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부(父)를 부(不)정하는 부(父)성애의 눈물 <우리를 침범하는 것들>

반응형



[리뷰] <우리를 침범하는 것들>


상식 밖의 무리를 이끄는 부자(父子)의 여러모로 필수적인 듯보인다. 자신처럼 되었으면 아들, 그리고 아들은 그 아들이 자신처럼 되지 않았으면 한다. ⓒ그린나래미디어(주)



여기 상식 밖의 무리가 있다. 그들은 외곽에서 캠핑카에 생활하며 국가와 사회로부터 동떨어진 채 그 어떤 구속도 받지 않는다. 그 한 가운데에는 콜비(브렌단 글리슨 분)가 있다. 모든 걸 부정한 채 오로지 아버지의 말씀을 바탕으로, 마치 종교집단의 교주처럼 행동한다. 모두들 그의 말이 사실이 아니라는 걸 어렴풋이 느낄 뿐 따르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거니와 그곳이 아닌 곳에선 살 수 없다. 


콜비가 이 무리의 정신적 지주라면, 그의 아들 채드(마이클 패스벤더 분)는 이 무리의 실질적 리더다. 비록 그 또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고 그래서 글조차 모르지만, 예의 타고난 카리스마와 대범함은 이 무리가 살아가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그 도움이란 다름 아닌 절도 행각이다. 콜비에 의해서 '우리의 권리를 침해받지 않기 위한 대항 행위'라고 명명된 그 범죄는, 실상 이 무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물질적 정신적 버팀목이다.


채드는 이제 그 짓거리를 그만두고 싶다. 콜비가 차기 리더로 키우고 싶어하는 그의 손자이자 채드의 아들 타이슨의 미래를 위해서이다. 비록 학교 교육을 받고 있는 타이슨이지만, 콜비의 '교육'으로 채드의 뒤를 잇기에 충분한 몸과 마음을 지니고 있는 중이다. 즉, 미래의 범죄자 말이다. 물론 그 와중에도 채드는, 비록 경찰에게 잡혀가지 않지만 범죄를 계속 저지른다. 배운 게 그것 뿐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사면초가. 타이슨만은 자신처럼 되지 않길 바라면서도, 자신이 할 수 있는 게 범죄밖에 없기에 타이슨이 배우는 건 자연스레 범죄일 수밖에 없다. 그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 비극의 고리를 끊기 위해선 그가 잡혀들어가는 수밖에 없지만, 그는 범죄의 프로이기 때문에 절대 잡혀들어가지 않는다. 그것 또한 그가 뼛속 깊이 배운 것. 그는 '잘못된' 교육과 본능을 이겨낼 수 있을까? 


몽상가적이고 감성적인 고민


이 영화를 보며 평소 하기 힘든 고민들을 해보았다. 굉장히 비현실적인 것들 같아 보이지만, 사실 굉장히 현실적이다. ⓒ그린나래미디어(주)



영화 <우리를 침범하는 것들>은 아버지와 아들, 시스템, 교육, 권리, 가족, 부정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우리가 저 멀리 놓아두곤 하는 몽상가적이고 감성적인 고민을 여기 앞으로 데려다 놓는다. 현실이 끼어들 자리는 일말도 없어 보이지만, 현실에 찌들수록 생각하게 되는 것들인 걸 보면 굉장히 현실적인 이야기 같기도 하다. 


우린 누구나 꿈꾸지 않는가? 히피, 집시의 생활을, 영원히 자유로울 것 같은 그들의 환상적인 일상을, 남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자급자족하며 세계를 돌아다니는 노마드의 기적을.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과 함께 점점 속박되어 지는 자유와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런 삶은 정녕 꿈이다. 


한편, 영화는 할리우드의 완벽주의자로 유명한 에드워드 노튼 저리 가라 할 정도의 철저함을 자랑하는 마이클 패스벤더 주연으로도 충분한 믿음을 준다. 연기를 빼면 왠지 아무것도 못할 것 같은 그의 모습이, 범죄 행각을 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채드를 누구보다 잘 표현해낼 수 있을 것 같다. 


거기에 속을 알 수 없는, 무표정의 조직 보스와 같은 포스와 표정과 리더로서의 모습을 완벽하게 구현할 줄 아는 브렌단 글리슨의 출현은 영화의 중심을 잡아줌은 물론 영화로 자연스레 들어가게 만든다. 패스벤더가 정말 열심히 연기한다는 느낌을 주는 반면, 글리슨은 거기에 원래부터 있었던 듯하다. 


줄기 하나, 가족의 독립


가족에서 또 다른 가족이 탄생해 독립하는 건 숙명이다. 이 영화는 그 숙명을 따르려는 자와 거스르려는 자의 대결이기도 하다. ⓒ그린나래미디어(주)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는 묘하디 묘하다. 아들이 가장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 대상이 다름 아닌 아버지이지만, 아들이 가장 증오하는 대상이 아버지가 될 수 있다. 새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꺼낼 필요도 없을 것이다. 아들이라면, 아버지라면 최소한 어렴풋이 알고 있다. 그럼에도 모성애 못지 않게 부성애 또한 인류의 가장 숭고한 사랑의 종류 중 하나이다. 


영화에서 이 관계가 지니는 파워는 절대적이다. 세상을 등진 채 한 무리를 이끌며 아버지의 말씀을 절대적으로 신봉하고 따르고 콜비, 자연스레 무리에게 강요하고 무엇보다 아들 채드와 손자 타이슨에게 강요한다. 아이러니는 여기서 발생한다. 그렇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적 아이러니는 아니다. 여기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다. 


채드는 자신의 삶이 제대로이지 않다는 걸 인지하고 타이슨은 그런 삶을 살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자신이 아닌 아들을 위해, 자신의 삶 자체를 부정하고 고로 아버지를 부정하고 증오하는 아이러니. 정녕 위대하다 말할 수 있지 않은가. 우리나라 독립영화 <똥파리>가 겹쳐진다. 끝없이 이어질 고리를 끊기 위해, <똥파리>는 영화적 차원에서 희생을 보여주었고 <우리를 침범하는 것들>은 영화 속에서 희생을 택했다. 여기서 줄기 하나는 '가족'으로 빠진다. 


무리에 속한다는 건 독립과는 거리가 멀다는 걸 의미한다. 그렇지만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신만의 가족을 이루어 독립해 살아야 한다. 콜비가 세상을 등진 채 '독립'해 무리를 이끌며 살아가듯이, 채드도 무리를 등지고 '독립'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거기엔 갈등과 문제가 뒤따른다. 채드는 물론 타이슨도 마찬가지다. 채드는 이 모든 고리를 끊고 타이슨에게 가족을, 독립을, 삶을 선사한다. 


줄기 둘, 시스템과 교육


현 시대 문명을 지탱하는 시스템과 교육이 반드시 올바른 건 아니다. 하지만 영화에서 콜비가 행하는 반시스템과 반교육적 방법도 결코 옳지 않다. ⓒ그린나래미디어(주)



영화의 줄기는 시스템과 교육으로도 이어진다. 시스템의 중요성을 말하진 않지만,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이 무리는 거대 시스템을 부정하고 반하면서도 '잘' 살아간다. 채드는 수없이 많은 범죄를 저지르면서도 절대 잡히지 않는 것이다. 시스템이 가진 반인간적인 면모를 부각해 머릿속에 인지시키고 시스템이 가진 맹점을 잘 이용하는 것이다. 반시스템에 대한 일종의 정신적, 육체적 훈련이 완벽한 것이다. 


그렇지만 교육은 그들도 어찌할 도리가 없는가 보다. 콜비가 아버지의 말씀이라며 무리를 이끄는 절대적 규범을 세우고, 되도 않는 기독교적 지식들을 버무려 사이비종교처럼 만들어 세뇌시키지만, 그건 절대로 교육이 될 수 없다. 거기엔 기본도 없고 도리도 없고 이성도 없고 기준도 없다. 채드가 그걸 깨달은 건 기적에 가깝다. 


영화 <캡틴 판타스틱>에서 가족 무리를 이끄는 아버지이자 '캡틴' 벤은 자신만의 확고한 철학을 가지고 아이들에게 혹독한 교육을 실시한다. 학교에서 받는 교육보다 모든 면에서 훨씬 앞서는 듯 보인다. 물론 반시스템적이지만 말이다. 우린 그 방법론을 이해한다. 그럼에도 벤은 결국 아이들을 학교에 보낸다. 그의 교육은 방과 후에. 


반면 콜비 무리에겐 교육 이전에 철학 비스무리한 것도 없다. 우린 거기에서 그 어떤 긍정적인 면도 찾을 수 없다. 오히려 누구나 어느 정도는 지니고 있을 반시스템, 반교육적 생각의 틀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기까지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반시스템, 반교육을 외치면 외칠수록 말이다. 


이들 무리는, 무리의 수장 콜비는 자신들을 침범하는 것들이 다름 아닌 이 국가, 이 사회, 이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3자의 입장에서 보면, 그리고 채드는 그들(자신들)을 침범하는 것들이 다름 아닌 잘못된 생각이라고 생각한다. 그 기준이 어디에 있느냐고? 남에게 강요하고 피해를 주는 행위가 그 기준이다. 그 행위의 결과는 다른 어디도 아닌 자신들에게 돌아온다. 결국 내가 나를 침범하는 꼴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