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작 열전/신작 영화

보리와 매켄로의 삶이 집약된 1980 윔블던 결승전 <보리 vs 매켄로>

반응형



[리뷰] <보리 vs 매켄로>


영화 <보리 vs 매켄로> 포스터. ⓒ㈜엣나인필름



승부를 봐야 하는 스포츠계엔 필연적으로 라이벌이 존재한다. 현존하는 스포츠계 최고의 라이벌은 축구의 메시와 호날두일 것이다. 지난 10년 동안 최고의 남자 축구선수에게 수여하는 발롱도르 상을 5번씩 나눠가졌다. 이 둘을 제외하고는 3회 수상이 최다인 역사에서 5회면 역대 최고의 독재체제나 다름 없지만, 이들은 동시대에 이룩했다. 


남자 테니스로 눈을 돌려보자. 2010년대 세계 테니스엔 독주 체제가 없는, 그렇다고 확고한 라이벌 구도도 없는 춘추전국 시대 또는 'BIG N'에 가깝다. 2000년대엔 단연 로저 페러더와 라파엘 나달이었다. 이들은 2010년대에도 여전히 탑 오브 탑 클래스이다. 1990년대는 누가 뭐래도 피터 샘프라스와 안드레 애거시의 시대였다. 


1968년 테니스 프로화 시대, 이른바 '오픈 시대'가 시작되면서 오픈 시대 전 최강자 로드 레이버가 켄 로즈웰과 세계 테니스계를 양분했다. 그리고 대망의 1970~80년대다. 이때야말로 테니스의 전성기로 지미 코너스, 비외른 보리, 존 매켄로, 이반 렌들이 따로 또 같이 세계 테니스계를 지배했다. 


영화 <보리 vs 매켄로>는 이 레전드들 중 두 명인 비외른 보리와 존 매켄로의 1980 윔블던 결승전을 중심으로 그리는데, 세계 최초로 윔블던 5연패를 노리는 최강자 비외른 보리에게 떠오르는 강자 존 매켄로가 도전하는 형국이었다. 모든 이가 인정하는 최고의 선수들이 펼치는, 테니스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이다. 


테니스 역사상 최고의 경기, 1980 윔블던 결승전


영화 <보리 vs 매켄로>의 한 장면. ⓒ㈜엣나인필름



수많은 테니스 대회 중에서도 메이저로 뽑히는 4개 오픈, 윔블던, US, 프랑스, 호주, 그중에서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윔블던 오픈의 1980년이 시작되었다. 1976년부터 내리 4연패를 달성한 당대 최강자 스웨덴의 비외른 보리(스베리르 구드나손 분)이 단연 우승후보, 거기에 수많은 강자들이 도전한다. 미국의 떠오르는 신예 강자 존 매켄로(샤이아 라보프 분)이 눈에 띈다. 


이 둘은 너무나도 상반된 이미지와 경기 스타일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차갑게 절제되고 침착하며 냉정한 분위기에 후방 공격형, 매켄로는 '코트의 악몽'이라는 별명을 가진 비신사적 분위기에 자신만만한 전진 공격형이다. 중요한 건 누가 뭐래도 보리와 매켄로는 당대를 넘어서 테니스 역사상 최고의 실력을 가진 이들이라는 것이다. 누가 이기고 누가 져도 이상하지 않은 이 둘의 결승전은 당연한듯, 어떤 경기가 펼쳐질까?


영화는 테니스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결승전 경기 실화를 고스란히 다룬다. 당시를 완벽히 되살린 건 물론이다. 생김새, 행동, 복장, 분위기, 실력까지 말이다. 이는 야누스 메츠 패더슨 감독의 공이 큰 듯한데, 일찍이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극사실주의로 담아낸 다큐멘터리 <아르마딜로>로 다큐멘터리 영화로는 최초로 칸 영화제에서 비평가 주간대상을 받으며 세상을 놀라게 한 바 있다. 


남자 테니스 전설 비외른 보리와 존 매켄로에 천착하다


영화 <보리 vs 매켄로>의 한 장면. ⓒ㈜엣나인필름



종종 나오는 스포츠 영화들, 배우들이 해당 스포츠를 무리 없이 완벽히 소화해내는 것부터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일까, 대부분의 스포츠 영화들은 경기 또는 선수보다 스포츠를 통해 다른 걸 보여주려 한다.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주거나, 감동을 주거나. 몇 없는 테니스 소재 영화 중 하나인 <윔블던>처럼 로맨틱 코미디인 경우도 있다. 


<보리 vs 매켄로>는 다른 곳엔 눈을 돌리지 않고 오로지 보리와 매켄로에게 천착한다. 당대를 충실히 재연했을 뿐 그렇게 재연한 당대를 통해 무엇을 전하거나 보여주려 하지 않는다. 감동? 감동은 이 둘의 결승전 재연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우리는 1980년 당시의 보리와 매켄로가 어떤 심리 상태에 놓여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본인에게 철저한 감수를 받아 실화를 완벽하게 옮겼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영화이니 만큼 보고 납득이 가면 되는 것이다. 윔블던 4연패라는 위업을 이미 달성했지만 보리는 여전히 불안하다. 5연패를 하지 못하면 그저 잊힐 거라고, 사람들이 원하는 건 테니스 역사상 최초의 윔블던 5연패가 아닌 차갑고 견고한 영웅의 처참한 패배일 거라고. 


매켄로는 예의 그 판정에 거칠게 항의하는 비신사적인 행위 때문에 '코트의 악몽'이라는 별명뿐만 아니라 '알 카포네 이후 최악의 미국인'이라는 호칭까지 얻었다. 테니스란 신사가 하는 예의 바른 스포츠가 아닌가. 그는 매 경기마다 상대방 선수뿐만 아니라 나름대로 심판의 불공정한 판정, 그리고 엄청나게 쏟아지는 야유의 관중들과 싸워야만 했다. 거기에 그는 당시만 해도 보리에 비해 터무니 없는 애송이였다. 


보리와 매켄로의 삶


영화 <보리 vs 매켄로>의 한 장면. ⓒ㈜엣나인필름



영화는 보리와 매켄로의 현재보다 과거를 더 많이 오간다. 그들이 어떻게 테니스를 시작하게 되어서 어떤 성적을 올리고 어떤 고난을 극복해 이 자리에 오게 되었는지가 아닌, 그들이 어떤 심리 상태로 테니스를 해왔는지 말이다. 또는 어떤 심리 상태가 그들의 삶을 지배해 왔는지. 


'스포츠는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보리 vs 매켄로>는 그 지점을 정확히 캐치해 영화 내내 지독하게 들여다보고 있는 것이다. 절대 겉으로 감정을 내보이지 않고 속에서 자신과 싸우고 있는 듯한 보리는 물론, 경기에서 자신을 제외한 모든 것들과 싸우고 있는 매켄로조차 들여다보면 결국 자기 자신과 싸우고 있었다는 걸 영화는 말하고 있다. 


영화 초반, 테니스 전설 안드레 애거시의 명언이 보인다. "테니스는 인생의 언어를 사용한다. 어드밴티지, 서비스, 폴트, 브레이크, 러브... 그래서 테니스 경기는 우리 삶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세상의 수많은 맞는 말이 있겠지만, 이 또한 맞는 말이다. 누가 부정하겠는가, 테니스가 곧 인생이라는 말을. 


하지만 이 또한 맞는 말일 것이다. 테니스 경기는 우리 삶의 일부분이라고 말이다. 이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건 얼핏 보리와 매켄로가 붙은 1980 윔블던 결승전일 테지만, 사실 그보다 중요한 건 보리와 매켄로의 삶이고 인생이 아닌가. 경기를 즐기는 입장에서 그들은 '도구'일지 모르지만, '도구'의 입장에서 그들 스스로는 그 자체로 '목적'인 것이다. 도구와 목적 사이에서 고민하고 싸우는 그들은 진정한 의미의 동료이다. 


우리는 모두 목적임이 분명하지만, 사실 대부분 도구로 살아가고 있다. 우리의 삶을 깊숙이 들여다볼 시간도 없지만 그럴 용기도 부족하다. 거기에서 무엇을 보게 될지... 영화에서 보리와 매켄로는 외부에서 떠들어대는 것과는 다르게 서로가 서로를 알아보는 것 같다, 이해하는 것 같다. 그래서 명승부가 연출되었던 것일까. 자신과 비슷한 서로를 위해 최선을 다했기에. 우리네 인생에도 한 번쯤 명승부가 연출되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