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파운더>
전세계 최고이자 가장 유명한 프랜차이즈 브랜드 '맥도날드'의 설립 비하인드 이야기를 다룬 <파운더>. ⓒ크리픽쳐스
고백하건대, 프랜차이즈 중에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를 가장 선호한다. 이들은 그야말로 욕하면서도 가는 곳이다. 가장 상업적이기 때문일 텐데, 또 가장 대중적이기에 찾을 수밖에 없다. 일단 다른 어느 곳에 비해서도 결코 떨어지지 않는 '맛'을 자랑한다. 적정 수준의 '가격'도 한몫 한다. 어딜 가든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보다 '버거킹'이 더 맛있다고 생각하지만, '버거킹'은 엄청 비싸고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이 두 회사의 공통점은 또 있다. 조금 다른 얘기인데, 맥도날드 역사에서 절대적 영향력을 끼친 '레이 크룩'과 스타벅스 역사에서 절대적 영향력을 끼친 '하워드 슐츠' 말이다. 이들은 엄밀히 말해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를 '시작'한 이들이 아니다. 본래 운영되고 있던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를 사들여 지금의 위상을 갖게 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한편으론 비하인드 스토리라고 할 수도 있는 바, 아마 일반인들에겐 비하인드 스토리가 될 것이고 경영인들에겐 중요한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경영의 산 보고'일 것이다. 자본과 경쟁의 양대축으로 지탱되는 이 세계에서, 그들이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를 사들여 지금의 위치까지 올라선 과정은 그야말로 신화이기 때문이다. 추진력과 끈기를 비롯, 뻔뻔함과 음흉함의 미학까지 배울 수 있다.
누가 진짜 설립자인가. 맥도날드 형제? 레이 크룩?
영화는 '맥도날드의 진짜 설립자는 누구인가?'라는 질문 또는 의문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크리픽쳐스
영화 <파운더>는 맥도날드의 시작이 아니라 레이 크룩(마이클 키튼 분)의 맥도날드가 시작되는 때를 이야기한다. 맥 맥도날드(존 캐럴 린치 분)와 딕 맥도날드(닉 오퍼맨 분)가 1948년 미국 캘리포니아의 샌 버너디노에서 시작한 '맥도날드'. 1954년, 밀크쉐이크 기계를 팔러 다니는 레이 크룩이 그 가게에 한 눈에 반해 프랜차이즈 사업을 제안한다. 맥도날드 형제에게 모든 권리가 있으면서 꼬박꼬박 로얄티를 지불하겠다는 것이었다. 물론 레이 크룩에도 로얄티가 지불된다.
당시 유행했던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많은 시도 끝에 혁명적인 '스피디 시스템'을 안정화 시킨 맥도날드 형제, 그 위에 맥도날드라는 브랜드를 '미국의 교회'처럼 상징화 시키겠다는 야망의 레이 크룩. 이들은 이후 사사건건 부딪힌다. 원칙주의자로서 돈보다 안정화, 그리고 가족을 우선시 한 맥도날드 형제, 반면 레이 크룩은 위험이 따르지만 공격적으로 사업을 넓혀가고자 한다.
새롭게 투자한 점주들이 자기 마음대로 운영을 하고, (레이 크룩 입장에서) 터무니 없이 낮은 로얄티를 받는 계약 때문에 겉만 번지르르한 빈털털이가 될 위기에 처하는 등 레이 크룩은 가정을 등한시 하면서까지 위기를 타개하고 앞으로 나아간다. 그럴수록 맥도날드 형제와의 충돌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그 끝은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 레이 크룩은 엄청난 금액을 맥도날드 형제에게 주고 '맥도날드'를 사들인다.
영화는 제목에서부터 노골적으로 질문을 던진다. '누가 진짜 설립자인가?' 레스토랑을 시작하며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것에 관여해 혁명적인 시스템을 만들어 지역에서 확고한 명성을 쌓은 맥도날드 형제인가. 레스토랑을 만들지도 시스템을 만들지도 않았지만, 지역을 넘어 미국을 넘어 전 세계 최고의 프랜차이즈를 만들어 '맥도날드'라는 브랜드를 만방에 떨치게 한 레이 크룩인가.
레이 크룩의 성공, 그만의 것인가?
결국 맥도날드는 레이 크룩의 손으로 넘어가고 또한 그의 손에 의해 이만큼 컸지만, 과연 온전히 그만의 것인지 의문이 든다. ⓒ크리픽쳐스
<파운더>는 전후(戰後) 미국의 엄청난 경제호황 하에서의 아메리카 드림을 현실로 옮긴 레이 크룩의 성공기를 뼈대로 한다. 52세의 한물 간 세일즈맨, 접이식 탁자를 비롯해 휴지, 밀크쉐이크 기계까지 온갖 것들을 팔아 입에 풀칠하며 살아가는 레이 크룩. 그럼에도 그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공급이 있어야 수요가 있다'를 골자로 하는 이론을 앞세워 진지한 태도로 끈기 있게 설득한다. 잘 팔리진 않지만.
그는 '준비된 인재'였던 거다. 단지 기회가 그를 찾아오지 않았을 뿐. 맥도날드는 그와 운명의 단짝이지 않았을까, 싶다. 그렇지만 영화는 그의 기막힌 성공 만을 비추지 않는다. 그가 성공으로 다가갈수록 빈털털이가 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그가 맥도날드 형제가 구축한 세계를 파괴시켜 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 가정 파괴가 머지 않았음을 암시하는데, 그는 가정을 등한시 하며 앞으로도 계속 등한시 할 것이라 한다.
맥도날드 형제와 레이 크룩을 통해 우리는 '미국'이라는 나라를 엿볼 수 있다. 엄청난 노력으로 이루어낸 혁신과 그 즉시 시행되는 보수화, 한편 끝없는 야망과 체계적인 듯 임기응변식인 듯 어떻게든 무마하는 철면피와 돌파하는 불도저. 이 두 큰 축이 맞물려 돌아가는 나라가 미국이다. 이 영화는 주인공들을 통해 미국을 돌려서 말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할리우드 영화들이 조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을 말하고자 할 때 잘하는 수법이다. 그런 영화들에서는 대체로 '국뽕'이라 할 만한 요소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영화에선 그런 면까지 보이진 않는다. 대신 '아메리카 드림'이라는 지극한 성공의 모습과 그 이면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모습을 공존시키며, 균형을 맞추고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판단을 유보하고 관객들에게 미루는 걸지도 모르겠다. '레이 크룩의 성공은 온전히 그만의 것인가?'
마이클 키튼 제2의 전성시대
영화 배우 마이클 키튼 제2의 전성시대가 열린 것 같다. <파운더> 또한 큰 자리를 차지할듯. ⓒ크리픽쳐스
1970년대 후반 드라마로 데뷔한 후 1980년대 초반 영화로 데뷔한 '마이클 키튼'. 1988년에 <유령 수업>으로 팀 버튼과 함께 하고는 이듬해 팀 버튼의 <배트맨>으로 모든 이들에게 충격을 선사한다. 그의 이미지와는 너무나도 거리가 멀다는 중론, 하지만 영화는 대대적으로 흥행하여 80년대를 대표할 정도가 된다. 키튼은 역대 최고의 '배트맨'이 된 것이다. 1992년에도 팀 버튼과 <배트맨 2>를 찍어 성공을 이어 나간다.
이후 그럭저럭 좋은 영화, 나쁜 영화에 출현해 배우 생활을 이어나가는 키튼, 어느새 잊혀진 히어로가 된 듯하다. 그러던 2014년 키튼 본인의 이야기인 듯한 <버드맨>으로 완전히 부활한다. 아니, 비로소 그는 완연한 배우가 된 듯하다. 다음해에는 <스포트라이트>에 주연으로 활약한다. 그야말로 2014, 2015년 당해 최고의 작품들을 섭렵한 것이다. 그리고 2016년 <파운더>다. 이 영화의 레이 크룩도 어느 정도 키튼 본인이 투영된 게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서 그토록 편안한 연기를 펼칠 수 있었던 걸까?
사실상 원톱으로 영화를 이끌었는데, 하등 빈 곳이 없어 보였다. 이전 두 작품에서는 기라성 같은 배우들과 함께 했지만, 이번엔 그에 비해 그에게 쏠린 무게가 엄청나 보였다. 왕년의 초특급 스타가 경험과 연륜이 완연하면 이 정도 무게감을 줄 수 있구나 하는 생각까지 하게끔 하는 키튼의 연기 스펙트럼.
키튼은 2017년에만 기대작 두 편에 출현한다. <스파이더맨: 홈커밍> <아메리칸 어쌔신>. 두 작품 다 핫한 신세대 스타 톰 홀랜드와 딜런 오브라이언을 사실상 원톱 주연으로 내세운 바, 키튼은 다시 조력자로 돌아간 듯하다. 하지만 역할은 그렇지 않은 듯, 스파이더맨의 가장 강력한 적으로 나오며 미치 랩과 함께 활동하며 미치 랩만큼 중요한 스탠 헐리로 분할 예정이다.
60대 중반이 지나는, 적지 않은 나이의 키튼이지만 그 어느 때보다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것 같다. 많은 배우들이 나이가 들어 부활은커녕 사람들 기억 속에서 완전히 지워지기 일쑤인데, 키튼은 어떻게 보면 행운아일지 모르겠다. 부디 지금 이대로 경험과 연륜으로 좋은 작품에 출현해 끝내 유종의 미를 거두었으면 좋겠다.
'신작 열전 > 신작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답게 보여주는 나의 이야기, 현 일본 애니메이션의 정점 <목소리의 형태> (0) | 2017.05.17 |
---|---|
잔잔하지만 날카롭게 일본 사회를 들여다본다 <아버지와 이토씨> (0) | 2017.05.10 |
책이 아닌 작가를 편집하는 편집자여야 한다 <지니어스> (0) | 2017.04.26 |
방법과 방향이 틀린 나치독일 잔해 제거 임무 <랜드 오브 마인> (0) | 2017.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