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된 리뷰

<플레전트빌> 불변의 완벽한 흑백 세계에서 변화를 외치다

반응형




[오래된 리뷰] <플레전트빌>



영화 <플레전트빌> 포스터 ⓒ뉴라인 시네마



영화 <플레전트빌>은 판타지 동화 같은 분위기와 설정으로 시작된다. 이혼한 편모 슬하에 있는 전혀 다른 성격의 남매 데이빗(토비 맥과이어 분)과 제니퍼(리즈 위더스푼 분). 오빠 데이빗은 '플레전트빌'이라는 프로그램에 푹 빠져 지내는 자칫 찌질해 보이는 학생이고, 제니퍼는 성적으로 굉장히 개방적이고 괄괄한 성격의 학생이다. 그들은 같은 시간에 다른 TV 프로그램을 보겠다고 싸우다가 리모컨을 고장 낸다. 


마침 근처를 지나가다가 들렀다는 수리 기사가 전해주는 마술 리모컨. 설마 하니 그 리모컨은 '플레전트빌' 프로그램 속으로 그들을 데려다 주었다. 암울한 현재와는 다른 1958년을 배경으로 하는 그 프로그램은 모든 것들이 완벽했다. 완벽한 가정은 물론이었다. 하지만 데이빗에게는 파라다이스, 제니퍼에게는 지옥과 같은 곳이었다. 


시궁창 같은 현실과는 다른 완벽한 세계


'현시창'이라는 인터넷 신조어가 있다. 풀어 쓰면 '현실은 시궁창'이란 뜻인데, 대한민국 청년의 현재를 표현하고 있다. 현실이 이러니 스스로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 요즘 들어 대대적으로 광고도 하는 등 모바일 게임의 인기가 치솟고 있는데, 이것도 일종의 현상일까. 시궁창 같은 현실과는 다른 완벽한 세계, 그리고 언제든 내가 최고가 될 수 있는 세계. 그곳으로 가고 싶다. 


현실과 가상현실의 경계 파괴에서 오는 문제는 비단 IT의 고속 성장 때문 만은 아닐 것이다. 영화에서도 나오지만, 미래는 현재보다 더더욱 암울할 것이라 한다. 경제는 추락하고, 환경은 안 좋아지며, 어떻게 하든 죽을 확률은 계속해서 높아질 것이다. 도망치고 싶은데 어디로 도망칠 수 있을까? 무엇이든 가능할 것 같은 가상현실? 아니면 암울한 현실이나 미래가 아닌 과거? '플레전트빌'은 이 두 개를 충족시킨다. 



영화 <플레전트빌>의 한 장면 ⓒ뉴라인 시네마



데이빗과 제니퍼가 가게 된 가상현실 공간 '플레전트빌'의 시간적 배경은 40년 전 과거인 1958년이다. 미국에게 있어 1950년대는 평화와 번영, 그리고 보수의 시대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자 유럽과는 달리 직접적인 피해가 전무했던 미국은, 50년대에 유례 없는 완벽한 시기를 보낸다. 그런 시대에 뚝 떨어진 데이빗과 제니퍼였던 것이다. 


흑백 세계에 나타난 '색깔'


데이빗은 이 세계를 잘 알고 있다. 완벽한 세계. 모든 것이 가능한 세계. 흑백 세계. 변화가 전무한 세계. 그래서 그는 이 세계의 변화를 원치 않는다. 이상한 것들 투성이지만 이해하려 한다. 반면 제니퍼는 도저히 참을 수 없다. 그녀는 먼저 남자들에게 섹스의 욕망을 뿌린다. 그것 하나로도 이 세계는 바뀌기 시작한다. 흑백 세계에 '색깔'이 나타난 것이다. 변화는 겉잡을 수 없다. 



영화 <플레전트빌>의 한 장면 ⓒ뉴라인 시네마



"평소처럼 퇴근해서 현관으로 들어가서 외투를 벗고 가방을 내려놓고는 '여보, 나왔어' 라고 외쳤는데 아무도 없었어요. 아내도 없고 불은 꺼져 있었고 저녁도 안 차려 놨더군. 오븐을 열어 봤는데 아무것도 없더군요. 그녀는 사라졌어요. 사방으로 찾았는데 어디에도 없었어요."


영화는 1950년대 나타났던 저항과 반문화를 답습한다.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 영화 <이유 없는 반항> 등으로 대표 되는 이 문화는 당시 한편에서는 전에 없던 열렬한 환호를 받고 한편에서는 최악의 반대에 부딪힌다. 영화에서는 데이빗과 제니퍼가 그 역할을 한다. 데이빗은 내면에 잠재된 진짜 모습을 끄집어 내려 하고, 제니퍼는 잠자고 있던 욕망을 깨우려 한다. 


그렇지만 당시 미국에서는 '메카시즘'으로 대표 되는 좌파 색출 마녀사냥이 시작되었다. 순응하지 않는 모든 이들에게 공산주의자 딱지를 붙여 철저히 색출하는 것이다. 그야말로 생존 아니면 죽음의 시대가 도래한다. 변화는 죽음을, 순응과 불변은 생존을 뜻했다. 선택이 필요했다. 


변화 그리고 선택


영화에서는 변화한 이들은 흑백이었던 몸에 색이 생기고, 불변을 선택한 이들은 여전히 흑백으로 남아 있게 된다. 처음에 그들은 서로를 배척하지 않고 한때 어울린다. 다를 뿐이지 틀린 건 아니니까. 하지만 위정자들은 변화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어디까지 변할지 알 수 없는 그들을 보고 '가만 두면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 결과 '유색 인종'들은 폭력을 당하고, 모든 색깔 있는 것들은 파괴 당하며, 사람들의 생각을 변화 시킬 수 있는 책이 보관된 도서관은 폐쇄된다. 유채색 그림은 금지 당하며, 유쾌한 노래만 허락된다. 


"진짜 비가 내리고 있어요. 저절로 치유되는 병균이 아니오. 마을이 변했소. 그 이유는 모두 알겠죠? 결정을 내립시다. 우리가 뭉쳐야만 이 난국을 풀 수 있습니다."


영화는 이렇게 현실 도피에서 변화의 단계를 넘어 선택의 단계에 다다른다. 변화라는 개념조차 갖춰지지 않은 이들에게 '변화'를 심어줬을 때 비로소 그들은 선택을 할 수 있다. 변화냐 불변이냐. 그 대표적인 장면이 데이빗과 제니퍼의 변화, 그리고 선택이다. 



영화 <플레전트빌>의 한 장면 ⓒ뉴라인 시네마



데이빗은 처음엔 '플레전트빌' 세계에 순응하고 세계의 불변을 외치지만 결국엔 변화를 선택하고 그것이 자신의 진짜 모습임을 알게 된다. 반면 제니퍼는 처음엔 앞장서서 '플레전트빌' 세계의 변화를 외치고 그런 모습이 진짜 자신이라고 생각했지만 알고 보니 남자에게 관심 없고 오히려 공부에 적성과 소질이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렇게 그들은 자신의 진짜 모습을 발견한다. 


보수까지 포용할 수 있어야 진보다


그런데 여기에서 조금 헷갈리는 건 제니퍼의 변화이다. 변화를 추구하는 게 진보라 한다면, 초반의 제니퍼는 진보의 선봉과 같았다. 그러던 제니퍼가 진짜 자신의 모습인 보수적이고 순응하는 여인으로 '변화'한다. 진보가 보수로 '변화'했으니 이 또한 진보인 것인지? 진보의 입장에서 봤을 때, 진보가 보수로 '역행'했으니 이는 보수인 것인지? 


영화는 변화 자체를 진보라고 보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그 변화를 진짜 자신의 모습을 찾는 것으로 치환하고 있다. 진보라고 한다면 그 모든 것들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세상에는 더 좋은 게 많습니다. 어리석고, 섹시하고, 위험하고, 간단한 것들이죠. 이러한 모든 것들은 여러분 모두에게 잠재해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