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도서

<기업가의 방문> 자본의 논리가 모든 것을 지배하는 그곳에서

반응형




[서평] <기업가의 방문>


<기업가의 방문> ⓒ후마니타스

이야기는 '상식으로부터 독립된 공간'이자, '자본의 논리가 모든 것을 지배하는 곳'에서 시작된다. 학비도 생활비도 도저히 감당할 수가 없어 돈을 벌기 위해 나선 것이다. 그곳은 왠만한 사람이면 뼈도 못추린다는 '어업 현장'. 중앙대학교 03학번 노영수는 제대한 지 1년째 되는 날에 부산으로 내려가 그렇게 선상 생활을 시작한다. 그때가 2008년 1월이란다. 


그가 떠있던 바다는 현실이었다. 운치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이 단지 까만 어둠만이 있을 뿐이다. 그가 탄 어선은 조업 활동에는 최적화된 구조였지만 선원들의 안전이나 편의에는 전혀 맞지 않았다. 어선 몇 개월만 타면 떼돈을 벌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의 말을 들어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관 한 짝만 한 공간에서 시체처럼 잠들어 몇 시간 눈도 못 붙이고 나와 퇴근 시간 없이 일을 해도 최저 시급조차 벌어 들이지 못한다. 우여곡절 끝에 그가 2학기 복학을 위해 1학기 동안 번 돈은 2학기 등록금에 미치지 못했다. 


그의 책 <기업가의 방문>(후마니타스)의 1/5을 차지하는 선상 체험은 이리도 허무하게 끝난다. 중앙대를 인수한 두산 재단의 부당함에 투쟁하는 미련한 젊은이 노영수의 기록이 주를 이루는 이 책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이 선상 체험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그에 따르면, '부채 인간'으로 호명되는 350만 대학생의 일상도 이와 같을 것이고 더 많은 어획고를 위해 무슨 일이든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최고의 미덕이기 때문에 상식 밖의 일들이 비일비재한 선상에서의 체험이 이후의 투쟁과 맞물리는 면이 있다는 것이다. 이후의 투쟁보다 이 체험이야말로 이 책의 출간의 직접적 계기인 것이다. 그는 대항해를 끝마치고 학교로 돌아왔지만, 이후 진정한(?) 대항해가 시작된다. 


2008년 5월 두산 재단(이하 "두산")이 전격적으로 중앙대학교(이하 "중앙대")를 인수한다. 한국에서 손꼽히는 대기업 중 하나인 두산의 진출은 날이 갈수록 위상이 격하 되고 있는 중앙대에게 있어서 절호의 기회였다. 재학생들 뿐만 아니라 저자 노영수까지 기대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경계심도 역력했다. 즉, 학교 발전에 대한 기대와 대학의 기업화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던 시기였다. 


사실 필자는 저자 노영수와 같은 학번이자 같은 군번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가 기억하는 2003년 새내기 때의 풋풋함을 공유할 수 있다. 물론 당시에도 현실은 각박하기만 했다. IMF의 악마적 손길에서 겨우 벗어나 다시 시작하고 있던 때였다. 그러했기에 더 열심히도 했지만, 조금이나마 낭만이라는 게 있었던 것 같다. 지금처럼 학교에 건물이 그리 많지 않았었고 편의 시설도 부족했지만 넘치고 넘치던 그때였다. 교수들의 눈빛에서 '직원'이 아닌 '선생님'을 읽을 수 있었고, 학생들의 눈빛에서 '취업'이 아닌 '배움'의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저자의 옛 이야기는 아련하게 추억을 불러 일으키지만, 다가올 폭풍을 예견하는 듯한 싸함이 묻어 난다. 그는 두산이 들어오기 전부터 학교 당국, 재단의 문제점을 제시하곤 했던 것이다. 그리고 어김없이 찾아온 기업가, 얼마 되지 않아 두산의 비즈니스적 마인드가 본격적으로 발휘된다. 


곧바로 시작된 것이 "역사상 가장 강도 높은 구조 조정"이다. 숨 돌릴 틈도 없이, 총장직 임명제, 계열별 부총장제, 등급별 교수 평가, 차등 연봉제, D학점 5% 의무 부과제, 학과 통폐합, 교양과목 축소, 회계학 필수 과목 재정, 재단에 위협적인 진중권 교수 해임, 재단과 총장 비판 목소리 억압 및 탄압, 새터 및 농활 폐지, 선거권 침해... 이는 단순히 비즈니스적 마인드에 기반한 것이라고 보기가 힘든 부분이다. 저자에 따르면, 학내 '민주주의'가 파괴된 것이다. 그야말로 식민지 아닌 식민지. 


"학문은 상품이 되었고, 학생은 그 상품의 소비자가 되었으며, 교수는 그 학문의 생산자가 되었다. 그리고 모두가 시장 원리에 따라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채찍을 맞아야 했다. 대학은 더 이상 성찰적 시민을 양산하는 공간도, 시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공간도 아니었다. 대안은커녕, 시장이 원하는 부품을 찍어 내기에 바쁜 공장, 직업 양성소가 되어 버렸다... 대학 역시 정글이 되어 버렸다" (본문 중에서)


이에 저자를 중심으로 투쟁의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간 친구들의 기록은 가히 엄청나다. 그가 처음 움직이기 시작한 때는 진중권 교수의 재임용 불발 때였다. 재단의 지극히 섬세한 관심과 간섭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저자는 이를 그냥 지나치지 못했고, 그에 말에 따르면 그 이후 그의 삶은 뒤엉키기 시작했다. 펜을 쥐어야 할 손에 매직과 붓을 들고 대자보와 플래카드를 써 내려간 것이다. 


그는 공부는 언제 했냐 싶게 반발을 하고 시위를 하고 점거 농성을 했다. 급기야 두산 건설 공사 현장의 타워크레인에 올라 다분히 퍼포먼스적인 시위도 벌인다. 이는 물론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면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끌었지만, 그에게 돌아 간 것은 2500만원에 육박하는 손해배상 청구와 퇴학 처분 통보였다. 이후 그는 퇴학 처분 무효화를 위한 시위에 들어가, 두산 주최의 국토 대장정에 대비하는 '삼보 일배' 원정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이 또한 타워크레인 시위와 마찬가지로 많은 이들의 관심과 응원, 그리고 후원이 따라왔지만, 그보다 더한 징계가 뒤따랐다. 


결국 법원의 판결로 인해 퇴학 징계가 취소되었지만, 재단 측의 초법적인 발상으로 또 다른 징계가 내려진다. 징계위원회가 이야기한 바는 무시무시하다. "퇴학생이 소송에서 이겨 복학하게 되더라도 다시 무기 정학을 내릴 것이고 또다시 소송을 벌여 학교로 돌아와도 최장 기간의 유기 정학을 내릴 것이다." 이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 시간의 감옥과 같았다. 


저자는 지난한 11년 간의 대학 생활에 마침표를 찍으며 올해 2014년에 졸업을 했다고 한다. 그는 정말 지루하고 지독하게 열심히 싸웠다. 하지만 역시 역부족이었고 세상은 바뀌지 않았다. 두산에 의한 중앙대의 기업화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여기서 문제는 중앙대만이 자본의 영역으로 넘어간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다른 수많은 대학도 마찬가지라는 사실. 그리고 시각을 더 넓혀 보면, 대학의 기업화는 이 사회 전체의 기업화에서 아주 작은 부분만을 차지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무서운 사실이 보일 것이다. 


이 책은 대다수 대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 또한 대다수 기업인, 회사원들에게도 환영 받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고 저자의 생각과 활동을 통해 대리 만족을 느끼지도 못할 것이다. 그에게 내려진 처분이 너무나 처참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점이 이 책으로 필자를 이끌었을까? 그건 아마도 모든 것을 차치하고라도 보여질 수밖에 없는 투쟁의 숭고함, 신념의 흔들림 없는 발로에 대한 존경심, 불도저 같이 밀어 붙이는 추진력에 대한 감탄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가 친구들과 함께 진한 필체로 써 내려간, 대학 생활의 추억 때문일 것이다. 그는 후회 없는 청춘을 보냈을 것이 분명하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위기의 순간순간을 극복하고 담담히 두산과 맞설 수 있었던 것은 그들(친구, 선생님)과 함께했던 보석처럼 빛나는 추억이 있었기 때문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