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나간 책 다시읽기

뼈아픈 진실과 함께 나아가는 삶과 사랑 <남아 있는 나날>

반응형



[지나간 책 다시읽기] 가즈오 이시구로의 <남아 있는 나날>


소설 <남아 있는 나날> 표지 ⓒ민음사



이야기가 옆길로 새는 건, 옆길로 새는 것처럼 느껴지는 데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야기의 원류를 제대로 이어나갈 능력이 없거나, 하고 싶은 이야기가 너무나도 많거나, 옆길로 새는 것도 전부 이야기 원류의 거대한 판 안에 있다거나. 대개 하고 싶은 이야기가 너무나도 많으면 차라리 거대한 판을 만들어 버리곤 한다. 


그런데, 여기 오로지 거대한 판을 만든 것도 아니면서 옆길로 새는 것처럼 느끼게끔 하거니와 그것들이 전부 이야기 원류에 포함되어 있게 하는 작가가 있다. 가즈오 이시구로가 그인데, 그가 전하는 이야기는 그 자체보다 샛길의 이야기가 훨씬 재밌거니와 그 샛길이 원류로 이어지기에 결국 이야기 전체의 완성도가 터무니 없이 올라간다. 


아직 그의 소설을 <나를 보내지 마>와 <남아 있는 나날> 두 권밖에 읽지 않았지만 비슷한 느낌을 받았고, 거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자잘한 이야기들이 가지는 재미와 인간 본령의 존재를 뒤흔들어 놓는 메시지가 엄청나다는 것도 똑같았다. 한 편으로 팬이 되어버렸고 두 편째를 보지 않을 수 없었으며 세 편째부터는 주기적으로 볼 생각이다. 


그가 궁극적으로 할 말은 정해져 있고, 그걸 제대로 보여주기 위해 무수히 많은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전해주며, 우린 그저 순간순간을 즐기면 되는 것이다. 어느 순간 빠져 들며 자연스레 목적지에 도달해 생각하고 있었지만 한편 생각조차 할 수 없었던 거대한 무엇에 맞닥뜨리고 만다. <남아 있는 나날>이야말로 정확히 그것이다. 


삶과 진실


1956년 영국의 저명한 저택인 달링턴 홀의 집사 스티븐스, 주인의 배려로 생애 첫 여행을 떠난다. 잉글랜드 서부로의 여행, 그 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건 주인이 아니라 오래전에 달링턴 홀을 떠난 켄턴 양의 7년 만의 편지였다. 그는 그녀가 돌아오고 싶다고 지레짐작하고는 그녀를 만나러 6일간의 여행길에 오른다. 와중에 자신의 인생을 회상하는 스티븐스이다. 소설은 여행과 회상의 투 트랙으로 진행된다. 


스티븐스는 1920~30년대 달링턴 홀의 주인 달링턴 경을 맹목적으로 모셨다. 그는 진정 '위대한 집사'로, 그것을 위해 아버지의 임종을 지키는 걸 포기했고 켄턴 양에 대한 감정을 억눌렀다. 그의 말마따라 사적인 실존을 포기하고 전문가적인 실존을 택한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위대한 집사의 필수조건. 


하지만 스티븐스의 회상이 거듭됨에 따라 하나둘씩 드러나는 진실은 그로 하여금 정체성의 혼란을 일으키게 한다. 그의 인생과 사랑에 앞서 그를 규정하는 '위대한 집사'라는 정체성 말이다. 그리고 그걸 회상하는 지금은 인생의 황혼기, 회상은 곧 후회와 다름 아니다.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 의미부여가 쉽지 않다. 


소설은 '남아 있는 나날' 즉 미래에 방점을 둔 제목과는 다르게, 회상과 여행 즉 과거와 현재에 방점을 둔 내용을 전한다. 곧 소설의 지향점은 미래에 있고, 주인공이 가야 할 곳도 결국 미래라는 얘기일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스티븐스의 정체성 혼란을 일으키는 '진실'일 텐데, 그건 무엇일까. 


인생과 사랑


진실은, 스티븐스가 충분히 알 수도 있었을 것이고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들이다. 그가 위대한 집사의 옷을 입고 맹목적으로 모신 달링턴 경이 나치 지지자였다는 사실과, 그가 위대한 집사의 옷을 입어 자신의 진정한 실존을 가린 결과 떠나보낸 켄턴 양을 사랑했었고 지금도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개념과 '아이히만'이 생각나지 않을 수 없다. 그저 자신의 일만 성실하게 했을 뿐인 아이히만, 그는 지극히 평범한 인간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가 한 짓은 역사상 최악의 '악'으로 귀결된다. 그 너머의, 그 이면의 진실은 알고자 하지 않았고 알 필요도 없다고 생각했다. 스티븐스와 겹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사랑이라는 개념을 녹여내게 한 켄턴 양의 존재가 가즈오 이시구로표 문학의 진정한 발화점이다. 그녀야말로 스티븐스로 하여금 계속 나아가게 하는 힘의 원천이었거니와, 한편으로 그가 과거를 회상함으로써 정체성의 혼란이라는 필수적인 아픔을 겪게 한 장본인인 것이다. 켄턴 양 덕분에 스티븐스라는 캐릭터는 극히 평면적인 인물에서 입체적인 인물로 변모했다. 


스티븐스는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나간 시간을 후회하며 살아가야 할까, 어떻게든 앞으로 나아가야 할까. 저자는, 소설은 말한다. 나아가야 한다고. 그의 과오 아닌 과오 또는 명백한 과오를 뒤로 하는 게 아니라 함께 가야 한다고 말이다. 남아 있는 나날은 많지 않을지 모르지만 인생과 사랑을 깨달을 시간과 양식은 충분하다. 


남아 있는 나날 - 10점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송은경 옮김/민음사


728x90