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된 리뷰

헤어나올 수 없는 아수라의 지옥으로, 그 시작과 끝은? <비열한 거리>

반응형



[오래된 리뷰] 유하 감독의 <비열한 거리>


문인 출신을 대표하는 유하 감독, 그를 대표하는 '거리 3부작', 그 중에서도 대표격인 <비열한 거리>다. ⓒCJ엔터테인먼트



거장 이창동 감독과 함께 한국 영화판의 대표적 문인 출신 감독으로 유명한 유하 감독. 1988년에 등단해 90년대 초 문명을 날렸다. 시집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에 가야 한다>가 평단으로부터 주목을 받고 대중으로부터 인기를 얻었다. 베스트셀러가 되니, 영화 제작 제의가 들어 왔다. 이미 1990년에 영화 감독으로 데뷔한 그는, 거액의 판권 계약을 거절하고 직접 연출에 이른다. 잘못된 선택이었을까. 이후 10여 년 동안 그는 영화를 만들지 못했다. 


10여 년 만에 들고 온 <결혼은 미친 짓이다>는 수작이었다. 새천년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제목부터 센세이션했다. 동명의 소설을 영화화한 이 작품은, 지금은 고유명사를 넘어 보통명사가 되었다. 이후 3년 만에 기대를 안고 찾아 온 <말죽거리 잔혹사>. 이 작품으로 '유하'라는 이름이 고유명사가 되었다. 10년 간 이어질 '거리 3부작' 혹은 '강남 3부작'의 시작이다. 


이 3부작 중 2번째 작품이자 유하 감독의 대표작, '유하'를 보통명사로 만들어 줄 작품은 <비열한 거리>다. 세계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작인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비열한 거리>와 같은 제목이다. 한국 느와르에서도 길이 남을 만하니, 그 제목에 큰 누를 끼치진 않을 듯하다. 


완벽한 시나리오, 헤어나올 수 없는 개미지옥으로


가장 먼저 시나리오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벼르고 벼른 듯한 완벽한 시나리오 그리고 편집이다. 영화의 처음부터 끝까지 빈틈 없이 꽉 짜여 있다. 주인공이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게 만든다. 선택의 여지는 없었을까? 어딜 봐도 찾기 힘들다. 그는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신의 기계적 출현을 의미하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철저히 배제했다. 


'비열'하기 짝이 없는 판에서 '순수'한 영혼의 병두. 그는 식구들을 건사하기 위해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건넌다. 그를 낚는 황 회장. ⓒCJ엔터테인먼트



병두(조인성 분)는 여러 동생들을 건사하는 건달이다. 스폰서를 잘못 만나 허송세월 보낸 것도 모자라 빈털털이가 되었다. 그래도 식구들을 건사하고 동생들을 챙겨야 하기에, 돈 찾아와서 형님께 바치고 일정 부분을 받고 성인 오락실을 운영하며 어떻게든 살아가려 한다. 그런데 그것도 쉽지 않다. 형님은 돈을 적게 나눠 주고, 성인 오락실도 라이벌 조직에게 박살났다. 결국 그 때문에 후배한테 성인 오락실이 넘어가기도 했다.  

뭐든 했다고 생각하는 병두. 실상은 조직의 보스이지만 겉으론 엄연히 사업가인 황 회장은 끝없이 자신을 괴롭히는 박 검사 때문에 두 발 뻗고 살 수가 없다. 그를 '보고' 싶다. 그런데 최측근이자 병두의 형님인 상철이 못한댄다. 그 기회를 잡은 병두, 박 검사를 죽이면 황 회장이 스폰서를 서주고, 그는 다시금 메인이 되며, 식구들을 건사할 수 있다. 그는 돌이킬 수 없는 짓을 저지르고, 그의 인생은 그야말로 헤어나올 수 없는 개미지옥으로 빨려 들어간다. 


빛나는 폭력성, 비열하지만 순수한 이들


영화는 조직폭력배의 실상을 통해 극대화된 폭력성을 선보인다. 병두로 하여금 돌이킬 수 없는 짓을 저지르게 한, 극도로 사실적인 조폭들끼리의 싸움신이 초반에 펼쳐진다. 여러 조폭 영화들에서 봐 왔던, '준비, 시작' 류의 싸움과는 차원이 다르다. 다짜고짜 덤벼 싸우다가 칼을 꺼내 급소만 피해서 찌르고 베고 찍고. 이게 진짜겠구나 싶다.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의 섬뜩한 싸움신에 버금가는, 폭력성이 빛나는 명장면이다. 


또다른 장면은, 병두가 살인을 저지르는 장면이다. 여기에는 복잡한 감정이 소용돌이 친다. 폭력성 이상의 '욕망'이, 헤어나올 수 없는 욕망의 시작과 현재와 미래를 보여준다. 그가 조폭이 아니었더라도, 그와 같은 짓을 저지를 수 있었을 것이다. 욕망에서 비롯된 행동이니까 말이다. 그 욕망이라는 게 누구나 가지고 있는 거다. 가장 큰 건, 식구들 건사해야겠다는 의지 그리고 위로 더 올라가고 싶다는 본능, 지인들에게 잘 보이고 싶다는 생각 등. 일반 회사원의 욕망과 다를 게 무언가. 


<비열한 거리>는 폭력을 극대화한다. 싸움과 살인을 대표로 내세웠는데, 그 한 가운데에 병두가 있다. 극도의 사실주의에서 오는 소름. '이것이 진짜다.' ⓒCJ엔터테인먼트



그래서 병두는 이 영화에서 가장 비열하지만 가장 순수하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자신이 가장 비열하다고 생각해 속을 끓이지만 사실 가장 순수하다는 것이다. 그에 비하면 황 회장을 비롯해 형님 상철, 친구 민호, 동생 종수 등은 비열하기 짝이 없다. 그 사실을 그만 빼곤 누구나 알고 있으니, 참으로 비극적이기 짝이 없는 캐릭터다. 


감독은 소름끼치는 싸움신과 이들의 비열한 모습을 통해, 이야말로 진짜 조폭의 세계라고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의 의도는 정확히 적중했다. 내가 죽지 않기 위해 누군가를 죽이는 적자생존, 단순히 내가 더 높이 올라가기 위해 누군가를 죽이는 게 아니다.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료이자 형제가 되고, 어제의 식구가 오늘의 적이 되어 나를 죽인다. 그런데, 이들은 비열한가? 이들도 병두와 다를 바 없는 것 같은데, 다만 병두보다 조금 덜 순수한 것 같은데, 조금 더 순수한 병두 덕분에 살아남은 것 같은데, 이들도 비열한 건가? 진짜 비열한 건 이들로 하여금 그렇게밖에 할 수 없게 만든 누군가 혹은 운명이라는 헤어나올 수 없는 굴레가 아닌가?


'강남' '거리' '욕망' '폭력' 3부작


<비열한 거리>를 논할 때면, <말죽거리 잔혹사>와 <강남 1970>을 앞뒤로 둔 '거리 3부작' 또는 '강남 3부작'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합쳐서 '강남 거리 3부작'이라고 해야 할까. 잘 들여다보면, '욕망 3부작'이라고 하는 게 맞겠다 싶다. 더 포괄적이고 핵심에 가깝다. 그렇지만 큰 얘기라 미시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박찬욱 감독의 <박쥐>, <스토커>, <아가씨>도 '욕망 3부작'이고, 박범신 소설가의 <촐라체>, <고산자>, <은교>도 '욕망 3부작'이라 칭할 수 있다. 그러니 유하 감독의 3부작은 욕망 중에서도 '폭력'을 말하는 것이니 앞엣것보다는 '폭력 3부작'이라 하는 게 맞겠다. 


우린 여기서 한 개의 '라인'을 발견할 수 있다. '강남'에서 '폭력'으로 이어지는 라인이다. 화려하게 치장된 그곳이 태초에 폭력과 욕망이 서로를 잉태하고 서로를 죽이는, 그야말로 아수라의 지옥이다. 그 정점이 바로 이 <비열한 거리>인 것이다. 


한번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다는 걸 안다. 하지만 가야 한다. 가지 않는 것도 돌이킬 수 없기 때문이다. 아수라의 지옥으로 가야만 한다는, 고뇌. ⓒCJ엔터테인먼트



유하 감독의 '폭력 3부작' 앞에는 '청춘'이 따라다닌다. 그렇지만 거기에 '여성'은 없다. 여성은 남성의 전유물 또는 주위 인물로 비춰질 뿐이다. 그러는 한편 폭력의 한 가운데 던져진 남성이 유일하게 안식을 찾을 수 있는 안식처이기도 하다. 여하튼 중심이 될 순 없으니, '폭력 세계'에 발을 들여다 놓지 않게 하려는 의도의 산물일까 아니면 폭력으로 움직이는 이 '인간 세계'의 주변 인물인 걸까. 아무래도 전자가 맞지 않나 싶다. 감독이 그린 폭력 세계는, '폭력' 자체는 보편적일지는 몰라도 '세계'는 특수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폭력이라는 게, 욕망이라는 게, 반드시 시작이 있다. 누구나 그때가 있다. 그건 한 번 시작되면 돌이킬 수 없는, 헤어나올 수 없는 종류의 것이다. 우린 그렇게 살아간다. 인간이기에, 수위를 조절하면서 내보이지 않으면서 자신과 싸우면서 욕망에 먹히지 않을 수 있다. 그런데, 나도 모르는 새 욕망이 이끄는 대로 가버리면 어떡하지, 정신을 차려보니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면 어떡하지, 그것이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운명이면 어떡하지... 순간 치를 떠는 생각을 하게 되는 나를 발견하곤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