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래 작가의 쓴소리, 과연 합당한가?
“1990년대 이후 우리 소설이 왜소화했다. 첨단 정보통신기기의 등장도 한 원인이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작가들이 객관적인 3인칭 소설을 쓸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후배들이 보낸 소설을 10쪽 이상 읽기가 힘들다. 전부 ‘나’로 시작하는 1인칭 소설이기 때문이다. 이걸 해결하지 못하면 앞으로 소설 독자들은 계속 떨어져 나갈 것이다."
ⓒ해냄 제공
지난 7월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정글만리> 출판 기자간담회에서 조정래 작가가 후배 작가들에게 날린 일침이자 쓴소리였다. 요점은 "1인칭이 아닌 3인칭으로 소설을 써라"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7월 26일에는 YTN 라디오에 출현해 비슷한 논지의 말을 했다. "1인칭 시점으로된 소설에서는 주인공말고 다른 사람들이 모두 죽어버린다. 즉, 그 들러리가 되어버린다"는 논지였다. 3인칭으로야만 개개인이 모두 움직일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며 유명하다고 하는 세계 문학전집 작품들 100편, 한국 문학전집 100편 전부 3인칭 소설이라고 말했다.
황홀한 글감옥 ⓒ시사IN북
사실 조정래 작가의 "3인칭 소설론"은 4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9년 9월 말에 나온 자전에세이인 <황홀한 글감옥>(시사IN북)에 나오는 메시지인 것이다. 해당 도서 124쪽을 보면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1인칭으로 서술되다 보니 다른 인물들은 '나를 통해서만 움직일 수 있을 뿐입니다. 그러니 인물들의 자율성이 없어지고, 능동성이 억압되고, 개성이 빈약해지고, 전형성이 결여되어 하나같이 그림자 같은 인물이나 죽은 인물이 되고 맙니다. 그리 되면 남는 것은 소설의 실패입니다."
조정래 작가의 "3인칭 소설론"은 그의 대표작인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해냄)을 통해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세 작품 모두 철저한 전지적 3인칭 소설로, 작가가 작품 속 세계의 조물주가 되어 모든 이들의 마음 속을 들락거린다. 작품 속 세계의 모든 것을 알고 있기도 하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모든 인물들에게 확실한 캐릭터성이 부여되고 진짜 살아있는 것마냥 생동감있는 인물로 연출된다.
각각 수백만부씩 팔리며 대작가의 반열에 오른 조정래 작가의 말이니 누구도 부인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한 가지 헛점이 보인다. 세 작품 모두 호흡이 무지 긴 대하소설이자 장편소설이라는 점이다. 이 점을 간과한 듯 싶다. 대하장편소설의 프레임으로 후배 작가들의 중단편 소설을 바라본 것이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대하소설은 사장되다시피 했다. 세상은 엄청난 속도로 변화하는데 진득하니 긴 호흡의 소설을 읽을 만한 시간이나 능력도 없어졌다. 특히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보급으로 볼 게 너무 많아졌다. 자연스레 작가들도 이에 발맞춰 짧은 사소설류를 많이 쓰게 된 것이고.
더불어 너무나도 아픈 지금 이 시대를 어루만져 주기 위해서는 공감이 필요했다. 1980년대의 대적 공감이 아닌 지극히 사적인 공감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3인칭보다는 1인칭이 훨씬 효과적이었으리라. 작가들이 능력이 없어 3인칭을 못 썼겠는가? 그건 절대 아니라고 본다. 그렇다면 게을러서? 그것도 아니라고 본다. 그들도 시대를 따라가고 있는 것이다.
이건 잘잘못을 따질 개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한 조정래 작가의 말과는 달리 '무조건' 3인칭으로 써야할 하등의 이유가 없는 것이다. 후배 작가들에게 하는 당부정도만 그치던가 아니면 자신만의 지론을 피력하는 정도로만 그치던가 했어야 했는데, 이 둘을 합쳐서 자신의 지론을 설파하는 식으로 되어버린 점이 심히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그럼에도 나의 조정래 소설에 대한 사랑(?)은 변함 없을 것이다. 20대가 되자마자 밤새도록 <태백산맥>을 읽었고, 몇 년 전에는 <허수아비춤>(문학의문학)을, 그리고 최근에는 <정글만리>를 읽었다. 정말 재밌더라. 캐릭터를 살아있고, 현실과 맞물린 세계관은 충실하고. 그래도 후배 작가들에게 보내는 3인칭 소설론 쓴소리는 합당하지 못했다고 생각되는 바이다.
2013.09.05 08:13 신고
ㅎㅎ 작가들의 개성을 존중해주며 자신의 지론을 펼치는게 맞을듯 하네요...
2013.09.05 09:13 신고
물론 조정래 작가가 주장하는 것도 자신의 지론을 펼친다고 볼 수 있겠지만, 계몽주의적 발언을 하는 건 맞지 않다고 봐요~
2013.09.05 09:48 신고
1인칭시점이냐 3인칭시점이냐에 따라 조 작가님과 같은 발상이 이뤄질 수도 있군요. 흥미롭습니다
2013.09.05 10:03 신고
옳다 그르다의 판단 여부를 떠나,
흥미롭긴 하더라구요~
2013.09.05 11:45 신고
<태백산맥>, <아리랑>에 대한 감동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시대변화에 어디 소설만 그렇겠습니까?
스마트폰 중독현상이 젊은이들을 타락(?) 시켜 놓았습니다.
2013.09.05 13:04 신고
그로 인해 일어난 변화에 대해 일방적인 계몽적 시선이 아닌,
이해를 기반으로 한 대안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2013.09.05 16:52 신고
글 내용에 공감합니다. 비교대상이 잘못되었죠. 기준이 장편소설이아닌 읽기쉬운짧은소설이 되엇어야 햇는데요 ㅎㅎ
2013.09.05 17:00 신고
그래도 전 조정래 작가 작품을 좋아한답니다~
애정어린 비판이라고 봐주시면 될 듯!
하지만 조정래 작가의 쓴소리는 비판이 아닌 비난으로 보여졌죠.
2013.09.05 17:17 신고
덕분에 잘 보고 간답니다^^
행복하고 편안한 오후 되시길 바래요~
2013.09.05 18:26 신고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잘 마무리 하시길!
2013.09.05 17:26 신고
공감가는 글 너무 잘 읽어보고 갑니다.
2013.09.05 18:27 신고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더욱 공감가는 글 쓰겠습니다!
제 목표입니다.
2013.09.05 20:05
아, 이런 말씀을 하셨군요..1인칭, 3인칭 흥미로운데요^^...오늘 한겨레 신문에 조정래님 기사가 크게 났던데..젊은 작가들한테 역사의식을 가지고 공부하라고 하셨던데..칠순 넘으신 분에게 절로 존경심이 들었습니다..정글만리 쓰시면서 엄청 공부하셨다고 합니다..
공부는 커녕 정글만리 ....읽어야 할텐데..휴가때를 기다려 볼랍니다..
2013.09.06 09:45 신고
저도 조정래 선생님의 '3인칭론'을 제외하고는,
젊은 작가들에게 하는 충고는 합당하다고 생각해요.
또한 끝없이 공부하는 그 자세는 본받고 있구요!
2015.07.22 23:23
1인칭 소설에 대한 비판은 '3인칭 소설로만 표현될 수 있는 사회비판적, 역사비판적 소설이 오늘날 없다는 뜻'에서 한 말로 보입니다.
즉 1인칭 소설이 좋으냐 3인칭 소설이 좋으냐라는 단순한 문제를 제기한 것이 아니라,
젊은 작가들이 사회와 역사와 시대를 고민하는 소설, 따라서 3인칭 소설을 써야 한다는 작가의식을 제기한 것입니다.
따라서 시대가 이 모양이라 젊은 작가들이 1인칭 소설 쓰는 것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는 말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작가라면, 세계, 시대, 사회, 역사와 정면으로 대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작가 개인으로서야 자기 관심분야에 따라서 소설을 쓰면 되겠지만,
사회의 거의 모든 작가들이 사회의식과 역사의식을 놓치고 있다면,
그것은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2015.07.23 00:30 신고
3인칭 소설로만 표현될 수 있는 사회비판적, 역사비판적 소설이무슨 뜻인지 모르겠네요. 1인칭으로도 그런 소설을 쓸 수 있을 텐데요.
2015.07.23 21:23
1인칭으로도 다룰 수 있으나, 사회모순으로부터 느끼는 개인적 감정의 묘사에 집중하게 되죠.
"정관용: 살아 있는 사람들을 여럿 만들어 놔야 되는데. 그만큼의 상상력도 경험의 폭도 없다?"
"조정래: 네. 나라고 하는 걸 쓰면 자율성이 없어지고 활동력이 없어지고 개성 있는 인물이 없어지고 스토리텔링이 안 되죠, 단순화되어 버리죠. 그러니까 이야기가 전부 사적으로 흐르고 공감대가 구축이 안 되고 큰 사회문제 전혀 이야기할 수 없고. 이렇게 되어 버리니까 독자들의 기대치가 점점 떨어져서 독자와 결별하는. 그런 사태가 2000년 이후에 계속되고 있습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30719074507269&RIGHT_REPLY=R14
2015.07.26 16:16 신고
그렇다면 1인칭으로는 사회와 역사를 고민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오직 3인칭으로만 그런 소설을 쓸 수 있다고 어떻게 확신하시죠?
조정래 작가께서 하신 말씀을 그대로 가져 오지 말고 직접 말씀해주세요.
2016.07.13 16:27
지금 우리 사회의 문제가, 사소하지만 거대할 수 있는 이런 문제다. 쓴소리의 근원을 파악하지 못하는 단선적 시각으로 되려 쓴소리를 하는...90년대 이후 우리 사회의 흐름이 문학계에도 만연하여 작가라는 사람들조차 좁은 시야로 사물을 바라보는 작가답지 못한 경향을 중단해야한다고 고언한 것을...누구나 말하고, 누구나 댓글 다는 두서없는 세상에, 지키고 가꾸어 나가야할 소중한 가치도 파악하지 못하는 졸가리 없는 현실...문학계만 그런게 아닌 줄 안다. 오호통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