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9의 예술, 만화

로봇에게 위로받는 인간...이 얼마나 불행한가!

반응형


[서평] 오영진의 <어덜트 파크>

만화 <어덜트 파크> ⓒ 창비

인간은 직립보행을 하게 되면서 두 손이 자유롭게 되었다. 두 손을 사용해서 도구를 만들고, 도구를 사용해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데 이바지하였다. 결정적으로 산업혁명 이후 인간 생활은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이 편리해진다. 인간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들을 기계가 대신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기계가 인간을 편리하게 하고, 풍요롭게 할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았다. 기계가 인간을 대신하게 되면서 누군가는 편리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누군가는 기계와 경쟁해야 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기계보다 더 기계처럼 살아가야 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다. 

이 같은 생각은 아무도 모르게 사회 전반에 침식해 들어갔다.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지배하게 되어, 마치 그렇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이 정답인 양 되어버렸다. 그렇게 기계는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와, 편리와 풍요를 주고 행복과 인간다움을 빼앗아 갔다. 현대 사회가 가지는 아주 작은 불행과 폐해를 보여줬을 뿐이다. 

위와 같은 고민의 흔적은 그동안 소설·영화·만화 등의 수많은 콘텐츠에서 다뤄져왔다. 더 이상 다룰 게 없을 것만 같은 이 시장에, 송곳처럼 날카롭게 찌르고 들어오는 만화가 한 편 나왔다. 오영진 작가의 <어덜트 파크>(창비). 어른들의 공원에서는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이 만화는 한 명의 주인공에 얽힌 세 갈래 이야기로 진행된다. 하나는 주인공 이야기. 주인공 용배는 배터리 제조회사에서 차장으로 있다. 평생을 바친 회사인데, 회사 측에서 일정 사업을 정리한다며 주인공을 지방으로 발령 내려 한다. 그는 아내와의 휴가를 떠나고, 우회하지도 유턴하지도 못하는 자신의 삶을 한탄한다. 

하나는 용배의 친구 강모 이야기. 강모는 폐인 신세로 길거리를 전전하다가 병원 원무과에서 근무하는 선배를 통해 신장을 팔아 가게를 차린다. 축하할 겸 친구들을 만나고 오는 길에 용배는 그 사실을 알게 되고 선배에게 "니가 인간이냐? 인간 같지도 않은 놈!"이라며 쏘아붙인다. 하지만 선배가 외려 용배에게 "너는 강모가 힘들 때 뭘 해줬느냐"면서 몰아붙이고 돌아선다. 

하나는 용배의 회사 동기 준호 이야기. 준호는 교통사고를 당해 식물인간이 된 아내를 5년 동안 보살폈다. 그 사이 준호는 개인, 가족, 사회에서 너무나 큰 고통을 당한다. 그렇게 아내를 보낸 준호는 회사를 옮기고 재혼을 한다. 준호가 잘 나간다는 소식을 듣고 용배는 부러움과 멸시의 말을 보낸다. 

하나같이 제대로 된 삶이 아닌, 실패와 절망 그리고 좌절로 점철된 삶의 주인공들이다. 주위를 보면 어디서든 볼 수 있는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인 것이다. 그들 자신에게는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 현실. 하지만 실상은 너무나도 현실적인 현실이다. 

"인마 넌 어떻게...꼭 생각하는 것이 기계 같냐! 인간미가 없어. 넌 매뉴얼대로 인생사냐 기계 같은 놈." "내가 뭘? 사람이든 기계든 고장난 데가 있으면 고쳐야지."(본문 속에서)

만화는 또 하나의 큰 축에 이 비현실적 요소를 가미해 현실과 믹스시킨다. 주인공 용배가 휴가차 들른 목포에 '어덜트 파크'라는 곳이 있다. 들어가 보니 로봇이 말 상대를 해준다고 한다. 일종의 '대화 도우미'인 것이다. 매일 최신의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어, 어느 누구하고도 다양한 대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장치로 상대의 감정을 알아내 깊고 넓은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용배는 이곳에서 요기라는 이름의 로봇에게 뜻밖의 말을 듣고 나온다. 회사 동기였던 준호를 아느냐며 어떤 말을 전해달라고 하는 것이 아닌가. 용배는 준호에게 말을 전한다. 

이때부터 만화는 파국으로 치닫는다. 강모는 다시 일어서기 위해 열었던 가게마저 잘 되지 않자 결국 심장마저 팔아넘기게 되어 죽고 만다. 용배는 지방으로 발령이 나고 만다. 준호는 5년간 간호했던 아내 정희의 뇌를 육아 로봇 개발 회사에 팔아 넘겼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만다. 

<어덜트 파크>의 한 장면. 흑백의 절묘한 조화가 만화를 더욱 극적이게 한다. ⓒ 창비


육아 로봇 개발업자는 정희의 뇌를 이용해 육아 로봇을 만드는 중에 경찰에게 들킬 위기에 처하게 되어 어덜트 파크에 맡기게 되었고, 때마침 폭우가 내려 정희의 뇌 로봇은 물에 잠겨 쓸모가 없게 되었다. 정희는 마지막 직전에 자신의 모든 기억을 요기에게 넘겨주게 된 것이다. 이렇게 정희의 기억을 가진 요기가 준호를 만나게 된다. 준호는 너무나도 현실적인 선택을 즉, 자신이 살기위한 비열한 선택을 하게 된다. 

만화는 병원 원무과에서 근무하지만 장기 브로커이기도 한 주인공의 선배와 비열하고 악랄한 선택을 반복하는 준호의 비인간적인 처사를 드러내며, 인간의 치부를 건드린다. 어쩔 수 없이 자신이 살기 위해 비인간적인 행동을 하는 이들의 모습은, 너무 현실적이라서 서글프다. 편리함과 풍요로움을 추구하기 위해 기계 문명을 선택했지만 그로 인해 점점 비인간적으로 변해가는 지금의 인간들이 고스란히 투영된다. 

여기서 비인간적인 것은 기계적인 것과 동일하지 않는다. 기계적인 것이라는 의미에 부정적인 면모는 보이지 않는 것이다. 만화에서도 마찬가지다. 인간의 기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인간적인 대화를 하는 기계들이 인간보다 더욱 인간적이다. 그에 반해 인간은 비열한 짓을 넘어서 인간으로 하면 안 되고 할 수도 없을 것만 같은 파렴치한 짓을 서슴없이 한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비인간적이게 된다는 뜻일까. 그것이 삶의 본령인가. 각기 다른 의미의 비인간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주인공의 삶은 인간적인가. 누구하고도 대화다운 대화를 할 수 없을 때 '어덜트 파크'로 가 대화 도우미 로봇과의 대화로 위로와 위안을 받는 모습 또한 어떤가.

길지 않고 단편적이며 뭔가 흩뿌려 놓은 듯한 느낌의 스토리가 끝을 향할수록 날카롭게 깎여 서릿발처럼 달려든다. 이 답답함을 풀길이 없다. 흑백의 절묘한 조화가 인간적인 것과 비인간적인 것을 단칼에 갈라버리는 것 같다. 

"하여간 인간들은 도무지 신뢰할 수가 없어. 모든 걸 자의적으로 해석해 버린다니까.... 뭐가 그리 좋은 건지."(본문중에서) 


"오마이뉴스" 2013.7.12일자 기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