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절대, 절대 눈가리개를 벗지마, 알아들었니?" <버드 박스>

반응형



[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버드 박스>


영화 <버드 박스> 포스터. ⓒ넷플릭스



"절대, 절대 눈가리개를 벗지마, 알아들었니?" 멀레리(산드라 블록 분)는 두 어린 딸과 아들에게 주지시킨 후 먼 여행을 떠난다. 눈가리개를 하곤 바깥으로 나와 숨겨놓은 보트를 꺼내 강을 항해한다. 그들이 향하는 곳은 눈을 떠도 자살하지 않는 안전하다는 곳이다. 


5년 전, 전 세계에 재앙이 닥친다. 미지의 '악령'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살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알 수 없는 재앙 앞에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창문을 모두 가린 채 집안에만 있는 것 또는 눈가리개로 눈을 가린 채 집밖을 나오는 것.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한 채 종말로 치닫는 세계, 5년이 지났음에도 변함없이 그대로인 세계. 눈을 가리면 '안전'한 세계인데 눈을 뜨고도 '안전'하다는 그곳은 과연 어떤 곳인가, 그곳에 있는 눈 뜬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한편, 멀레리가 '악령'의 소재 파악을 위해 항상 동행하는 세 마리의 '새'는, 그리고 새를 담아두는 '상자'는, 이 영화의 또 다른 주연이자 주역이다. 주제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도 있겠다. 아포칼립스와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배경으로 하면서도, 지금 이순간의 현실을 드러내는 역할을 하는 게 새와 상자이다. 


산드라 블록의 영화


영화 <버드 박스>는 보는 이마다 확실하게 호불호가 갈릴 게 분명한, 그래서 차라리 영화를 보기 전에 얇게나마 해석을 엿보는 게 좋을 그런 영화이다. 이 또한 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수작이라면 수작이랄 수 있겠다. 긴장감 어린 설정과 예측할 수 있는 결말보다 과정에서의 메시지와 그에 대응하는 현실을 들여다보려는 데 집중해보자. 


<문라이트> 이후 주연급으로 발돋움한 트래반트 로즈와 이제는 그 이름 자체로 하나의 상징이 되어버린 존 말코비치가 함께 열연하거니와, 아카데미와 골든 글로브를 석권한 <인 어 베럴 월드> 등으로 유명한 덴마크 출신 감독 수잔 비에르의 최신작이지만, 뭐니뭐니 해도 이 영화는 산드라 블록의 영화이다. 


1990년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할리우드 스타 중 하나인 산드라 블록은, 2000년대 들어 진정한 전성기를 맞이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크래쉬> <블라인드 사이드> <그래비티>라는 인생 영화를 만났고 한다 하는 여배우 8명을 모아놓은 <오션스 8>에서는 메인 센터에 서기도 했다. 


와중 <로마> <모글리> 등과 더불어 넷플릭스의 2018년 12월 최신작 <버드 박스>는 설정과 배경에서 <눈 먼 자들의 도시> <콰이어트 플레이스> <해프닝> 등을 생각나게 하는 동시에 <그래비티> <칠드런 오브 맨>과의 접점도 있어 보인다. 


그 덕분일까. 지난해 12월 28일 넷플릭스가 트위터를 통해 <버드 박스> 1주일 성적표를 발표했는데, 자그마치 4500만 명이 시청했다고 한다. 크레딧까지 포함 전체 70% 이상 관람한 수이자, 여러 사람이 함께 봤을 경우도 한 사람으로 체크한다고 한다. 아주 단순무식한 비교이지만, 북미 평균 극장 티켓가를 약 9달러로 상정했을 때 4500만 명이 관람한다면 약 4억 달러를 벌어들인 것이다. 


넷플릭스 사상 최고의 흥행을 기록한 영화 <버드 박스>, 설정의 힘일까 산드라 블록의 힘일까. 영화 <버드 박스>의 한 장면. ⓒ넷플릭스



앞을 볼 수 없는 공포, 앞을 보아선 안 되는 공포


앞을 볼 수 없는 건 상상을 초월하는 공포를 선사한다. 더욱이 어쩔 수 없음을 기반으로 하여 공포의 대상이 밖으로 수렴함에도 불구하고, 볼 수 있기에 보고 싶다는 내적 요소도 함께 하여 더욱 힘들게 한다. 앞을 보아선 안 되는 건 공포 이상의 자극을 불러오는 것이다.


<버드 박스>는 볼 수 있지만 보면 안 되는 점을 내세워, 단순히 앞이 보이지 않는 것에서만 오는 공포만을 직시하지 않고 볼 수 있다는 내적 갈등도 함께 내보인다. 영화는 공포보다 바로 이 내적 갈등에 초점을 맞춘 듯하다. SF형 공포와 서스펜스를 동반한 스릴러가 만난 것이다.


그래서 '보면 안 돼'라는 별 것 아닌 듯 보이는 문구에서 오는 작용과 반작용이 심오하게 작용할 수 있다. 모든 이가 죽어가는 이 '보는 세상'의 종말 앞에서, 아름다운 것들을 보면서 죽는 사람이야말로 진정 사는 게 아닌가 하는 점이다. 죽음에의 광신도들이 출몰하여 그 한순간의 아름다움이야말로 진정한 삶이라고 주장하는 게 당연 와닿지 않지만 일면 이해가 된다.


여기에 멀레리가 아이들에게 절대로 하면 안 되는 것들만 일별하고, 반드시 조만간 죽을 종말의 시기이기에 미래나 희망 없이 아이들에게 이름조차 붙여주지 않는 상황에서, 보지 못하는 '삶'이라는 것이 무엇이고 무슨 의미를 갖는지 모르는 것이다. 


완전하지 않은 스릴러, 그럼에도 존재하는 미덕


생각보다 재미있지는 않지만, 특유의 분위기가 꽤 오랫동안 머문다. 영화 <버드 박스>의 한 장면. ⓒ넷플릭스



새와 새 상자는 그들이 악령을 감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멀레리와 아이들, 그리고 그들이 살아가는 세상과 정확하게 병치된다. 제목인 것에서만 봐도 알 수 있듯 영화의 내외적으로 아주 중요한 존재인 것이다. 


새는 새 상자가 아닌 새장에서 키우고 이동한다고 해도 새장으로 한다. 하지만 영화에서 새들도 인간처럼 빛 한 점 들어오지 않는 칠흙 같은 어둠 속 상자에 있다. 보는 것 자체는 가능하지만 보면 안 되는 세상 속 기약없는 위험한 여행을 떠나는 세 명의 인간과 똑같다. 


전반적으로 치밀하지 못하고 루즈한 감이 없지 않아 있는 스릴러이다. 흥미 돋는 설정과 배경으로 초중반의 긴장감이 후반부의 감동 어린 여정으로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건, 5년 전 사건이 처음 시작되는 시점과 현재의 기약없고 위험한 세 명의 여정 사이의 연결에 있다고 할 텐데 이 또한 완전하다고 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몇몇 점들에서 확고한 미덕이 존재한다. 산드라 블록과 아이들의 연기는 영화에 활기를 불러넣고 종말에 닥쳤음에도 미소를 불러일으킨다. 공포의 종류가 외적 공포와 내적 갈등을 수반하고 새와 새 상자로 대변되는 상징과 병치의 것들은 대체로 자연스러워, 영화가 전하려는 메시지가 여타 종말 스릴러 장르 영화에 비해 색다르고 명확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