않는 삼촌을 해할 필요는 전혀 없는 것처럼, 그러기는커녕 정신병인 게 분명한 그를 병원으로 보내지 않고 직접 모시고 있는 것처럼, 찰스는 비록 젊고 잘생기고 가족의 일원으로 줄리안보다 훨씬 큰 일을 할 수 있음에도 자신들을 억압하고 급기야 자신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기까지 한다는 점에서 두고 볼 수 없는 것이다. 두 자매는 그저 자신의 권리를 찾고 의무를 다했을 뿐이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가? 그렇게 봐야 하지 않는가?
'신작 열전 > 신작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 언덕 대저택들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언더 더 실버레이크> (1) | 2019.09.20 |
---|---|
중독된 사랑과 파멸적 변화에 직면한 여성 서사 <트리트 미 라이크 파이어> (0) | 2019.08.05 |
운명의 피해자들이 운명의 피해지 갤버스턴으로... <갤버스턴> (0) | 2019.07.22 |
'아빠 찾기'의 외형을 갖춘 성장 이야기 <보희와 녹양> (0) | 2019.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