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안팎에 메시지를 던지는 스티븐 소더버그의 실험 <높이 나는 새>

반응형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높이 나는 새>


영화 <높이 나는 새> 포스터. ⓒ넷플릭스



하나의 브랜드가 된 지 오래인 그 이름 '스티븐 소더버그', 그 누구보다 충격적인 센세이셔널한 데뷔 이후 하염없이 '내리막길'만 걷고 있는 불세출의 영화 감독이다. 물론 그 와중에도 말만 들어도 알 만한 작품을 수두룩하게 내놓았다. 


그는 할리우드 메인 스트림과 실험정신 가득한 독립영화계를 오가며 연출, 제작은 물론 촬영, 편집까지 도맡아 하는 괴이한 존재이기도 하다. 그야말로 영화계에서 이만큼의 천재도 없고 이만큼 노력하는 이도 없으며 이만큼 자유롭게 즐기는 존재도 없다. 


작년에는 본인이 직접 아이폰 7 플러스로 촬영을 도맡아 한 영화 <언세인>을 내놓더니, 올해에는 역시 본인이 직접 아이폰 8으로 촬영을 도맡아 한 영화 <높이 나는 새>를 내놓았다. '내리막길'을 이처럼 즐길 수 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각설하고, 영화 <높이 나는 새>는 NBA 직장폐쇄에 당면해 상황을 일소해보려는 차세대 스타 에릭의 에이전스 레이와 그의 전 비서 샘의 이야기이다. 실제로, NBA는 8년 전 2011년 7월 1일을 기해 NBA 역사상 4번째의 직장폐쇄를 단행해 11월 말쯤에야 끝났던 전력이 있다. 


NBA 직장폐쇄 와중에서


NBA 선수 에이전트 레이는 NBA 차세대 스타가 될 재목인 신입 에릭을 맡고 있다. 하지만 리그는 직장폐쇄 6개월 째, NBA와 선수협회의 끝나지 않는 대립으로 개막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선수들이나 에이전트들 모두 일도 못하고 돈도 벌지 못하고 있다. 


모두가 곤란하기 짝이 없는 상황에서, 레이는 회사의 해고 압력에 시달리는 한편 진심으로 선수들을 걱정하고 있다. 선수협회를 대변하고 있는 마이라와 연락하고 만나면서 수시로 상황을 엿보지만 변하는 건 없어 보인다. 


NBA는 오직 돈만 생각하고, 선수협회도 돈을 생각하는 건 매한가지이지만 선수로서의 인생도 생각하고 있다. 선수와 한 몸이나 매한가지인 에이전트는 선수를 최우선으로 생각하지만, 에이전트 회사는 역시 돈만 생각한다. 정작 선수는? 그저 경기를 뛰고 싶을 뿐이다. 


와중에, 할 수 있는 게 없어 보이던 레이는 구조 자체를 바꿔보려는 '게임체인저'가 되고자 그만의 게임을 시작한다. 게임을 뛰지 못해 재능 있는 선수들이 파산으로 향해 인생을 말아먹는 걸 두고볼 수만은 없지 않은가. 그는 과연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그건 거시적일까, 미시적일까.


스티븐 소더버그의 실험, 영화 안팍의 메시지


영화 <높이 나는 새>의 한 장면. ⓒ넷플릭스



영화는 촬영의 한계 때문인지 각본과 연출의 의도 때문인지는 몰라도 그 어떠한 액션 없이 인물들의 대화를 위주로 진행된다. 의외로 전혀 지루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일말의 스펙터클이나 서스펜스 비슷한 것도 기대할 수 없다. 


영화를 끌고가는 주요 배경이 NBA 직장폐쇄이고 주요 이야기가 에이전트 레이의 워너비 게임체인저 작업이니 만큼, NBA 자체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딱히 그렇진 않고 오히려 영화 외적으로 스티븐 소더버그의 실험행각을 살펴봐야 한다. 


그는 누구도 넘보기 힘든 출중한 실력을 앞세워 영화계를 바꾸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저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하고자 발판과 영역을 마련하려고 하는 것인지, 새로운 걸 시도함에 주저함이 없다. <높이 나는 새>는 그 자장 안에서 영화 안팎으로 동일한 메시지를 던진다.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 본인에게 권리가 돌아가는 시스템을 만들고 싶은 그, 아마도 그래서 직접 제작, 연출, 촬영, 편집을 도맡아 하는 것일 테다. 영화에서 레이는 경기를 뛰는 사람 본인에게 권리가 돌아가는 시스템을 만들고 싶어 한다. 그것이 비록 아직은 판을 흔들 순 있어도 깰 순 없고, 선각자가 가지는 위험 부담을 지니려는 이가 없기에 실행되려면 아직 멀다는 걸 알고 있지만 말이다. 


시스템을 부수고 시장을 선도하다


익히 잘 알고 있듯 넷플릭스가 전 세계 콘텐츠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일각에서는 판이 깨졌다고 보고 있고, 눈에 보이는 여러 측면에서 직접적으로 보더라도 판이 깨지는 순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 그런가 하면, 기성권력들은 넷플릭스를 따라하는 한편 이왕 깨진 판을 자신들 쪽으로 가지고 오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영화에서도 보이듯, NBA 직장폐쇄 당시 외부적으로 보이는 대립의 문제는 구단과 선수 간의 수익률 배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구단과 방송사 간의 계약이 문제이다. 무시무시한 금액으로 계약을 하기 전에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수익률을 줄여야 하는 게 진짜 문제이다. 이 치졸하다면 치졸한 머니 게임의 판을 깨는 건 역시 머니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팬들 입장에서는 어떻게 마무리되든 그저 경기를 보고 싶은 마음뿐이다. 그래서 그들의 머니 게임에 비상한 관심이 가는 게 이상하다. 팬이 아니라면 아예 관심이 가지 않는 게 당연하다. 그렇다면, 스티븐 소더버그는 왜 이 영화를 만들었고 우리는 왜 이 영화를 보고 있는가. 그는 이 영화를 찍는 과정, 보여지는 루트, 소모되는 방향 등을 모두 새롭게 그린 게 아닌가 싶다. 


최소한의 도구와 기술과 자본으로 누구의 입김도 들어가지 않는 영화를 만들고는, 수익에 있어서도 걱정이 없는 채널과 유통 방식을 채택하였거니와, 영화가 소모되는 방식도 이야기가 전혀 중요하지 않은 대신 이야기를 끌고 가는 방법과 메시지가 전부이게 만들었으니 말이다. 그는 말하고 있다. '이제 나의 게임이 시작됐어! 우리가 시장을 선도할 수 있어! 시스템을 부수는 거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