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거대한 딜레마 '총기 규제'가 빚어내는 로비스트의 기막힌 삶 <미스 슬로운>

반응형



[리뷰] <미스 슬로운>


우리에겐 낯선 '총기 규제' 이슈와 '로비스트'의 삶을 절묘하게 결합시켜 보여준다. ⓒ메인타이틀픽쳐스



자타공인 최고의 로비스트 슬로운(제시카 차스테인 분), 최고의 회사를 전격적으로 그만둔다. 거대 권력이 의뢰한 총기 규제 강화 법안, 일명 '히튼-해리슨 법' 반대 로비를 슬로운이 거절했기 때문이다. 그러곤 히튼-해리슨 법 찬성 로비를 맡은 작은 회사로 이직한다. 옛날의 동지가 곧 적이 된 것이다. 


무지막지한 자금을 앞세워 히튼-해리슨 법 반대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거대 권력에 맞서, 이 작은 회사가 통과를 무산시킬 수 있을까. 아무리 최고의 로비스트 슬로운이라고 해도 말이다. 그래도 '무슨 짓이든' 하면 이길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니, 슬로운은 로비스트가 무엇인지 몸소 보여준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은 로비스트가 합법화는 물론 활성화까지 되어 있다. 영화 <미스 슬로운>은 로비스트의 삶과 직업과 윤리와 신념을 제시카 차스테인의 신들린 연기로 보여준다. 우리로서는 생소하기만 한, 특수한 집단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의회 공작 활동을 벌이는 게 목적인 직업 '로비스트'와 역시 우리와는 거리가 먼 '총기 규제' 문제를 다루고 있기에 자체로 상당히 어렵고 먼 느낌의 영화다. 이 거리감을 무엇으로 좁힐 것인가. 


고급지고 수려하고 세련되고 타이트한 웰메이드


프로페셔널한 게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는 제시카 차스테인,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존 매든 감독이 제대로 된 옷을 입혀줬다. ⓒ메인타이틀픽쳐스



<미스 슬로운>의 마에스트로는 '존 매든'으로, 20여 년 전 화제의 중심이었던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감독이다. 고급지고 수려하고 세련된 웰메이드 영화의 대명사격이라 할 수 있는 영화인데, <미스 슬로운>으로 20년 만에 돌아왔다는 느낌을 주기에 충분하다. 누구도 범접하기 힘든 전문직 로비스트를 잘 표현해내기 위해선 고급지고 수려하고 세련되게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영화 자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미스 슬로운'을 분한 제시카 차스테인의 존재감은 그에 완벽히 부합해 형형히 빛난다. 2000년대 중반에 얼굴을 내민 그녀는, 존 매든 감독의 <언피니시드>에 출연하기도 했는데 이후 <트리 오브 라이프> <헬프> <제로 다크 서티> <인터스텔라> <마션> 등으로 자신만의 자리를 꿰찼다. 특히 <제로 다크 서티>에서 분한 마야는 그녀에게 가장 잘 맞는 캐릭터가 아닐까 싶다. 슬로운이 그와 비슷한 느낌을 주기에 기대가 되지 않을 수 없다. 


특정 직업, 특히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직업을 소재로 한 영화가 종종 눈에 띈다. 대략 화려하기 그지 없고 다가가기 힘들거니와 직업에 본인 자체가 투영되는 직업들이다. 우린 덕분에 새로운 '인간 군상'군을 들여다볼 수 있다. <미스 슬로운>은 어떨까? 화려하고 세련된 직업인으로서의 모습 이면의 아프고 힘든 보통 사람으로서의 모습을 맞닥뜨릴 수 있을까. 


영화는 그 이면의 모습조차도 '로비스트'라는 직업인의 한 측면으로 보이게끔 한다. 그래서 시종일관 단 한 순간도 한가로울 틈이 없다. 쉴 타이밍 같은 건 없고, 바늘 하나 들어갈 구멍도 존재하지 않으며, 잠깐이라도 눈을 돌려선 안 된다. 그랬다가는 로비스트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고 영화도 이해할 수 없다. 덕분에 지루할 틈도 없이, 다분히 타의에 의해서이지만 타이트하고 정갈한 영화 한 편을 감상할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 '신념'을 가장 가까이 해야 할 직업, 로비스트


로비스트와 가장 거리가 먼 것 같은 '신념', 하지만 로비스트야말로 '신념'을 가장 가까이 해야 한다. ⓒ메인타이틀픽쳐스



슬로운의 삶은 오직 로비스트라는 직업에 맞춰져 있다. 정확히는 로비스트라는 직업을 통해 절대적 승리를 추구하는 것에 맞춰져 있겠다. 오직 승리를 위해 다른 모든 것을 희생한다. 자기 자신도 포함해서. 그런데 로비스트는 '선'을 넘기가 무척 쉬운 직업이다. 개인의 신념과 직업인의 신념이 부딪힐 때 맞닥뜨리게 되는 선 말이다. 함정은, 슬로운에게 신념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 


로비스트라 하면 통념적 도덕에도 직업윤리에도 벗어나 있다고 생각하기 일쑤이다. 정당한 전략과 전술이 아닌 뇌물과 협박 등을 일삼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로비' 자체가 양지가 아닌 음지에서 은밀히 행하는 교섭 아닌가. 그래서 아이러니하게도 다른 어떤 직업보다 더더욱 '신념'이라는 걸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게 없다면, 로비스트라는 게 어떤 의미를 지닌 직업이겠는가? 극 중에서 동료들이 최고의 실력을 가졌음에도 슬로운을 멀리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로비스트는 직업 특성상 나라를 좌지우지하는 이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하기에 기본적으로 서로의 신념에 합이 맞아야 한다. '총기 규제'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사항일 수 있는 국가적 이슈에 신념보다 돈이 앞설 것인가, 권력이 앞설 것인가, 명예가 앞설 것인가. 슬로운은 돈과 권력이 앞서는 회사를 때려 치우고, 개인적 '승리'의 발현을 위해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다. 문제는, '오직 승리'가 총기 규제와 관련된 신념 밖에 있는 개념이라는 것. 


총기 규제에 대한 강력한 신념 때문에 적을 옮긴 것 같은 슬로운이, 점점 총기 규제가 아닌 개인적인 이유로 옮겨가며 스스로 괴로워하고 주위 사람을 괴롭게 하는 모습을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그녀가 스스로 괴로워하지 않고 주위 사람을 괴롭게 하지 않는 다면 총기 규제 법안은 통과될 수도 있다. 그녀가 아니면 이길 수 없으니까. 이 난감한 상황이란.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거대한 딜레마, '총기 규제' 이슈


이 영화의 핵심 이슈는 '총기 규제' 딜레마다. 총기를 규제해야 하는가? 하지 말아야 하는가? 깊이 파고들수록 판단을 내리기가 힘들다. ⓒ메인타이틀픽쳐스



이 영화가 맞부딪히는 신념, '총기 규제' 이슈에 가까이 가보자. 세상에 수없이 존재하는 50대 50의 절대적 딜레마 중에 하나일 테다. 극 중에 나오는 '히튼-해리슨 법'은 가상이지만, '모든 총기 판매 시 신원 조사 의무화를 명시한 총기 규제 강화 입법안'이다. 아주 강력한 총기 규제 법안이다. 좋다. 


이에 대항하는, 총기 규제 반대 법안을 내 자신의 사익 추구를 일삼으려 하는 거대 권력의 논리는 무엇일까. '수정헌법 2조'다. '규율을 갖춘 민병대는 자유로운 주 정부의 안보에 필요하므로, 무기를 소유하고 휴대할 수 있는 국민의 권리가 침해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규정. 총기 규제보다 더 상위 개념일 수 있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장이다.  

이 안에 도사리고 있는 온갖 정치적 사항들을 차치하고 그 자체로만 바라보자. 총기를 규제해야 하는가, 총기를 휴대해야 하는가. 이는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보다 근본적인 시각에서 기인한다. 정답은 없고 끝 없는 정쟁만 있을 뿐이다. 때와 장소, 사람과 환경, 경험에 따라 시시각각 달라지기에 이 '로비 전쟁'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어떻게 생각하든 개인의 경험이 투영되지 않을 수 없기에, 개인적으로 총기는 규제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수많은 총기 사건이 있지 않았는가. 평소 인간을 믿을 수 없는 존재라고 인지하고 있는 것도 한몫 할 것이다. 그렇지만, 총기 규제를 한다 해도 음지에서 계속 이어나갈 것이 자명하기에 오히려 총기를 갖추지 못한 이들이 위험에 빠질 요지가 늘어날지 모른다. 


여기서 중요한 건 어느 한 쪽의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것 자체겠다. 아무런 신념도 지니지 않은 채 막무가내로 살아가는 건 '옳지 못하다'는 게 나의 신념이다. 또한 나의 신념뿐 아니라 누구나의 신념이라도 '존중'해야 한다는 게 나의 신념이다. 신념 없는 슬로운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하지만, 그의 신념 없음을 존중하는 것이다. 신념 없는 이들이 용기를 얻길 바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