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도서

<가와이이 제국 일본> 문화 블랙홀 '가와이이'의 모든 것

반응형




[서평] <가와이이 제국 일본>


<가와이이 제국 일본> ⓒ펜타그램

비단 일본만이 갖고 있는 모습은 아니겠지만, 흔히들 일본을 두고 '두 얼굴의 일본'이라고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세계에서 제일 상냥하고 예의바른 모습으로 일관하지만, 그 이면에 세계에서 제일 잔인하고 극악무도한 모습을 감추고 있다는 것. 이는 일본인 개개인에서 어쩌다가 발현되는 모습은 아니다. 일찍이 미국의 루스 베네딕트가 <국화와 칼>이라는 책으로 그들의 양면성을 고찰했듯이, 일본의 양면성은 두루두루 나타나곤 한다. 그런가하면 우리나라의 이어령은 <축소 지향의 나라>로, 프랑스의 롤랑 바르트는 <기호의 제국>으로, 일본의 우치다 타츠루는 <일본변경론>으로 일본을 분석했다. 


일본은 그만큼이나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특이한 민족이라는 것일 게다. 이런 일본의 문화는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고 받는 중이다. 반향 또한 관심에 대치될 정도이다. 학자로써 일본인들의 모습과 일본 만의 문화는 분석하고 싶은 대장이자 기피하게 되는 대상이며, 예외적인 텍스트인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 일본을 규정하고 설명하는 문화 현상은 무엇이 있을까? 아무래도 세계 최고의 애니메이션 강국 일본이니만큼 하나에 지나치게 열중하는 사람을 뜻하는 '오타쿠', 1990년대 버블 경제 불황 등으로 인해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집안에만 틀어박혀 있게 된 사람들을 가리키는 '히키코모리', 자부심과 피해의식과 애국심과 불만과 불안 등이 뒤엉켜 극도로 보수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극우'. 이 밖에도 일본을 규정하는 여러 개념들이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요모타 이누히코 교수가 <가와이이 제국 일본>(펜타그램)으로 새롭게 개념화한 '가와이이' 문화가 있다. 우리나라 말로 해석하자면 '귀엽다'라고 표현할 수 있는 이 단어. 사실 이 단어는 일본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모든 대중문화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지금 이 단어는 일본의 규정하고, 일본 문화 분석의 단초를 제공하는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저자는 21세기 일본 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가와이이'를 왜 뽑은 것인가? '가와이이'는 무엇인가?


가와이이란 무엇인가?


'가와이이'를 우리나라 말로 단순히 옮기면 '귀엽다'란 뜻이다. 하지만 저자는 일본에서의 '가와이이'는 특별한 단어라고 말한다. 그 뜻을 한 마디로 규정하기 힘들다. "부서지기 쉬운 것. 그리움을 자아내는 것. 누군가에게서 버림받아 연민의 정이 들게 하는 것. 아이 같고 순진무구한 것." 


저자는 먼저 일본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뻗어나가고 있는 가와이이 열풍을 <세일러 문>, <포켓몬스터>, <키티> 등의 애니메이션으로 개괄한 뒤, 일본 내에서의 가와이이 역사를 다자이 오사무의 <여학생>, 세이쇼나곤의 <마쿠라노소시>, 영화 <가족게임> 등의 문학과 영화로 언급한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일본 내에 깊게 뿌리박힌 가와이이의 내력이었다. 


다음으로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다른 나라의 말들에 '가와이이' 즉, 일본에서 해석되는 가와이이가 내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묻는다.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히브리어, 중국어, 한국어, 심지어 세르비아-몬테네그로어와 세르보-크로아티아어까지. 결론적으로 일본에서의 가와이이와 완벽히 대조되는 단어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후 저자는 가와이이의 본질에 대해 많은 페이지를 할애해 파헤친다. 


가와이이의 본질


저자가 가와이이에 이토록 열의를 보이며 책까지 쓰게 된 동기를 돌아본다. 그는 가와이이란 단어가 21세기 일본을 상당 부분 규정하고 있다고 생각했고, 가정했으며, 연구 끝에 답을 찾아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 작년 가을 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포럼을 열었고 책까지 낸 바 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10개는 각각 "곰삭음, 정, 자연스러움, 공동체, 어울림, 해학, 흥, 예의, 역동성, 끈기"였다. 이와는 별개로, 흔히들 말하는 한국인의 꾸밈말이 있지 않은가. "의지와 끈기의 한국인" 하지만 일본의 가와이이와는 확연히 다른 느낌이 든다. 


저자는 먼저 가와이이와 그로테스크의 관계를 논한다. 얼핏 정반대일 것 같은 이 둘의 관계는 아주 단순하게 규정할 수 있다. 저자는 백설공주의 일곱난장이, 이티, 이웃집 토토로 등의 콘텐츠 캐릭터와 함께 아기와 쌍둥이를 예로 내세운다. 이들은 우리가 흔히 '가와이이'한 존재라고 생각하곤 하는데, 이들을 하나하나 뜯어보면 다르게 느낀다는 것이다. 비정상적으로 키가 작고 머리가 크며, 어딘가 기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즉, 그들은 항상 인간에게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위험하지 않다는 것이 판명된 존재들이다. 


가와이이는 작은 것과 어린 것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저자는 이를 이어령의 <축소지향의 일본인>, 수전 스튜어트의 <동경론>을 상당 부분 차용해 설명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작은 것이 '사랑스러운 것'일 뿐만 아니라, 사물을 더욱 압축시켜 '강도를 더한다'는 것이다. 또한 미니어처를 예로 들어, 미니어처는 유토피아라고 가정된 무시간성을 향해 사물이 빠져들면서 보여주는 상태라고 말한다. 흔히 알고 있는 가와이이의 핵심이다. 


그리고 어린 것과 관련해서, 저자는 '성숙'에 대한 고찰을 한다. <세일러 문>을 보면, 평범한 여학생들이 변신해 악당으로부터 세상을 구한다. 그런데 항상 악당이 육체적으로 성숙한 여자들이다. 저자는 이를 주요한 근거로 내세워, 일본의 가와이이를 설명한다. 일본은 미성숙에서 미(美)를 발견한다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자, 저자는 책을 통해 가와이이가 무엇이고 어디에서 시작했고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고 본질이 무엇이고 현재 어떤 모습으로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모조리 알아보았다. 그리고 저자는 질문을 던진다. 과연 이런 모습의 가와이이 문화는 일본만의 것인가? 아니면 전세계적 조류의 일부분인데, 일본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인가? 


저자는 결론 부분에서 두 번이나 같은 질문을 던지지만 결국은 답을 내지 못한다. 끝까지 규명하려고 들자면 논쟁이 가와이이 현상을 벗어나 다른 문제로 귀착되기 때문이라는 논리로 말이다. 다만 현재 일본에서 발신하는 가와이이 문화의 태반은 근대 이후의 대중문화에서 발전되어 나온 것이라는 것만 규명한다. 그리고 그 문화는 일본 전통문화가 아닌 서양에서 도입된 문화가 변형된 문화라는 것과 그것이 해외로 퍼지게 된 이유는 1990년대의 글로벌화 덕분이라는 것. 


그렇다면 이는 앞뒤가 맞지 않는 구조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초반에 저자는 일본의 가와이이는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단어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1000년 전에도 일본에는 이런 단어가 존재했었다고 규명하기도 했다. 그런데 책 말미에 와서는 근대 이후의 대중문화, 그것도 서양에서 도입된 문화가 변형된 문화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말은즉슨, 이 사실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라는 것이 아닐까. 


저자가 진짜 말하고자 하는 바는 '가와이이는 베일을 벗어야 한다'라는 것이었다. 저자는 가와이이를 일종의 블랙홀이라고 보고 있다. 모든 것을 빨아들이며, 모든 것이 가와이이라는 단어 아래에 놓이고, 현실에서 동떨어진 동어반복의 가수면 상태에 들어가, 점차 윤곽을 상실한다고 본 것이다. 그래서 가와이이라는 것은 언제나 덧없는 것이고, 상처받기 쉬운 취약성으로 가득한 존재라는 것이다. 저자는 가와이이 문화에 대한 경고로 책을 마치고 있다. 


"심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가와이이' 이미지가 억압하고 은폐해온 것들이 가까운 장래에 일제히 지상으로 회귀하여 득의양양하게 그 모습을 드러낸다면, 그건 바로 우리 사회가 본질적인 파국을 맞는 때일 것이다. 그것은 과연 어떠한 모습으로 도래할지, 아무도 미리 알 수는 없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