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군대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들의 총집합! <신병> [시즌 오리지널 리뷰]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평생 동안 군대가 특별할 것이다.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말이다. 군생활 내내 칭찬만 들어서 그때 그 시절이 그리운 이도 있을 테고, 군생활 내내 욕만 먹어서 그대 그 시절이 트라우마로 남은 이도 있을 테다. 이토록 그때 그 시절을 어떤 식으로든 추억할 테니 군대 콘텐츠가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게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영화로는 등이 있을 테고, 예능으로는 등이 생각난다. 라든지 같은 옛 프로그램도 떠오른다. 드라마로는 등이 있을 텐데, 근래에 이 여기에 추가되었다. 시즌 오리지널 드라마 시리즈 은 30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스튜디오 장삐쭈' 소속 크리에이터 장삐쭈가 제작한 동명의 애니메이션을 원작으로 제작되었다. 원작이 .. 더보기
서글픈 만큼 재밌는 군대 이야기를 들어 보시라 <D.P.>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2015년부터 외부에 공개하기 시작한 국방통계연보에 따르면, 군무이탈 즉 탈영 입건이 2019년 기준으로 연간 115건 발생했다. 생각보다 훨씬 낮은 수치인 듯한데, 5년 전인 2014년엔 472건에 달했다. 이 사이의 추이가 중요한데, 2015년엔 309건으로 파격적 감소를 보였고 2016년에도 2017건으로 엄청나게 줄었다. 이후부턴 상대적으로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 2014년에 군대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공고롭게도 2015년부터 국방통계연보를 외부에 공개하기도 했고 말이다. 그 유명한 '참으면 윤 일병, 못 참으면 임 병장'이라는 말이 2014년에 세간을 흔들었다. 2014년 4월 윤 일병이 4개월간 선임 4명에게 폭행을 당해 죽음에 이르는 사건이 발생했다. 초급 간.. 더보기
폭력의 악순환이 시작된, 뜻밖의 그곳 <폭력의 씨앗> [리뷰] '폭력', 인류가 오랫동안 천착해 온 주제이다. 그 어느 누구도 이 폭력이라는 놈이 쳐놓은 그물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도 폭력이라는 소재와 주제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천착해왔다. 영화, 그중에서도 한국 독립영화에 국한한다면, 가해자가 피해자가 되고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는 폭력의 악순환이 가장 큰 주제를 형성했다. 윤종빈 감독, 하정우 주연의 가 그 시작으로 보는데, 여기서 '용서받지 못한 자'는 누구일까. 구성원 모두가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용서받지 못한 자이자 가해자라 할 수 있는 이 영화에서, 결국 진정한 최후의 가해자는 '군대' 그 자체이다. 그들이 군대라는 곳이 아니었다면 그 정도의 폭력을 휘두르고 그런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하고 그런 극단적 후회를 했었을까? 이후 한국.. 더보기
나름 군생활을 잘한 이들의 비극 체험담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 [서평] 지난 해 4월이었죠? 육군 28사단에서 '윤 일병 사건'이 발생했었습니다. 윤 일병에 대한 선임병의 상습적이고 엽기적인 가혹행위로 인해 윤 일병이 사망에 이르게 된 사건으로, 4개월 만에 전모가 밝혀지면서 전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었죠. 6월에는 육군 22사단에서 임 병장이 GOP에서 총기를 난사하고 수류탄을 터뜨려 많은 사상자를 낸 사건도 있었습니다. 관심병사였던 임 병장에 대한 왕따와 기수열외가 그 원인이었다고 해요. 유난히 심한 작년이었지만, 이런 사건사고들은 매년 일어나곤 합니다. 우리 국군은 외형적으로는 엄청난 발전을 거듭해 왔지요. 현재 국방 예산은 한 해 40조에 이르고, 군사력으로 전 세계 10위 안에 들죠. 하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세계 10위는 커녕 저 밑의 군사 후진국 수준에 머.. 더보기
군대의 서글프고 악랄한 부조리를 보여주다 <D·P-개의 날> [서평] 매달 전국적으로 60여 명의 탈영병이 발생한다. 매년 700여 명의 숫자인데, 군인의 수를 대략 60만 명이라고 한다면 1년에 약 900명 당 한 명 꼴로 탈영을 하는 것이다. 1개 대대가 약 500명, 여기에 예비군 등까지 합하면 900명에 거의 육박할 텐데 이 중 한 명이 탈영을 한다. 모르긴 몰라도 보고되지 않은 탈영병은 '훨씬' 많을 것이다. 군대 내 경찰인 헌병, 헌병 중에서도 이런 탈영병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이들이 존재한다고 한다. 일명 '군무이탈체포전담조' DP. 헌병이 밀리터리 폴리스(MP)라면 DP는 뭘까? 어원을 알 수 없지만, 흔히 '더티 플레이'라고 불린 단다. 그들은 군복 대신 사복을 입고 주로 활동하는데, 일반 헌병과는 다른 그런 군인 같지 않은 모습 때문이지 않나 싶.. 더보기
<용서 받지 못한 자> 우리 모두는 희생자, 가해자 그리고 용서받지 못한 자 [리뷰] 철없는 청소년기를 지나 청년이 된 남자에게 "군대를 갔다 와야지 철도 들고 정신차리지"라는 말은, 마냥 듣기 싫은 말이기 보다 일종의 기대심리가 적용되는 말이다. 말인즉슨, 누구나 군대라는 통과의례를 거치면 세상이 원하는 진정한 남자가 되어 있을 거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여기엔 필수적으로 '변화'가 뒤따른다. 과연 어떤 변화일까.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한국 특유의 위계질서, 그 중심에 있는 남자들만의 위계질서. 군대를 가기 전의 '무질서'에서 군대를 다녀온 '질서'로의 변화가 이를 주도한다. 군대는 문신을 새기듯 질서를 몸에 체득시킨다. 이는 곧 한국 사회에서 진정한 남자가 되는 길인 것이다. 그리고 그 길에는 수많은 '용서 받지 못한 자'들이 존재한다. 영화 는 군대라는 소재를 .. 더보기
우리가 랭킹에 집착하는 이유는? 대학 랭킹 고등학생 때 2학년까지 동네에서 조금 떨어진 보습 학원을 다녔었다. 당시 학원 선생님들 중에 유별나게 학벌을 따지는 분이 계셨다. 과학 선생님이었는데 그 분이 말씀 하시길, "너희들, 사회나가서 인간 대접 받고 싶으면 최소한 서울 10대 대학에는 들어가야 한다. 알았냐?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 성균관대, 경희대, 중앙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그리고 카이스트, 포항공대, 이화여대, 숙명여대." 그 말을 들을 때마다 얼마나 위축이 되던지.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이른바 '10대 대학 랭킹'은 나를 옮아매곤 했었다. 수시는 자신있었지만 수능은 형편없었기에, 모의고사 보는 날이면 학원을 가기가 너무 싫었던 것이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 말에 위축되었던 내 자신도 한심한 말을 ..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