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된 리뷰

영화 <지슬>로 제주 4.3 사건을 돌아보다

반응형

 


[기획] 제주 4.3 사건 70주년을 기해서


영화 <지슬> 포스터. ⓒ영화사 진진



올해가 '제주 4.3 사건' 70주년이다. 1948년 제주도 각지에서 남로당을 주축으로 한 무장대가 남한 단독 정부 수립 반대와 조국 통일, 완전한 민족해방 그리고 경찰과 서청의 탄압 중지 기치를 내걸고 봉기를 일으켰다. 이는 5.10 총선거까지 이어졌는데, 제주도는 5.10 총선거를 거부한 유일한 지역이 되었다. 


선거 이후 제주도에서의 문경과 무장대의 대립은 더욱 첨예해진다. 같은 해 8월 15일 남한 단독 정부가 수립되고 제주도에 대한 강경 진압 수위를 높여간다. 제주도 근해에 소련 선박 또는 잠수함이 출현했다는 소문을 조작하여 대대적인 토벌전이 준비되는 것이다. 10월 "해안선 5km 이외 지역에 통행금지령을 내리고 그곳에 있는 사람은 폭도로 간주해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이 내리고, 11월에는 이승만 대통령이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한다. 곧 '초토화작전'이라 불리는 진압이 시작된다. 


잠정적으로 1954년 9월에 끝이 나는 이 사건은, 보도연맹 학살 사건과 더불어 대한민국 정부가 벌인 최악의 자국 민간인 대량 학살 사건이자 제주도 최대 최악의 비극이라 할 만하다. 우리 모두 이 사건의 진실을, 이 사건의 성격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끊임없이 불러일으켜야 한다. 거기서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왜 민간인이 학살을 당해야 했던가. 이제 와서 우린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하다


영화 <지슬>의 한 장면. ⓒ영화사 진진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 2>는 5년 전에 개봉한,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1948년 10월에 행해진 '섬 해안선 5km 밖인 중산간지역의 모든 사람을 적으로 간주하고 무조건 사살하라'는 명령과 계엄령 선포로 시작된 '초토화작전'으로 도망쳐 산으로 피신한 사람들과 계엄군 이야기를 다룬다. 


마을 사람들은 왜 도망가야 하는지 모른 채 어디로 도망가야 하는지는 잘 안다. 불과 몇 년 전에 끝이 난 일제강점기 때에도 무수한 위협으로부터 무수히 많은 도망을 다녔고 무수한 죽음을 뒤로 한 채 살아남은 그들이었다. 하지만 자신들이 속해 있는 나라의 정부로부터의 위협은 그것을 훨씬 뛰어넘는다. 


산 기슭의 아무도 모를 굴 속으로 피신한 마을 사람들은 내일 모레 곧 나갈 것이니 걱정할 필요 없이 조금만 참자고 서로를 다독인다. 그러며 평소 정겹고 살갑게 나누던 이야기를 이어가고 도망나올 때 가지고 온 지실(감자)을 사이좋게 나눠먹는다. 또 누군가는 마을로 내려가야 한다는데, 기르고 있는 돼지들에게 밥을 주어야 하고 편찮으신 어머니를 모시고 와야 하며 어디로 간지 모를 순덕이를 데리고 와야 한다.


한편, 계엄군들에게서도 인간군상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상사란 놈은 아무것도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고, 중사란 놈은 매일 칼을 갈며 돌아가신 어머니의 복수랍시고 빨갱이 죽이기에 혈안이 되어 있고, 상병이란 놈은 상사의 말 한 마디에 아무렇지도 않게 민간인을 죽이고 후임들에게 죽기 싫으면 폭도를 잡아 죽이라고 한다. 


와중에 일병 한 놈은 자신들이 여기 와 있는 건 폭도 때문이 아니고 명령 때문이라며, 자신들이 잡아 죽이는 이들은 폭도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그들이 죽이려고 하는 이들이 민간인이라는 걸 이성과 감성의 개념으로 직시하고 있다. 신병 한 놈도 이 일병의 생각에 동조하고 있는 것 같다. 


웰메이드 작품 <지슬>


영화 <지슬>의 한 장면. ⓒ영화사 진진



영화 <지슬>은 제주 4.3 사건이라는, 다른 한국 근현대사의 수많은 비극들보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 있지 않은 비극을 다룬다는 영화 외적인 요소보다, 너무도 잘 만들어진 웰메이드 작품으로의 영화 내적인 요소로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 그런 작업이 선행되고 나면 영화를 보는 눈에, 영화를 보는 생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씬이 많지 않다. 한 씬마다 롱테이크를 쓰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대부분 마을 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데 할애한다. 영화적 기법을 영화의 주제와 조화시키는 형태라고 보는데, 거대 비극 속에서도 인간성을 져버리지 않고 '유머(humor)'를 발산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특별하게 다가온다. 


유머는 나아가 영화에서 종종 묻어나오는 동화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와 장면에 활기를 불러일으킨다. 그건 다시 영화적 기법으로 이어져 궁극의 '미장센'이 탄생한다. 영화 전체가 흑백으로 처리되는데, 그래서 롱테이크와 함께 정적인 구도가 더욱 눈에 띄고 빛을 발한다.


구도는 장면의 자체뿐만 아니라 마을 사람들과 계엄군 사이의, '인간'과 '비인간'의 구도로까지 우리 앞에 나타나는데, 거기에 차라리 이데올로기 대립과 정부에 의한 합법적이고 합리적이기라도 한 명령이 있었으면 좋겠다 싶다. 거기엔 오로지 광기만 있을 뿐이다. 광기에 대응하는 건 광기도 총도 무력함도 아닌 유머 뿐이다. 그리고 '지슬' 즉, 감자. 


이해할 수 없는 사건, '기억의 전쟁'을 이어가다


영화 <지슬>의 한 장면. ⓒ영화사 진진



한라산 일대에 잠복한 350여 명의 무장대를 소탕하기 위해 제주도 중간산 마을 초토화 명령을 내렸다는, 믿기 힘든 사실은 최대치의 이성을 동원해 생각해봐도 이해할 수 없다. 타국과의 전쟁에 임해서도 민간인 피해는 절대적으로 없게끔 하는 게 당연한 것인데, 자국 민간인 학살을 어찌 대놓고 명령할 수 있는지 말이다. 


경제적으로만 보았을 때 경제 주체가 되는 사람들 수의 하락은 국가에 불이익을 가져오지 않는가. 정치적으로만 보았을 때도 제주도에만 악독한 짓을 저지르는 건 역시 국가에 불이익을 가져오지 않는가. 군사적으로만 보았을 때도 그 멀리 있는 제주도로까지 군사를 파견해 그 눈 쌓인 산을 포위하고 힘겹게 소탕작전을, 그것도 민간인을 상대로 펼치는 건 너무도 쓸데 없는 일이 아닌가 말이다. 


인지상정의 개념으로는 백 번 천 번 만 번을 생각해봐도 받아들일 수 없는 이 사건을 계산적으로만 생각해봐도 마찬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런 사건을 대함에 있어, 이제와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왜곡되지 않고 억지 숨김을 당하지 않은 기억들을 후세에 이어주는 것밖에 없다. 


70년 전 그때 그곳의 기억을 온전히 가진 이들이 머지 않아 이 세상에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이 곳은 이데올로기라는 미명 하에 민간인 학살의 주체를 옹호하고 그들 역시 빨갱이 폭도 분자의 하나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앞으로도 영원히 그들은 존재할 것이다. 


'기억과의 싸움'이라고 했던가. 이 싸움은 단순히 네 편, 내 편이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다. 진실의 문제이고, 진실을 전달하고 알리는 문제이고, 진실을 간직하는 문제이다. 진실 앞에서 모두 평등하다고 하지만, 그 진실 또한 주관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영원히 그 자리 그대로를 유지할 수 없을지도 모를 문제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 싸움을 영원할 것이다. 올바름을 전달하는 이들이 이어지길 바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