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중국 기업이 희망을 쏘아올린 미국 공장에 드리운 암운? <아메리칸 팩토리>

반응형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아메리칸 팩토리>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아메리칸 팩토리> 포스터. ⓒ넷플릭스



2008년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로 미국 최대 금융그룹 중 하나였던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했고 메릴린치는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매각되었다. 미국 최대 금융보험회사 중 하나였던 AIG와 미국 최대급 상업은행인 씨티은행은 구제금융을 받아 파산에서 구제되었다. 이는 빙산의 일각으로, 미국이라는 전 세계 최강국을 망하게 할 수도 있을 정도의 피해를 보았다. 


미국 자동차 업계도 큰 피해를 입었는데, 미국 3대 자동차 회사 중 포드를 제외한 크라이슬러, 제너럴 모터스(GM)는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포드는 자력으로 위기를 극복했고, 크라이슬러는 자동차산업노총이 지분의 절반 이상을 보유했다가 피아트의 자회사로 편입되었으며, GM은 파산해서 미국 소유의 공기업이 되어 새 GM으로 거듭났다가 2013년 말 구제금융체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GM이 파산이라는 쓴맛을 당한 데에는 자동차 말고 금융에도 크게 손을 댄 이유가 있었는데, 2008년 당시 많은 GM 공장이 폐쇄되고 수많은 GM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미국 중북부 오하이오주 남서부의 도시 데이턴에도 GM 공장이 있었는데, 문을 닫자 1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이후 미국 내 모든 자동차업계가 악화일로였던 바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을 갈 곳도 없고 설 곳도 없게 되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아메리칸 팩토리>는 2015년 데이턴 GM 공장을 인수한 중국의 푸야오유리공업그룹(이상 '푸야오')과 미국과 중국의 노동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2010년 이후 미국의 지자체들은 해외투자를 적극 유치했는데 이에 발맞춰 중국의 거대 기업들이 투자를 늘려 문 닫은 제조 공장들을 다시 열기 시작했던 것이다. 중국의 푸야오와 미국의 GM이 만난 건 그 일환이었다. 


미국 공장의 중국 기업


2015년 중국 제1의 자동차 유리 회사 푸야오는 GM 공장에서 일자리를 잃은 2000명이 넘는 노동자들을 취업시킨다. 그런가 하면 중국에서도 파견직 형식으로 노동자들을 들인다. 그들이 함께 해야 할 일은 중국 문화와 미국 문화를 조화롭게 융합시키는 것이었다. 열심히 일해서 회사에 돈을 벌어다주고 본인들 또한 돈을 버는 것보다 우선적으로 행해져야 할 일이었다. 


처음엔 순조롭게 진행된다. 수많은 미국 노동자들에게 푸야오라는 중국 기업은 '희망'이라는 단어로 귀결되었던 것이다. 일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돈을 벌 수 있게 되었고 잃었던 중산층 진입에의 꿈을 다시 꿀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머지 않아 삐그덕거리기 시작한다. 푸야오 즉, 중국에서 보기에 미국 노동자들은 능률이 떨어지고 GM 노동자들 즉, 미국에서 보기에 중국 기업은 개념이 없다. 달리 말해 미국은 노동자 우선이고 중국은 사용자 우선인 것이다. 문화 차이라는 만날 수 없는 간극.


곧 문화 차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을 넘어 '노조'라는 물러설 수 없는 현실적 개념 차이가 도마 위에 오른다. 푸야오와 중국에게 노조란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되는 단체이다.(중국에도 노조에 해당되는 '중화전국총공회'가 있다. 하지만 중국 유일무이한 노조로 중국 공산당의 지도를 받는 국가조직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독립적이지 못하다. 본연의 노동자 권익보호의 역할과 사용자들이 통제하는 정치적 동원조직의 이중 역할을 유지하고 있다. 즉, 이 리뷰에서 말하는 '노조'와는 성격과 결이 다른 것이다.) 노동자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회사를 위해 헌신해야 회사도 잘 되고 본인도 잘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미국 노동자와 미국에게 노조란 필수적이고 당연한 단체이다. 노동자 없이는 굴러갈 수 없는 회사인 만큼 경영에 있어 노동자가 최우선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실로 오랜만에 희망을 쏘아올린 이곳에 다시 암운이 드리우는가. 이 간극을 어떻게 메워야 하는가. 


문화 차이와 상호 이해


<아메리칸 팩토리>는 오바마 부부가 설립한 제작사 하이어 그라운드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로, 공개 전 이미 유명세를 치렀다. 그에 그치지 않고 올해 치러진 제35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다큐멘터리 부문 감독상을 수상하며, 기대감을 한껏 끌어 올렸다. 이제 즐기기만 하면 되는데, 이 다큐멘터리 특성상 마냥 즐기기만 하는 건 불가능할 테고 오히려 골머리 싸매고 들여다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작품 중 어느 중국인 노동자의 말마따라 '상호 이해'가 중요하다 싶은데, 문화 차이의 간극은 가능하리라 본다. 점차 전 세계를 양분하다시피 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중국과 미국은 사실 정반대의 길을 걷고 있다. 미국은 침체일로이고, 중국은 성장일로인 것이다. 문화 차이도 있지만, 자연스레 당연히 경영 방식도 노동 방식도 다르다. 미국이 아주 오래전 이미 행했던 걸 중국은 이제야 하고 있는 게 아닌가 말이다. 


서로 이해할 수 없기에, 이해가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노동자)과 중국(노동자)이 서로의 장점을 체득한다든지 하는 것 말이다. 단순하지만 가장 적확할 방법일지 모른다. 여하튼 중국 기업 입장에서는 미국이라는 세계 최강국에 깃발을 꼳았고 미국 노동자 입장에서는 일자리를 얻은 게 아닌가. 시작이 윈윈이라면, 결과는 어떻든 과정을 윈윈으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래야만 한다. 


노조, 사용자와 노동자


문제는 '노조'로 대변되는 자본주의 하 노동 개념의 차이라고 작품은 말한다. 이 문제가 나오기 전까지는 비교적 느슨하게 진행되던 작품은, 상당히 과격해진다. 노조를 주장하면서 매출은 급전직하 되자 회장은 미국인 사장단을 중국인으로 전격 교체한다. 노조방지교육도 철저히 시키고, 무엇보다도 소수일 수밖에 없는 중국인 노동자들을 모아 놓고는 중국을 위해 미국 노동자들을 '교화'해야 한다고 교육하는 것이었다. 


결국, 회장 발 노조 반대의 목소리는 중국인 노동자 모두를 위시하게 되고 그 시선은 대다수를 차지하는 미국 노동자들을 향한다. 끝에는 정확하게 노조를 찬성하는 미국 노동자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에게 있어 노조는 수십 년 전에 쟁취한 필수 이전에 당연한 개념이다. 무엇보다 여긴 중국이 아닌 미국이다. 중국 기업이기에 중국 문화를 따를 수 있지만, 미국이기에 미국 법을 따라야 하지 않겠는가. 


미국 공장에 있는 중국 기업이라는 점 때문에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다는 결정을 하긴 힘들다. 다만, 작품이 내보이고 함께 고찰하고자 하는 게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다. 미국이 틀렸다는 걸 이미 10여 년 전에 전 세계 만방에 보였는데 미국 노동자들의 주장이 과연 올바른 것일까? 아니, 도움이 되는 것일까? 중국이 세계 만방에 경제력을 과시하고 있는 와중에 중국 기업의 주장이 과연 틀린 것일까? 아니,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일까? 그렇다면, 미국 노동자와 중국 사용자의 주장에서 파생되는 '도움'이란 누구를 위한 것일까? 


미국 노동자의 주장이 노동자'만'을 위한 것이고 중국 사용자의 주장이 사용자'만'을 위한 것이라고 할 때 그 합의점은 없는가? 노동자와 사용자 집단의 어느 한 쪽에 결정적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지 않고 원활한 합의를 이끌 구성체를 만들 수 없는가? 문화 차이는 상호 이해할 수 있고, 노동 개념 차이는 상호 이해할 수 없는가? 심각하게 고찰해볼 일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