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된 리뷰

송강호만 표현해낼 수 있는 특별하지만 평범한 조폭의 삶 <우아한 세계>

반응형



[오래된 리뷰] <우아한 세계>


조폭의 발견, 느와르의 발견. 만드는 작품마다 비평과 흥행 양면에서 고루 성적을 내는 한재림 감독의 <우아한 세계>. ⓒ롯데엔터테인먼트



2000년대 두 편, 2010년대 두 편만을 세상에 내놓았을 뿐이지만 흥행과 비평 어느 한 면에서 두루 두각을 내고 있는 한재림 감독. 공교롭게도 <연애의 목적> <우아한 세계>, <관상> <더 킹>으로 비슷한 느낌, 지향하는 바가 같은 두 편을 두 번 선보였다. 모르긴 몰라도 2020년대 가서야 또 다른 느낌과 성향의 차기작을 내놓지 않을까 싶다. 


그의 데뷔작 <연애의 목적>은 충분히 충격적이고 센세이션 했다. 연애란 게 이런 거였나 또는 연애에 이런 모습도 있었나. 2000년대 들어와 연애를 새롭게 발견한 느낌일까. 그야말로 '연애'의 발견이다. 이어 내놓은 <우아한 세계>도 같은 연장선상에 있다.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의 조폭이란 게 이런 건가. 


조폭의 발견이라고 해야 할까. 느와르의 발견이라고 해야 할까. 그저 평범한 가장의 발견이라고 해야 할까. 각본까지 함께한 한재림 감독의 발견인 건 확실하고, 이 영화의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있는 송강호의 발견이기도 할 것이다. 그렇다면, 영화에서 도무지 목격할 수 없는 '우아한 세계'의 발견은 언제쯤 이뤄질까?


평범한 우리네와 다를 바 없는 특별한 조폭의 삶


'특별한' 조폭이 어찌 '평범한' 일반인과 같을 수 있을까? 영화는 그 본질이 하등 다를 바 없다고 말한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서울 강남에서 활동하는 들깨파 중간보스 강인구(송강호 분), 20년 짬밥에도 불구하고 불철주야 졸음운전까지 해가며 열일 중이다. 그가 하는 일이야, 여기저기 중요 거점들 관리하고 등쳐먹을 인간들한테서 어떻게든 계약서 지장 찍는 일 정도. 집에서는 여느 가장들처럼 아내와 자식들에게 등돌림을 당하지만, 그래도 그에게는 좋은 곳에 위치한 전원주택에서 가족들과 함께 살고 싶은 소망 하나뿐이다. 


그야말로 현실은 시궁창이지만, 미래의 우아한 세계를 꿈꾸고 있는 이 나라의 흔하고 평범한 가장이란 말이다. 하지만 그는 특별하다. 특별히 조폭 세계에 몸을 담고 있다. 평범함과는 굉장히 동떨어진 세계에서의 직업이다. 그러니 그에게 그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특별할 게 없다. 길을 걷다가 칼 맞고 쓰러져 그대로 죽어도 말이다. 


그가 하는 일이란 게, 먹고 살고자 하는 목적이지만 누군가에게 물적, 심적으로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 물론 그 가장 큰 대상은 경쟁하는 조직일 것이다. 그런데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 가장 큰 적이 내부에 있는 경우도 많다. 우리 강인구 씨가 내부경쟁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고 말이다. 


조직폭력배 조직 중간보스 강인구가 사는 세계가 '특별'하다고 했다. 과연 그럴까? 평범하다는 우리네 생활, 사회생활과 그의 생활에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찾기 힘들다. 다분히 조폭의 발견인 동시에, 그에 심히 접점이 있는 일반인의 발견이기도 하다. 특별한 줄 알았던 조폭이 알고보니 우리네와 다를 바 없는 삶을 산다는 것보다, 우리네가 조폭과 다를 바 없는 삶을 산다는 게 충격적이지 않는가. 


조폭도 피해갈 수 없는 먹고사니즘, 오직 송강호


어느 누구도, 아니 왠만한 사람이라면 평범하든 특별하든 피해갈 수 없다. '먹고사니즘' ⓒ롯데엔터테인먼트



조폭이라고 '먹고사니즘'을 피해갈 순 없다. 조폭 중간보스에, 벤츠 S클래스를 끌고 다녀도, 오래된 전세 아파트를 떠나 가족들과 함께 좋은 환경의 전원주택에서 사는 꿈을 이루기 위해선 모든 걸 버리고 '먹고사니즘'을 최우선에 둘 수밖에 없다. 적어도 이 부분에 있어 조폭이고 뭐고 다 평등해진다. 


조폭은 더 이상 누군가에게는 선망의 대상, 누군가에게는 무서움의 대상, 누군가에게는 그저 영화에게나 등장할 법한 멀리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이다. 영화에서 조폭은 그런 추상적인 객체, 우아한 세계의 존재, 아름다운 일의 대상이 아니라 직접적인 주체, 억척스러운 세계의 존재, 추하기 짝이 없는 일의 대상이다. 


송강호가 맡았기 때문에 하는 말이 아니라, 송강호밖에 맡을 배우가 없지 않나 싶다. <넘버3>에서 소규모 조폭의 두목을, <반칙왕>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소시민을, <효자동 이발사>에서 소박한 아버지를, <괴물>에서 사투를 벌이는 가족의 한 일원을 맡아 완벽히 소화해낸 송강호의 다층적인 면모를 <우아한 세계>에서 발휘한 것이다. 


강인구는 일을 잘 해냈다. 항상 우여곡절이 있지만 회장님에게 유일하게 믿을 만한 부하가 강인구뿐이다. 하지만 그러하기에 내부에 적이 있다. 이순신 장군이 수많은 공적에도 불구하고 내부의 적 때문에 심히 괴로워했던 것처럼 말이다. 거기에서 오는 감정의 흔들림, 생존이 걸린 소시민적 흔들림을 표현해낼 수 있는 배우도 송강호뿐이다. 


이제는 일에게 굽신거려야 하는 인간


이제는 '일'에게 인간이 굽신굽신 거려야 한다. 그 시작은 2008년 세계 금융 대위기가 아니었을까. 2006~7년에 만들어진 이 영화는 그걸 예언한 것일까. ⓒ롯데엔터테인먼트



1시간 50분짜리 영화는 1시간 30분쯤에서 사실 일단락을 맺는다. 하지만, '일'이라는 게 뭔지, 평생 그 일밖에 해보지 않았으니 먹고사니즘의 문제를 떠나 다른 무슨 일을 할 수 있을지, 마지막 20분은 그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그 일이 나쁜 쪽으로 특별한 일이지만 막대한 부를 주고, 그래서 가족들을 훌륭히 부양하게 해주지만 정작 가족들은 싫어하고, 가장은 외로울 뿐이다. 


그럼에도 자신이 선택한 일이고, 자신이 선택한 가족의 화목이고, 자신이 선택한 결과에 따른 외로움이기에,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이 책임져야 한다. 이제 특별함과 평범함, 우아함과 억척스러움, 아름다움과 추함의 경계는 무의미하며 구분도 필요없다. 모든 사람들은 일의 주체가 아닌 일의 노예가 될 수밖에 없는 운명인 것이다. 


영화는 그런 면에서 2006~7년 만들어진 당시 일종의 예언을 했거나 또는 시대의 흐름을 예리하게 포착해냈다고 할 수 있다. 곧 찾아올 세계적인 경제 위기, 그 후에 지속될 일에의 노예화와 먹고사니즘의 광범위화를 말이다.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고 말이다. 우리나라에게는 10년 만에 또다시 찾아온 재앙이었다. 


이제는 '일'이라는 놈에게 가서 굽신거려야 한다. 사람이 하는 일은 점점 없어질 테고, 성장은 점점 멈출 거다. 전방위적인 고착화를 향해 아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아이러니를 목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와중에 익숙한 일을 바꾸는 건 당장 죽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거기에 그 어떤 바람, 질타, 후회도 막아서지 못할 생존의 문제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