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

박원순의 1년 6개월, 세종과 정조가 보인다 [리뷰] 오연호가 묻고 박원순이 답하다 조선시대 전·후기 중 제4대 세종과 제22대 정조 시대는 이른바 문화부흥기로서의 '르네상스' 시대였다. 이 두 왕은 정치적 안정(또는 안정된 것 같은) 속에서 자신들이 뜻한 바를 이루려고 하였고 상당 부분 이룰 수 있었다. 아시다시피 세종은 애민정신을 바탕으로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사실 훈민정음 창제에 대해 전하는 기록은 없으나, 훈민정음 서문의 "비록 백성들로 하여금 다 율문을 알게 할 수는 없을지나, 따로 큰 죄의 조항만이라도 뽑아 적고, 이를 이두문으로 번역하여 민간에게 반포하여 우부우부들로 하여금 범죄를 피할 줄 알게 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중략) 이로써 글을 해석하면 그 뜻을 알 수가 있으며, 이로써 송사를 청단하면 그 실정을 알아낼 수가 있게 된다"는.. 더보기
“당장 내일이라도 남북이 손을 잡고 통일을 했으면 해요" [서평] 법륜, 오연호의 기업, 공사 등의 조직에서 어떤 거대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나 신청사가 개교해 이전할 때, 흔히들 “새로운 100년” “다가올 100년”이라는 문장을 많이 사용한다. 주로 행복한 미래, 꿈과 행복한 미래를 기대하면서 내거는 기치들이다. 한편, 기억해야만 할 눈물의 과거와 고난의 역사를 기억하는 자리거나 기념일, 또는 힘들었던 지난 일을 뒤로 한 채 새 출발을 하는 행사에서는 일종의 전환적 의미로 사용된다. 지금까지의 100년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100년을 기대하면서.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내건 ‘새로운 100년’의 기치는 무엇일까. 우선 당면한 경제 문제. 잘 먹고 잘 살아야 무얼 하든 잘 할 수 있지 않겠는가. 단, ‘모두’가 잘 먹고 잘 살 수 있어야 하겠다. 다음으론 무..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