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하다

지금은 넷플릭스 시대, 나는 행복하다

반응형

 


[기획] 넷플릭스 시대에 살고 있다


넷플릭스 로고

소장 욕구가 강해 인터넷 스트리밍을 멀리했다. 킬링타임용으로 보는 콘텐츠 몇몇을 볼 때만 이용했을 뿐이다. 어느 날 갑자기 튀어나온 '넷플릭스'라는 것에도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 다른 건 몰라도 영화라면 극장에 걸려야지 하는 완고한 고집이 가장 크게 작용했을 터다. 


아내가 꼭 보고 싶은 콘텐츠들이 있는데, 넷플릭스를 하면 일단 첫째달은 무료이고 둘째달부턴 아는 사람들 3명과 함께 4명 프리미엄으로 한 달에 14,500원에 모든 걸 무제한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14,500원을 4로 나누면 1명당 3,625원이니 커피 한 잔 값도 되지 않아 해보자고 했다. 


아내와 난 다른 듯 비슷한 취향이라 주로 같이 보기 때문에 정확히 하자면 2명이 1명당 분의 3,625원을 소비하는 것이기에, 1명당 1,812.5원이 되는 것이다. 즉, 무수히 많은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시청하는 데 1달에 1,812.5원이 드는 것이니 더 말해 무엇하랴. 


2019년 새해 벽두부터 시작한 넷플릭스, 한 달이 조금 넘어갔을 뿐이지만 요즘 나의 인생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신작을 보러 극장에 거의 가지 않게 되었고, 구작을 보러 인터넷을 뒤지지 않게 되었으며, 결정적으로 공중파와 케이블을 막론하고 TV방송 자체를 안 보게 되었다. 


가히 혁명적인 수준인데, 내가 앞으로도 계속 영화 리뷰 콘텐츠를 생산한다는 전제 하에 넷플릭스는 계속해서 내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게 분명하다. 물론 넷플릭스가 영원하란 보장은 없지만 말이다. 사실 넷플릭스 자체 보다 OTT(Over The Top)에 대한 생각을 바꾼 게 더 크다. 


넷플릭스의 시작과 과정


넷플릭스는 1997년에 비디오 대여 사업으로 시작해 지금은 온라인 스트리밍 사업을 위주로 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폭발적으로 성장해 작년 한때 디즈니를 뒤로 하고 전 세계 기업 시가총액 1위를 달성하기도 했을 정도의 기업이 되었다. 전 세계 1억 5천 만 명에 다다르는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2016년 1월 상륙해 변변찮은 콘텐츠 때문에 죽을 쑤다가 2013년에 공개되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위상을 수직상승시켜준 데이빗 핀처의 <하우스 오브 카드>를 3월에, 제작비 전액을 투자한 봉준호의 <옥자>를 2017년에 공개하면서 대대적으로 상승했다. 이후 넷플릭스는 점점 믿을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회사가 되어 갔다. 


2018년 정점을 찍은 넷플릭스, 이제 대표작을 한두 작품으로 국한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그 이유엔 여러 가지가 있다. 제작 투자의 무지막지한 양, 거기에 정확히 반비례하는 간섭이다. 넷플릭스는 2018년에만 120억 달러를 투자해 콘텐츠를 만들었다고 한다. 한국에는 1500억 원을 투자했고 말이다. 단기적으론 부채가 엄청나게 늘었지만 장기적으로 디즈니, 아마존, 훌루 등과의 경쟁에서 이기거나 또는 버티기 위해선 꼭 필요한 투자인 것이다. 


한편, 넷플릭스는 창작자에게 콘텐츠 방향 등 간섭을 하지 않는 걸로 유명하다. 사람들로 하여금 훨씬 쉽게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해 놓았으니 진짜 좋은 작품만 나오면 된다는 신념이 작용한 듯하다. 그 덕분에 그야말로 무지막지한 거장들이 넷플릭스와 함께 하게 되었다. 2019년이 2개월 채 안 된 이 시점에서 공개된 영화들의 면면을 보면 시쳇말로 장난이 아니다. 스티븐 소더버스의 <높이 나는 새>, 댄 길로이의 <벨벳 버즈소>, 매즈 미켈슨 주연의 <폴라> 등이다. 


넷플릭스 대표 오리지널 영화


말이 나온 김에 넷플릭스 대표 오리지널 영화를 들여다보자. 넷플릭스가 콘텐츠에 대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 어느 정도 보일 것이다. 2015년 최초 공개를 한 후 매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2016년까지는 들여다볼 만한 게 거의 없고 2017년조차도 봉준호의 <옥자>, 노아 바움벡의 <마이어로위츠 이야기>, 메이컨 블레어의 <루스에게 생긴 일> 정도가 눈에 띈다. 


그러던 것이 2018년에 폭발한다. <내가 사랑했던 모든 남자들에게>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고 타마라 젠킨스의 <프라이빗 라이프>, 폴 그린그래스의 <7월 22일>, 코엔 형제의 <카우보이의 노래>, 알폰소 쿠아론의 <로마>가 연달아 공개되어 그야말로 풍년을 맏이했다. 산드라 블록 주연의 <버드 박스>와 인터랙티브 방식의 <블랙 미러: 밴더스내치>는 느낌표와 마침표를 찍었다. 


이중 <로마>는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의 영예를 받은 것도 모자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10개 부문 최다 노미네이트되어 000, 000 등 00개 부문을 수상했다. 가히 2018년 최고의 영화가 넷플릭스 제작, 배급작인 것이다. <7월 22일>과 <카우보이의 노래> 또한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을 탔다. 


2019년 3월달에는 <트리플 프런티어> <하이웨이맨> 등이 공개될 예정인데, 감독도 감독이지만 쟁쟁한 배우들이 영화의 이름값과 궁극적으로 넷플릭스의 이름값을 드높여줄 예정이다. 이밖에도 넷플릭스가 콘텐츠의 제작 해당 국가를 제외한 전 세계 배급 판권을 가진 좋은 작품들이 부지기수이다. 


지금은 넷플릭스 시대


OTT 서비스 업체가 넷플릭스만 있는 건 아니다. 한국엔 상륙하지 못했지만 좋은 콘텐츠를 보유한 '훌루'도 있고, 폭스를 인수한 후 전 세계를 폭격할 '디즈니+'도 있으며, 아마존을 비롯 세계적인 대기업들이 발을 들이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넷플릭스의 독보적 활약이 돋보인다. 미국에서 훌루가 디즈니와 폭스를 위시한 이들이 합심해 만든 케이스라면, 우리나라에선 방송사와 통신사들이 합심해 새로운 OTT 업체를 만들 기미가 보인다. 넷플릭스의 급성장에 따른 위기감 상승 때문이다. 


모든 OTT 기업들이 막대한 자본을 앞세워 좋은 콘텐츠를 갖추고 창작자에게 좋은 환경을 만들어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언제 어디서나 어떤 디바이스로든 무제한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가정한다면, 결국 브랜드 선점이 정답일 것이다. 넷플릭스는 이 모든 걸 가장 앞서서 제창하고 달성하고 유지해 왔으니 사랑을 받는 게 당연하다. 


물론, 독점 기업은 안팎으로 거센 압박과 도전을 받을 것이다. 언젠가 하강 곡선을 걸을 게 분명하다. 넷플릭스에 대항하고자 아니 뛰어넘고자 디즈니가 큰 돈과 큰 공력과 많은 시간과 절대적 콘텐츠를 앞세워 시장을 침공, 파괴, 혁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그 일환이다. 북미를 포함 전 세계 영화계에서 그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자본과 경쟁력과 콘텐츠를 갖춘 디즈니는, 누구나 알고 있는 브랜드 이름과 100여 년의 역사 전통을 자랑한다. 


그럼에도, 지금은 넷플릭스 시대라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 몇 년 전부터 유행한 4차 산업과 빅데이터. 다름 아닌 빅데이터를 가장 잘 활용하는 기업이 넷플릭스이다. 이용자들의 이용 패턴을 수집한 빅데이터를 이용하는데, 넷플릭스를 이용하는 우린 나도 잘 모르는 내 성향에 맞는 콘텐츠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손쉽게 얻는다. 그건 비단 이용자들의 구독과 시청에 국한된 게 아니라,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때도 긴요하게 쓰인다고 한다. 즉, 넷플릭스가 미는 건 이용자들도 좋아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용자 입장에서 그동안 미국 영화만 봐왔던 것에 비해 넷플릭스가 공개하는 전 세계 수많은 국가들의 콘텐츠 면면은 차라리 축복이다. 근 10년 동안 전 세계 영화계가 점점 범 슈퍼히어로로 급속히 편제화되어 가는 가운데, 다양한 종류의 영화들을 접할 수 있다는 것도 시대의 흐름을 선도하고 따르는 한편 큰 덕목이라 하겠다. 특히, 다큐멘터리의 수준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과거 세계 유수 방송국에서 만들곤 했던 다큐멘터리들도 과감히 제칠 수 있다. 


무엇보다 큰 장점, 넷플릭스만의 장점은 아니겠지만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이다. 내가 보고 싶은 작품을 내가 보고 싶을 때 보고 싶은 기계로 보고 싶은 장소를 택해 볼 수 있다. 더 말해 무엇하랴. 나는 넷플릭스 덕분에 보다 다양하고 작가주의적인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나는 넷플릭스 덕분에 보다 훌륭한 환경에서 일(보고 쓰는)을 할 수 있다. 나는 넷플릭스 덕분에 행복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